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쯔쯔가무시증의 본격적인 호발 기간(10월 중순~11앞두고 9월까지 전년 동기간 대비 발생건수 25.3% 증가

◇ 가을철 야외활동 시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야외활동 후 2~3주 이내 발열구토 등 발생 시 의료기관을 방문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가을철 집중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이 본격적인 호발 기간(10월 중순~11월)을 앞두고 전년 동기간* 대비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밝히며(붙임 3 참고),


    * 2020년 545명 → 2021년 683명(9월 30일 기준)


 ○ 대체공휴일을 포함한 연휴를 맞아 야외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개인 위생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잠복기) 이내 고열, 오한, 근육통,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인다.


   - 털진드기는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시기인 9월부터 11월까지 개체수가 많아지므로, 이 기간에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2020년, 10~11월 쯔쯔가무시증 발생 건수가 연간 발생의 약 77.8% 차지


 ○ 또한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므로 무엇보다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면서, 


   - 야외활동 후 2~3주 이내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필요 시 적시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undefined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작업 및 야외 활동 전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야외활동 및 농작업 시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착용하기

긴팔·긴바지모자목수건토시장갑양말장화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 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으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돗자리를 펴서 앉고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샤워나 목욕하기

머리카락귀 주변팔 아래허리무릎 뒤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쯔쯔가무시증을 포함한 가을철 집중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관리를 위해 환자 발생 감시, 역학조사 및 매개체 감시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히며,


 ○ “국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예방수칙과 주의사항이 전달될 수 있도록 시‧도와 긴밀히 협력하여 지속적인 예방 교육과 홍보를 진행 중이라고 하며,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10-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51 안전정보 표시를 누락한 Coleman 휴대용 버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7 2021.12.27
2550 안전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은 안전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4.16
2549 안전인증 의무화 등 승강기 안전관리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9.03.05
2548 안전인증 받지 않은 Tupa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4.01.04
2547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1.01.27
2546 안전수칙 지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특히 하천·강에서 물놀이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17.07.14
2545 안전수칙 지켜 놀이시설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5.02
2544 안전성조사결과 리콜명령대상 제품(38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6 2016.07.05
2543 안전성 미흡한 Denver 어린이용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1.10.07
2542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마스크 패치, 사용하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6.08
2541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TOAMIT 공간 제균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0.07.01
2540 안전사고 예방으로 즐거운 가을 축제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0.10
2539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Enlighten 장난감 총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30 2015.05.26
2538 안전기준 초과하는 E202 첨가제 함유해 리콜된 WuFuYuan 타피오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1.14
2537 안전기준 부적합한 타이거 전기밥솥, 전기포트, 전기보온병, 스팀리스보온병, IH JAR 밥솥 31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06.07
2536 안전기준 미준수 Tom aibaby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7.18
2535 안전기준 미준수 Sonarin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7.18
2534 안전기준 미준수 Lulonee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7.18
2533 안전기준 미달 Punisher 자전거 안전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06
2532 안전결제사이트 사칭 사기피해 발생…소비자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17.08.16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