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혈액수급 위기를 극복하고,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안정적인 혈액보유량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였다. (10.25일 기준 혈액보유량 3.9일분)

이번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는 지난해 12월 수립한 「2021~2025년 혈액관리 기본계획」 후속조치에 따른 것으로,

- 헌혈 경험자와 미경험자를 대상으로 ①헌혈 참여실태 및 인식, ②헌혈 관련 추진 정책, ③헌혈 참여 홍보방안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2021.8.31.~9.6. 전국 거주 만 16~69세 남‧녀 헌혈 경험자 500명, 미경험자 500명 (총 1,000명) 대상 설문실시

이번 조사 결과, 10명 중 5명 이상이 평소 헌혈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헌혈을 경험한 경우 다시 헌혈에 참여할 의향이 크고, 혈액 안전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10명 중 7명은 헌혈은 불편을 감수할만한 가치가 있고, 자신이 유용하게 느끼게 하며, 헌혈자는 사회적으로 예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번에 실시한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결과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헌혈 참여 실태 및 인식

헌혈 경험자의 절반 이상(57.0%)은 간헐적 헌혈을 하고 있으며, 연 4회 이상 주기적 헌혈은 11.2%, 총 1회만 경험한 경우는 31.8%임

- 헌혈 1회 경험자가 헌혈하지 않는 이유로 헌혈 문진에서 탈락해서(37.1%), 헌혈을 할 시간이 없어서(34.6%), 채혈과정 후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우려되어서(29.6%) 등 순으로 나타남

- 헌혈 종류로 일반헌혈(88.6%)이 가장 높으며, 지정헌혈(11.4%)을 한 경우, 그 이유로 지인 등의 요청(43.9%), 희귀혈액형이 부족(22.8%), 지정헌혈 요청 글(19.3%) 순임

헌혈에 참여한 동기는 의미 있는 행동이라서(70.2%)가 가장 높으며, 간단한 건강진단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25.2%)이 그 뒤를 이음(1, 2순위까지 합산), 헌혈경험자의 향후 헌혈 의향은 71.8%로 나타남

< 헌혈 참여 실태 > : 본문 내용 참조


헌혈을 경험하지 않은 자는 헌혈 문진에 탈락해서(54.0%), 건강 등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28.8%), 채혈 과정 후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우려돼서(25.2%) 순으로 나타남(1, 2순위까지 합산)

전체 설문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57.2%)이 평소 헌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혈액 안전성에 대해서는 68.2%가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음(헌혈관심 ‘보통’ 33.5%, 혈액안전성인식 ‘보통’ 28.0% 응답 제외)

- 특히, 헌혈 경험자의 헌혈에 대한 관심(71.2%)과 안전성 인식도(74.0%)가 높음

- 헌혈문진 기준은 의학적 안전성을 중심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92.0%로 높게 나타남

헌혈은 불편을 감수할만한 가치가 있다(76.0%), 헌혈은 자신이 유용하다고 느끼게 한다(71.3%), 헌혈자는 사회적으로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70.6%) 인식이 높게 나타남

- 헌혈 연상 시 생명, 타인이 가장 많이 떠오른 것으로 나타나고, 그 외 헌신, 필요, 사람, 기회, 건강 등의 단어를 떠올림

< 헌혈에 대한 인식(N=1,000명, %) >  : 본문 내용 참조

2. 헌혈 관련 정책 추진

헌혈 증진사업 인지도는 헌혈 홍보캠페인(63.0%), 다회 헌혈자 문화행사 및 감사선물(38.4%), 생애 첫 헌혈 증진사업(25.9%)이며, 각 사업의 필요도 및 헌혈 참여 영향도 또한 높음(중복응답)

< 헌혈증진사업 인지도(N=1,000명, %) >  : 본문 내용 참조


헌혈자 예우 증진사업으로 공공시설‧지자체‧민간시설 이용료 감면(82.7%) 및 지역상품권 증정(82.0%), 다회 헌혈자 포상 필요성(71.6%) 등을 응답

