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혈액수급 위기를 극복하고,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안정적인 혈액보유량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였다. (10.25일 기준 혈액보유량 3.9일분)

이번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는 지난해 12월 수립한 「2021~2025년 혈액관리 기본계획」 후속조치에 따른 것으로,

- 헌혈 경험자와 미경험자를 대상으로 ①헌혈 참여실태 및 인식, ②헌혈 관련 추진 정책, ③헌혈 참여 홍보방안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2021.8.31.~9.6. 전국 거주 만 16~69세 남‧녀 헌혈 경험자 500명, 미경험자 500명 (총 1,000명) 대상 설문실시

이번 조사 결과, 10명 중 5명 이상이 평소 헌혈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헌혈을 경험한 경우 다시 헌혈에 참여할 의향이 크고, 혈액 안전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10명 중 7명은 헌혈은 불편을 감수할만한 가치가 있고, 자신이 유용하게 느끼게 하며, 헌혈자는 사회적으로 예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번에 실시한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결과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헌혈 참여 실태 및 인식

헌혈 경험자의 절반 이상(57.0%)은 간헐적 헌혈을 하고 있으며, 연 4회 이상 주기적 헌혈은 11.2%, 총 1회만 경험한 경우는 31.8%임

- 헌혈 1회 경험자가 헌혈하지 않는 이유로 헌혈 문진에서 탈락해서(37.1%), 헌혈을 할 시간이 없어서(34.6%), 채혈과정 후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우려되어서(29.6%) 등 순으로 나타남

- 헌혈 종류로 일반헌혈(88.6%)이 가장 높으며, 지정헌혈(11.4%)을 한 경우, 그 이유로 지인 등의 요청(43.9%), 희귀혈액형이 부족(22.8%), 지정헌혈 요청 글(19.3%) 순임

헌혈에 참여한 동기는 의미 있는 행동이라서(70.2%)가 가장 높으며, 간단한 건강진단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25.2%)이 그 뒤를 이음(1, 2순위까지 합산), 헌혈경험자의 향후 헌혈 의향은 71.8%로 나타남

< 헌혈 참여 실태 > : 본문 내용 참조


헌혈을 경험하지 않은 자는 헌혈 문진에 탈락해서(54.0%), 건강 등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28.8%), 채혈 과정 후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우려돼서(25.2%) 순으로 나타남(1, 2순위까지 합산)

전체 설문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57.2%)이 평소 헌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혈액 안전성에 대해서는 68.2%가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음(헌혈관심 ‘보통’ 33.5%, 혈액안전성인식 ‘보통’ 28.0% 응답 제외)

- 특히, 헌혈 경험자의 헌혈에 대한 관심(71.2%)과 안전성 인식도(74.0%)가 높음

- 헌혈문진 기준은 의학적 안전성을 중심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92.0%로 높게 나타남

헌혈은 불편을 감수할만한 가치가 있다(76.0%), 헌혈은 자신이 유용하다고 느끼게 한다(71.3%), 헌혈자는 사회적으로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70.6%) 인식이 높게 나타남

- 헌혈 연상 시 생명, 타인이 가장 많이 떠오른 것으로 나타나고, 그 외 헌신, 필요, 사람, 기회, 건강 등의 단어를 떠올림

< 헌혈에 대한 인식(N=1,000명, %) >  : 본문 내용 참조

2. 헌혈 관련 정책 추진

헌혈 증진사업 인지도는 헌혈 홍보캠페인(63.0%), 다회 헌혈자 문화행사 및 감사선물(38.4%), 생애 첫 헌혈 증진사업(25.9%)이며, 각 사업의 필요도 및 헌혈 참여 영향도 또한 높음(중복응답)

< 헌혈증진사업 인지도(N=1,000명, %) >  : 본문 내용 참조


헌혈자 예우 증진사업으로 공공시설‧지자체‧민간시설 이용료 감면(82.7%) 및 지역상품권 증정(82.0%), 다회 헌혈자 포상 필요성(71.6%) 등을 응답

