•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16년 3월부터 ’16년 5월까지(3개월간)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55,073세대(‘16.3~‘16.5월, 조합 물량 포함)로 집계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5,515세대(서울 5,864세대 포함), 지방 39,558세대가 각각 입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세부 입주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16.3월 인천송도(1,230세대), 인천청라(646세대) 등 3,671세대, ’16.4월 서울성동(1,156세대), 하남미사(1,996세대) 등 5,602세대, ‘16.5월 서울양천(1,081세대), 구리갈매(1,075세대) 등 6,242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며, 지방은 ‘16.3월 대구혁신(1,028세대), 양산물금(1,557세대) 등 13,561세대, ’16.4월 광주화정(3,726세대), 충남도청이전(1,660세대) 등 13,413세대, ‘16.5월 대구대현3(1,106세대), 양산물금(1,158세대) 등 12,584세대가 입주할 예정으로 조사되었다.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17,540세대, 60~85㎡ 33,564세대, 85㎡초과 3,969세대로, 85㎡이하 중소형주택이 전체의 92.8%를 차지하여 중소형주택의 입주물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민간 43,279세대, 공공 11,794세대로 각각 조사되었다.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2016-02-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 '막힌 빗물받이'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6 18
202 '마약류 도우미 서한'으로 마약류 처방량 감소 효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24
201 '마약류 도우미 서한'으로 마약류 처방량 감소 효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12
200 '디지털 공공서식'으로 데이터 기반 행정 가속화하고 국민 편의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1 23
199 '디지털 공공서식' 15종으로 확대해 데이터 행정 기반 다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6
198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14
197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법률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4 164
196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1 33
195 '내상조 그대로' 통합 및 상조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54
194 '내 계좌 한눈에' 시스템(1단계) 개통 이후 92.5만명 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6 38
193 '나인봇원 프로' 외발전동휠 무상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0 190
192 '나이아신' 함유 음료 베이스 제품 등 특별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8 37
191 '꺾기 등 금융회사의 우월적지위 남용행위 근절대책' 추진 성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106
190 '금융주소 한번에' 서비스, 금융회사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이용도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1 447
189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제도' 도입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106
Board Pagination Prev 1 ...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