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_국_좌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93pixel, 세로 477pixel

보도자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슬로건_국문만사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151pixel

보도일시

배포 즉시

배포일자

2021. 10. 22.()

담당과장

평가원 미생물과

김순한 (043-719-4301)

담당자

김미경 연구관

(043-719-4304)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윤순식 (054-912-0722)

임숙경 연구관  

(054-912-0738)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 내성’조사 결과 발표

- ’20 항생제 판매량 19년과 유사…일부 판매량 늘어난 항생제는 내성률 증가 -

(가축) 항생제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의 항생제 내성률은 전반적으로 낮고 감소 추세, 돼지와 닭 내성률항생제 판매량에 따라 차이 발생

(축산물) 소고기항생제 내성률은 전반적으로 낮았고, 돼지고기와 닭고기일부 항생제 내성률증가하는 추세

손 씻기와 충분히 익혀먹기 등 위생 수칙을 잘 지키면 항생제 내성균은 사멸 가능

정부는 코덱스 항생제내성특별위원회 의장국으로서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에 대한 국제규범을 마련하는데 기여

국내 축산현장에 맞는 항생제 적정 사용 모델 개발과 항생제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개선 노력 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2020년도 축산 분야 항생제 사용과 성률에 대해 공동으로 조사·분석* 결과를 담은 2020년도 국가 항생제 사용 내성 모니터링(동물, 축산물)’을 발간했습니다.

    * ①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내 가축 및 도축장 도체를 ② 식약처는 유통 축산물을 조사‧분석

  조사 결과 2020 전체 항생제 판매량(추정치 736) 2019(745) 비슷 수준이었습니다.

  - 항생제 배합사료 첨가 금지(11.7)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감소한 항생제의 내성률은 낮아진 반면 판매량이 늘어난 항생제의 경우 항생제 내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참고로 기관은 2013년부터 매년 ▲축산용 항생제 판매량(한국동물약품협회) ▲가축, 도체, 유통 축산물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 현황을 공동으로 파악하여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 항생제 내성률: 분리된 세균 중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의 비율

  - 항생제 내성균은 가축에 대한 항생제 오남용으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과 환경에 의해서도 직·간접적으로 전파될 있으므로, 축산물의 가공·유통·조리 과정에서  씻기와 충분히 익혀먹기  위생 수칙을 지키면 사멸시킬 있습니다.

2020 가축에 사용하는 항생제의 판매량은 2019  차이가 없었으나, 판매량의 증감에 따라 가축·축산물의 항생제 내성률도 연동하는 추이를 보였습니다.

  (가축) 축종별 항생제의 판매량은 돼지, , 소의 *이었으며 가축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률은 판매량이 비교적 적은 소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고 감소 추세 반면, 돼지와 닭은 항생제 판매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 20년 축종별 항생제 판매량() : (돼지) 501, () 139, () 96

   - 살아있는 가축의 항생제 내성률은 판매량에 따라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판매량이 감소한 설파계(트리메소프림/설파메속사졸) 트라싸이클린의 내성률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판매량이 증가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세프티오퍼), 페니실린계(암피실린), 페니콜계(클로람페니콜)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 증가했습니다. 

 

   * 설파계(트리메토프림/설파메속사졸) 항생제 내성률(%) : ▴소[(13) 4.3 (20) 3.6], ▴닭[(13) 46.5 (20) 44.1]

   **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세프티오퍼) 항생제 내성률(%) : [(13) 9.1 (20) 11.8]

  (축산물) 유통되는 축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 항생제 내성률 소고기에서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돼지고기 닭고기 높게 나타났습니다.

  - 돼지고기*에서는 페니실린계(암피실린), 페니콜계(클로람페니콜), 테트라싸이클린계(테트라싸이클린)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닭고기**에서는 페니실린계(암피실린), 테트라싸이클린계(테트라싸이클린), 퀴놀론계(씨프로플록사신)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 돼지고기 유래 내성률(%): (암피실린) 67, (클로람페니콜) 63, (테트라싸이클린) 61

   ** 닭고기 유래 내성률(%): (암피실린) 83, (테트라싸이클린) 73, (씨프로플록사신) 71

  - 특히, 닭고기에서 3세대 팔로스포린계(세프티오퍼)* 페니콜계(클로람페니콜)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증가했습니다.

