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심혈관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 질환으로우리나라 유병률은 약 30%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의 중증도가 심화될수록 10년 내 심혈관계질환 위험도 증가

- 지방간염을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4.07배 증가

- 간 섬유화(advanced fibrosis)를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는 최대 8.11배 증가

-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가 중증의 진행성 간 섬유화를 동반하는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9.42배까지 증가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지방간염과 간 섬유화 진행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예방관리가 향후 심혈관질환 발생 예방 및 중재치료에 매우 중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김원호 박사 연구팀(심혈관질환연구과, 박지혜 박사 등)은 한국인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환자 등록 임상코호트(보라매병원, 김원교수)를 활용하여,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설명 붙임 1 참고)


 ○ 간 생검으로 입증된 비알코올성지방간의 조직학적 중증도가 심화될수록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연구 결과는 심혈관대사 및 간질환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헤파톨로지 인터내셔널(Hepatology International, 영향력지수 IF 6.047)’ 인터넷판에 최근 게재되었다.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음주와 관계없이 비만, 지질대사이상 등으로 간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유병률은 약 20~30%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21년 대한간학회).


    * 국내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유병률 자료는 주로 단일기관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분석된 것으로 전국 규모의 연구 자료는 없는 실정

 

   -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과 생활습관 및 운동부족, 이로 인한 비만과 당뇨병의 증가 추세를 고려한다면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이 심혈관질환 발생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환자별 질환 진행상의 조직학적 스펙트럼을 고려한 연구는 많지 않다.


 ○ 한편,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과 심혈관질환 발생 연관성에 대한 결과는 각 연구 대상, 분석방법 등에 따라 차이가 있어 한국인 대상 보다 더 정확한 근거 생산이 필요한 상황이다.


 ○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중증도에 따라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NAFL*)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으로 구분된다.


   - 단순 지방간은 임상적으로 예후가 양호하지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지방증과 함께 염증, 간세포 풍선변성 등으로 간 손상이 동반되어 예후가 심각한 형태로,


   -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간경화, 간암,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아진다(붙임 1, 그림 1 참고).


       * 단순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simple steatosis), NAFL)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환자의 간 생검 자료를 기반으로 조직학적 중증도를 단순 지방간과 지방간염으로 구분하고, 나아가 간 섬유화 진행 단계에 따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함께 분석하였다.


   - 이전 연구들 대부분은 초음파 영상이나 간단한 혈액검사 등을 이용하여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여부와 중증도를 정의한 반면,


   - 본 연구에서는 생검 조직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환과 중증도를 정의하고 구분한 것으로 임상적 구분 정확도가 훨씬 높다고 할 수 있다.


□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임상에 참여한 한국인 비알코올성지방간환자 500명(임상코호트 n=500,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연구팀) 중 간 생검으로 입증된 비알코올 지방간질환(NAFLD*) 환자 398명과 정상인 102명의 임상정보 및 자료를 활용하였다.


   - 지방간염, 간 섬유화 등 비알코올성지방간의 중증도에 따라 구분을 하여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위험도(10-year ASCVD*)를 평가하였다.
 
    *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10-year risk for developing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SCVD): 성별, 연령, 수축기 혈압, 흡연 여부 등을 점수화 하여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


 ○ 정상인에 비해 지방간염을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에서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4.07배 증가하였다.


 ○ 정상인에 비해 간 섬유화를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에서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중증도에 따라 5.50-8.11배로 증가하였다.


 ○ 단순지방간을 가진 사람이라 해도 간 섬유화가 심한 사람은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4.97배 증가하였고,


   - 지방간염을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가 간 섬유화를 가지는 경우 중증도(경증, 중증)에 따라 각각 4.97배, 9.42배까지 증가하였다(붙임 2, 그림 2 참고).


□ 현재 연구팀은 비알코올성지방간과 간 섬유화를 보다 쉽게 조기에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이 필요하여,


 ○ 비알코올성지방간과 간섬유화에 대한 생체 바이오마커 등을 발굴하고, 조기 예측, 진단, 중재 지표로서의 효과성을 현재 검증하고 있다.


 ○ 한편 비알코올성지방간 연구를 위한 국내 연구기반은 매우 열악한 상황으로,


   - 국립보건연구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22년 신규 예산을 추가로 확보하여 비알코올성지방간 임상코호트 구축 사업과 효과적인 예방관리 및 극복을 위한 연구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지방간염 또는 간 섬유화로 질환이 심화될수록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 더 나아가 단순 지방간이더라도 진행성 간 섬유화를 동반하는 경우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함을 처음으로 확인하여 제시한 결과이다”라고 밝혔다.


□ 국립보건연구원 권준욱 원장은 “이번 연구로 만성질환의 주요 사망원인 질환인 심혈관질환 발생을 궁극적으로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  심혈관계 대사질환 중 유일하게 정상으로의 회복이 가능한 단순 지방간 단계에서 지방간염과 간 섬유화 발생을 조기에 예측하고 진단하여 중재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 질병관리청 2021-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08 자극성 신맛 캔디의 안전 관리 기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4 37
6607 앞으로 석면해체.제거 시 석면함유 잔재물 등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37
6606 유아동용 선글라스 관련 비교정보 생산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37
6605 무분별한 공공앱 개발은 이제 그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0 37
6604 “아이가 보내는 위기신호, 빅데이터로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9 37
6603 새일센터, 올해 경력단절여성 1만 5천명 대상 774개 무료 직업훈련과정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6 37
6602 자녀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확인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5 37
6601 기초 지자체마다 “도시재생대학”을 운영하여 ‘주민주도 도시재생 거버넌스’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5 37
6600 대리점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3 37
6599 새 학기 스트레스,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함께 해결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2 37
6598 대리점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7
6597 대리점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3 37
6596 위험요소 안전신고한 학생 봉사시간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6 37
6595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내 금융거래 관련 유의사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6 37
6594 푸조, 닛산, 애스턴 마틴, BMW MINI 리콜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1 37
Board Pagination Prev 1 ...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