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 자료는 212() 석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 212() 오전 6]

 

지자체 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 인지·만족도 저조

- 비수도권의 인지율·경험률 수도권보다 낮아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전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방자치단체 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만족도가 낮고,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 주민의 인지도나 경험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과거 지역소비자행정 활성화를 위해 현황조사를 수행한 바 있고, 이번에 처음으로 지역주민 대상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지역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낮고 만족도도 저조

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16개 시·도에 소비자상담, 소비자교육 등 소비자업무를 담당하는 소비생활센터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주지역 내에 이러한 시설이 있다는 것을 아는 주민은 1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대표적인 소비자행정 서비스라 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에 대해 아는 주민은 13.1%에 불과했다.

지자체의 소비자행정 시설이나 서비스의 이용 경험률도 매우 낮았다. 지역 내 소비생활센터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주민은 2.9%, 소비자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주민은 7.1%에 머물렀다. 사실상 지역주민들이 지자체 소비자행정을 잘 모르고 있으며, 지자체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주민들에게 제대로 전달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_x229699768

_x233860664 

또한, 지역소비자행정 시설·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인프라나 서비스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0점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저조하였다. 대표적으로, 소비생활센터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61.79, 소비자교육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60.30점이었다.

 

_x229646360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의 인지율·경험률 낮아

지역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나 시설·서비스 이용 경험률의 지역 간 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생활센터의 인지율에 있어서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14.7%임에 반해 비수도권은 11.3%에 불과하였으며, 소비생활센터의 방문 경험률에서도 수도권 3.5%, 비수도권 2.2%로 차이를 나타냈다.

 

   _x231498296 

지역소비자행정 활성화를 위한 홍보와 노력 강화돼야

현행 소비자기본법에서는 지역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도 소비자행정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것처럼 지역주민들의 지역소비자행정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는 저조한 수준이다. 지역소비자행정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의 노력과 적극적인 정책홍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한편, 지역소비자행정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소비자들의 권익 증진이므로 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번 조사에서처럼 최종 고객인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는 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환류(feedback)함으로써, 지역소비자행정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을 촉진하고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작년 12월 동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역소비자행정에 대한 주민만족도 측정 실시 방안을 관계기관에 건의하였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지자체 중 처음으로 인천광역시를 소비자행정 선도지자체로 선정하고, 지난 122일 세 기관 간 공동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소비자원은 향후 인천광역시와 지역소비자행정 활성화를 위한 다방면의 사업을 공동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2-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0 지난 한해 국민들이 유용하게 활용한 정부3.0 공공정보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83
2149 지난 한해 노사문화 최우수 행정기관에 강원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9 142
2148 지난해 공개된 공공정보 중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7 244
2147 지난해 기업결합 건수 줄고, 규모는 커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7 77
2146 지난해 다단계 판매 업체 총 128개, 상위 1%가 수당 절반 차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5 119
2145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출 급증으로 무역수지 흑자 전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4
2144 지난해 병원비 부담을 건강보험에서 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3 18
2143 지난해 우리나라 국토 면적 여의도 5배 만큼 넓어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37
2142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 고속 성장 -‘15년 의료기기 생산실적 발표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2 95
2141 지난해 의약품 수출실적 5년내 가장 큰 폭으로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9 126
2140 지난해 중앙행정기관 제·개정 법령 1,644개 중 113개, 335건 부패유발요인 사전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8 38
2139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 6.6%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0
2138 지난해 평균 일 교통량 13,378대로 전년대비 1.6%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2 69
2137 지능화되는 테러 수법, 확실하게 대응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72
2136 지리산 반달가슴곰 기지개…정해진 탐방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7
Board Pagination Prev 1 ...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