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물을 먹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는 비율 36%

▷ 수돗물 음용자의 전반적 만족도는 '만족' 69.5%, '보통' 27.3%

▷ 노후 상수도관 및 옥내급수관 교체, 스마트 관망관리 구축 등의 사업 추진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지난해 3월에 신설된 '수도법' 제29조의2(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2021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전국 161개 지자체의 7만 2,460가구주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조사 대상자들은 수돗물 먹는 방식과 수돗물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하여 총 38문항에 대해 응답했다.


조사 결과, 우리 국민 3명 중 1명(36%)은 물을 먹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고 있다고 응답했다.


차나 커피를 마실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1.6%이며, 밥이나 음식을 조리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7%로 나타났다.


한편, 물을 먹을 때 '수돗물에 정수기를 설치해서' 먹는 비율은 49.5%이며, '먹는 샘물(생수)을 구매해서' 먹는 비율은 32.9%로 확인됐다.

※ 응답자들은 물을 먹을 때 사용하는 방법을 중복 선택 가능


수돗물을 먹고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먹는 수돗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 69.5%, '보통' 27.3%로 나타났다.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것에 대한 평소 생각은 '편리하다'(79.3%)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경제적이다'(76.5%), '수질을 믿을 수 있다'(65.6%) 등의 순이었다.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지금보다 더 강화되어야 할 제도와 정책으로는 '노후된 수도관 교체'(27.8%)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원수(상수원)의 수질관리'(27.3%), '정수장 시설의 현대화'(11.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의 자세한 내용을 담은 결과보고서를 환경부 누리집(me.go.kr)에 10월 28일부터 게시할 예정이다.

※ 환경부 누리집(me.go.kr) > 법령/정책 > 환경정책 > 물환경관리 > '2021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환경부는 수돗물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간다.


지자체와 함께 1단계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관망 112개소, 정수장 34개소)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추가 사업 발굴과 추가 지원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 (노후 상수관망 정비) '17년∼'24년, 전국 112개 지자체 대상 노후 상수관망 3,332km 정비 목표(국고 약 2조원 투입)


아울러, 2022년까지 161개 전체 지자체에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돗물 수질을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사고 시 이물질 자동배출 등 스마트한 수돗물 관리체계를 갖춘다.

※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 161개 지자체에 수질감시·관리 및 위기대응, 사고방지, 수돗물 신뢰 제고 기술(정밀여과장치, 수질자동측정장치, 관세척 인프라 등) 도입


2014년부터 3년간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을 시범 구축한 경기 파주시의 경우 이번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서 물을 먹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는 비율이 49.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생산된 수돗물을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그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주택 내 노후 옥내급수관 개선 사업도 실시하는데, 20개 지자체 취약계층 8천여 가구를 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노후 옥내급수관 개선사업) '22년도 국고 약 39억원을 투입하여 20개 지자체의 8천여 가구 지원 예정(자부담률 5% 수준, 세대당 최대 200만원 지원)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올해 처음 실시한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 정성으로 응답한 국민께 감사드린다"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한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으며 탄소중립*에도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 수돗물에 비해 생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700배 이상, 정수기는 1,500~2,100배 이상 발생



[ 환경부 2021-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06 2015년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75
10905 정부, 불법사금융 일제신고 및 특별단속 4,405명 검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70
10904 2016년 7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159
10903 7월말 전국 미분양 63,127호, 전월대비 5.2% (3,128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69
10902 7월 주택인·허가 6.1만호, 7월 분양승인은 3.6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71
10901 동남아 등 해외여행 시 지카 감염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109
10900 숙박업소 레지오넬라증 환자 발생에 따른 환경관리 철저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98
10899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싱가포르 등 73개국으로 확대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104
10898 600만 퇴직연금 가입자에게 불리한 약관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1 91
10897 핀테크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매장·부가서비스 등 확대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1 91
10896 위성항법(GNSS) 위치정보 무료로 활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1 102
10895 ´자기혈관 숫자 알기´로 고혈압.당뇨병 예방 시작!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1 101
10894 내년부터 요양시설 종사자 배치기준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1 95
10893 인터넷상 불법금융광고 등에 현혹되지 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1 77
10892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1 85
Board Pagination Prev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