헌혈 기념품 제공 필요도는 79.7%이며, 헌혈자는 최근 헌혈 후 ‘문화’ 관련 기념품(52.0%)를 받았으며, 만족도는 66.5%이나, 기념품 종류 다양성에 대한 동의 정도(34.3%)는 낮은 편

헌혈 기념품 개선 시 헌혈 동참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78.8%로 나타남(‘보통’ 응답(19.8%) 제외)

헌혈 경험자의 31.8%는 헌혈 증서를 모두 보관하고 있으며, 일부만 보관(34.2%)하거나 모두 보관하지 않는 비율(34.0%)도 비슷한 수준

- 헌혈 증서 미보관 이유로는 분실 또는 훼손했기 때문에(54.3%), 헌혈 증서를 기부했기 때문(34.6%), 타인에게 양도했기 때문(20.2%) 순으로 나타남
전체 설문응답자는 종이 헌혈증서가 전자 헌혈증서로 대체‧병행되는 것에 대한 긍정 인식은 93.9%로 높으며, 62.7%가 헌혈 참여에 영향력이 있다고 인식함(중복응답)

- 헌혈증서 사용내역, 기증이력 관리를 위한 헌혈 앱 사용의향은 80.7%이며, 이에 따른 헌혈 참여 영향력이 있다는 응답은 72.7%임

3. 헌혈 참여 홍보 방안

전체 설문응답자의 40.1%는 최근 2년 내 헌혈 홍보활동을 접해본 바 있으며, 접촉 경로는 헌혈의집‧헌혈카페‧헌혈버스(60.3%), TV(37.7%), 버스‧지하철‧전광판 등 옥외광고(27.9%), SNS(24.7%) 순으로 나타남

헌혈 홍보 시 접촉이 높고, 효과적인 홍보 매체는 SNS(58.1%), TV(55.1%), 옥외광고(28.6%) 순, 홍보 활동으로 공익광고 캠페인(37.6%), 온라인 동영상(22.5%), 방송보도(20.6%) 순으로 나타남

헌혈 홍보 시 중요하고 우선해야 할 내용으로 헌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증가해야 한다(62.2%)는 응답과 헌혈한 혈액이 쓰이는 용도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4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남

< 헌혈 홍보 중요사항 및 홍보내용(1,000명, %) >   : 본문 내용 참조

보건복지부는 이번 헌혈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헌혈 기부문화 조성 및 헌혈자 예우 강화를 지속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헌혈에 꾸준히 참여해주시는 국민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앞으로 헌혈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 국민 신뢰 확보 등을 통해 헌혈 기부문화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10월 한 달 동안 헌혈 집중 홍보기간을 운영하고, 10월 7일부터 1개월간 TV광고 송출을 통해 응급실, 수술실의 위급상황에서 헌혈이 생명을 살리는 점을 부각하고, 헌혈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2021-10-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50 빵류 영양표시 확인하고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37
6349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9
6348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 9월부터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17
6347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 신청, 전자메일 등 온라인으로도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2 9
6346 프로스포츠 굿즈 어린이용 모자,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2 10
6345 계속거래 등의 해지·해제에 따른 위약금 및 대금의 환급에 관한 산정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26
6344 본인부담상한제로 저소득층 의료비 부담 크게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18
6343 2020년 건강보험료율 인상률 3.2%(6.46%→6.67%)로 결정, 전립선 초음파 검사비 부담 1/3로 경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30
6342 내년 1월부터 조산아, 저체중 출생아의 외래 본인부담률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23
6341 질병관리본부와 친구 맺고 건강도 챙기세요~! 질병예방 위한 카톡 이모티콘 3탄~‘쭈~욱 건강하라능’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18
6340 “비용 미결제로 예약하신 국립공원시설이 자동취소될 수 있습니다”... 문자서비스로 사전 안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2
6339 “산재 신청서 작성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26
6338 난폭·보복·음주 운전은 중대한 범죄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28
6337 온라인 영어강의 소비자 만족도, ‘정보 및 콘텐츠 품질’ 높고 ‘학습관리’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3
6336 정부, 어린이가 안전한 학교생활 만들기에 힘 모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5
Board Pagination Prev 1 ...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