   *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세프티오퍼) 항생제 내성률(%) : 닭고기[(13) 12.8 (20) 18.6]

  참고로 세균성 감염병 치료를 위해 최후의 항생제 사용되는 카바페넴계 항생제 대한 내성은 가축과 축산물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식품(축산물)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품 공급 단계마다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내성균의 확산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축산 농가 ▲항생제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하고 ▲처방받은 항생제는 사용 설명서에 따라 사용하고 사용 내역을 기록하며 ▲예방접종 실시, 차단 방역, 위생적인 사육관리로 질병 예방을 위한 노력 기울여야 합니다.

 

  가공업자 유통업자 작업장 유통환경 위생적으로 관리해 식품이나 작업자가 내성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소비자 ▲축산물이나 축산물 가공품을 조리 식중독 예방수칙(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 준수 내성균 사멸되게 하고 ▲위생적인 식품관리  감염예방 수칙 준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생제내성특별위원회(TFAMR*) 의장국으로서 식품 유래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규범** 마련하는 국제적인 공동대응 앞장서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항생제를 바르게 사용할 있도록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 개선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TFAMR : Task Forc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 항생제 내성 최소화 및 확산방지를 위한 실행규범, 항생제 내성 통합 감시가이드라인

  한편, 식약처 주관으로 개최된(21.9.6.~9.8., 3일간) ‘제1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 국제컨퍼런스’에서 영국* 항생제 내성 특별대사 데임 샐리 데이비스 “항생제 내성 문제가 코로나19보다 사회경제적 여파를 미칠 있다”면서 축·수산 분야에서의 항생제 사용 감소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영국은 ’14년 이후 축산·수산양식에서 항생제 사용을 절반으로 줄이고 생산성은 유지

  이와 관련하여 검역본부는 국내 축산현장에 맞는 항생제 적정 사용 모델을 개발하고 축산농가에서 항생제를 신중하게 사용할 있도록 수의사, 생산자  대상으로 교육 홍보를 강화 계획입니다.

 

식약처와 검역본부는 앞으로도 항생제 내성에 대한 대국민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항생제 내성균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항생제 오남용 방지 항생제 내성균 전파 차단 등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기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 법령/자료-홍보물자료-전문홍보물

    * 농림축산검역본부 : 동식물위생연구-동식물위생연구현황-세균질병분야 연구현황-항생제내성 연구실-축산분야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첨부> 1. 축산용 항생제 판매량(추정치)
2. 가축 축산물에서 주요 항생제 내성률 변화 추이
3. 보도자료 관련 Q&A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10-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43 「여권사진 규격 안내문」개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42
6442 설맞아 전국 522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8 42
6441 달걀 껍데기를 보면 달걀 정보를 알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42
6440 3월 법인세 신고, 납세자 중심의 맞춤형 안내 최대한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2
6439 달걀 자가품질검사 의무화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2
6438 아우디, FCA, 르노, 스즈키, KTM 리콜실시(총 21개 차종 25,600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2
6437 천체영상을 보면서 클래식 음악으로 힐링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6 42
6436 '지구의 날' 맞이 어린이 환경체험 참여 가족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2 42
6435 산후조리원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0 42
6434 교통비 30% 줄여주는 광역알뜰교통카드…30일부터 세종에서 시범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7 42
6433 가정용 혈압계, 저렴한 제품도 혈압 정확도 문제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8 42
6432 BMW 차량 약 5만 5천대 배출가스 부품 결함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42
6431 인터넷주소·접속기록 확보로 실종아동 빨리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4 42
6430 5.4일부터 신혼부부 특별공급 2배 확대, 특별공급 인터넷청약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42
6429 금융감독원,취업포털 4개사, 아르바이트생,취업준비생 대상 보이스피싱에 공동 대응키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8 42
Board Pagination Prev 1 ...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