헌혈 기념품 제공 필요도는 79.7%이며, 헌혈자는 최근 헌혈 후 ‘문화’ 관련 기념품(52.0%)를 받았으며, 만족도는 66.5%이나, 기념품 종류 다양성에 대한 동의 정도(34.3%)는 낮은 편

헌혈 기념품 개선 시 헌혈 동참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78.8%로 나타남(‘보통’ 응답(19.8%) 제외)

헌혈 경험자의 31.8%는 헌혈 증서를 모두 보관하고 있으며, 일부만 보관(34.2%)하거나 모두 보관하지 않는 비율(34.0%)도 비슷한 수준

- 헌혈 증서 미보관 이유로는 분실 또는 훼손했기 때문에(54.3%), 헌혈 증서를 기부했기 때문(34.6%), 타인에게 양도했기 때문(20.2%) 순으로 나타남
전체 설문응답자는 종이 헌혈증서가 전자 헌혈증서로 대체‧병행되는 것에 대한 긍정 인식은 93.9%로 높으며, 62.7%가 헌혈 참여에 영향력이 있다고 인식함(중복응답)

- 헌혈증서 사용내역, 기증이력 관리를 위한 헌혈 앱 사용의향은 80.7%이며, 이에 따른 헌혈 참여 영향력이 있다는 응답은 72.7%임

3. 헌혈 참여 홍보 방안

전체 설문응답자의 40.1%는 최근 2년 내 헌혈 홍보활동을 접해본 바 있으며, 접촉 경로는 헌혈의집‧헌혈카페‧헌혈버스(60.3%), TV(37.7%), 버스‧지하철‧전광판 등 옥외광고(27.9%), SNS(24.7%) 순으로 나타남

헌혈 홍보 시 접촉이 높고, 효과적인 홍보 매체는 SNS(58.1%), TV(55.1%), 옥외광고(28.6%) 순, 홍보 활동으로 공익광고 캠페인(37.6%), 온라인 동영상(22.5%), 방송보도(20.6%) 순으로 나타남

헌혈 홍보 시 중요하고 우선해야 할 내용으로 헌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증가해야 한다(62.2%)는 응답과 헌혈한 혈액이 쓰이는 용도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4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남

< 헌혈 홍보 중요사항 및 홍보내용(1,000명, %) >   : 본문 내용 참조

보건복지부는 이번 헌혈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헌혈 기부문화 조성 및 헌혈자 예우 강화를 지속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헌혈에 꾸준히 참여해주시는 국민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앞으로 헌혈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 국민 신뢰 확보 등을 통해 헌혈 기부문화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10월 한 달 동안 헌혈 집중 홍보기간을 운영하고, 10월 7일부터 1개월간 TV광고 송출을 통해 응급실, 수술실의 위급상황에서 헌혈이 생명을 살리는 점을 부각하고, 헌혈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2021-10-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75 생닭은 냉장온도에서 보관.운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1 46
6274 생리대 등 품질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1
6273 생리대 착향제 중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0 50
6272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화 내년부터 본격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2
6271 생리대·탐폰·생리컵 구매 시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5 20
6270 생리용품, 제품 유형마다 사용법과 주의사항이 달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1 21
6269 생명 위협하는 ‘도로 위 흉기’, 국민권익위에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7 2
6268 생명보험 중도해약 사유, 경제사정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8 12
6267 생보사,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보험계약대출금리 인하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3 12
6266 생분해성 수지제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6
6265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가이드북 제3권 및 4권 발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7 119
6264 생애주기별 맞춤형복지 완성과 안전한 국민생활 여건 조성을 위한 2016년도 민생안정 지원 주요 사업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106
6263 생애주기별 소비자교육 콘텐츠 다운로드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72
6262 생애주기별 정부지원 안내서비스, 올해 임신·아동돌봄까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2 42
6261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 (출산, 아동보육, 청년층, 경력단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0 42
Board Pagination Prev 1 ...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