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민권익위, "올 상반기 허위·과다 청구 공공재정지급금 175억 원 환수돼"

- 제재부과금 30억 원 부과…사회복지 분야 환수 규모 최대      

- 308개 기관 대상 공공재정지급금 환수 등 실태조사 결과 발표

 
□ 국민권익위원회가 올해 상반기 공공재정지급금 환수 등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앙·지방행정기관, 지방교육청에서 공공재정지급금을 부정 청구한 자에 대해 총 175억 원을 환수하고 29억 7천만 원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공공재정 누수를 방지하지 위한 ‘공공재정환수법’ 이행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교육청등 총 308개 기관을 대상으로 8월 3일부터 9월 29일까지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1월 1일 시행된 ‘공공재정환수법’은 각종 보조금, 보상금, 출연금 등 공공재정지급금을 부정수급 할 경우 그 부정수급액을 환수하고 추가로 최대 5배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국민권익위의 실태조사 결과, 올해 상반기에 행정기관에서 이루어진 총 환수처분 금액은 175억 원, 제재부가금 부과금액은 29억 7천만 원, 지급중단 금액은 18억 2천만 원으로 나타났다.
< 기관유형별 처분금액 등 >
(단위: 백만 원)
구분
지급중단
환수처분
제재부가금
합계
1,820.2
17,503.1
2,968.2
중앙행정기관
382.6
10,617.0
2,782.8
지방자치단체
1,437.6
6,816.2
185.4
광역교육청
-
69.9
-
 
부정수급 유형별 환수처분 금액은 허위청구를 통해 청구자격이 없는 자에게 지급된 금액이 64억 8천만 원, 과다지급 된 금액은 19억 3천만 원, 그밖에 단순 오지급 된 금액은 87억 2천만 원 등이었다.
< 부정수급 유형별 처분금액 등 >
(단위: 백만 원)
구분
지급중단
환수처분
제재부가금
합계
1,820.2
17,503.1
2,968.2
허위청구
612.2
6,480.6
2,872.3
과다청구
837.8
1,929.0
-
목적외 사용
82.5
375.7
95.9
오지급
287.8
8,717.8
-
 
법령별로는 청년고용법, 기초생활보장법 등 사회복지분야 법령에 따라 지급된 공공재정지급금의 환수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법령별 환수처분(백만 원): 청년고용법(4,316), 기초생활보장법(4,116), 고용보험법(3,076), 주거급여법(987), 국가유공자법(398), 농업농촌공익직불법(175) 등
 
허위청구나 과다청구에 해당돼 환수처분과 별도로 제재부가금을 부과해야 하는데도 이를 부과하지 않은 것으로 의심되는 건은 114건(부정수급액 4억 6천 2백만 원)으로 확인됐다.
 
주요 사례로, ▲창업지원사업에 선정돼 지급받은 보조금을 목적 외로 사용 ▲유가보조금을 실제 주유한 금액보다 부풀려 결제하는 방법으로 보조금을 과다청구 한 사안에 대해 환수처분만 이루어지고 제재부가금을 부과하지 않았다.
 
□ 국민권익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제재부가금 부과대상으로 의심되는 114건에 대해 추가 점검을 실시하고 법적근거* 없이 부과하지 않은 것이 확인될 경우 제재부가금을 부과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 제재부가금 면제사유: 자진신고 후 부정수급액을 모두 반환한 경우, 부정수익자의 책임이 없는 경우, 다른 법률에 따라 벌금·과징금등을 이미 부과한 경우 등
 
또 행정기관별 환수·제재부가금 부과 기록관리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내년 상반기에 특별점검하고 공직유관단체 회계규정 등에 기록관리 의무사항을 반영해 환수처분 등 관리를 더욱 철저히 이행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공재정지급금 세부사업별 예산 대비 부정수급액 등을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기존의 조사체계를 개편해 기관별, 법령별, 세부사업별 환수처분 현황까지 심층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국민권익위는 이를 토대로 국가재정 누수현황을 좀 더 세밀하게 파악해 재정누수 취약 분야와 기관별 실태점검을 실시하고 제도개선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 국민권익위 안성욱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상수도관도 오래 방치하고 점검하지 않으면 물이 새듯, 공공재정도 감시를 소홀히 하고 관리하지 않으면 낭비되는 재정이 발생할 수 있다.”라며, “보다 꼼꼼하고 정밀한 공공재정 누수 감시체계를 마련해 국민의 혈세가 낭비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국민권익위원회 2021-11-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21 화재로 훼손된 기록물, 이렇게 응급조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508
10820 정부, 11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281
10819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디지털로 소비해, 코로나19 이후 2배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296
10818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1,123개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259
10817 ‘토닥토닥 치유(힐링) 여행’ 상품 500여 개 40% 할인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253
10816 국민권익위, “억울한 행정처분, 구제 받을 수 있나요?” 최신 행정심판 재결례 3만 건 공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247
10815 순찰차가 주행하며 과속단속... 순찰차 탑재형 교통단속장비가 뜬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247
10814 더 편리하고 새로워진 '내손안' 앱을 만나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379
10813 2021년 주식리딩방 불법, 불건전 영업행위 중간 점검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292
10812 무, 저해지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 보호와 보험사 건전성 유지 측면에서 상품설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295
10811 상습미납은 더욱 엄중하게, 통행료 납부는 더욱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342
10810 13개 공유PM사 자율 참여한 보험표준안 마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314
10809 국민권익위, 행정착오로 잘못 지급된 보훈급여금 반납 문제...‘조정제도’로 합의 해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292
10808 국민권익위, 6개 관계 기관과 함께 국민 생활 속 고충 상담에 나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341
10807 결혼중개 만남 전 계약해지, 이제 쉬워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267
Board Pagination Prev 1 ...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 1039 Next
/ 103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