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독감이 유행하는 11월이 되기 전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을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이 시작돼 국민권익위원회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에 민원 예보를 발령했다.
    * (접종대상‧기간) 2회 접종 필요 어린이와 임산부(’21.9.14.~’22.4.30.), 어린이(’21.10.14.~ ’22.2.28.), 어르신(75세 이상 ’21.10.12.~, 70~74세 ’21.10.18.~, 65세 이상 ’21.10.21.~’22.2.28.)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무료접종 대상 여부 및 코로나19 백신과 접종 간격 문의, 백신 부족으로 인한 접종 어려움 등 ‘독감 예방접종’ 관련 민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신속한 안내와 국민 불편사항에 대한 적극 대응을 당부했다.
□ ‘독감 예방접종’ 관련 민원은 최근 3년간(2018년 1월~2020년 12월) 총 1,714건으로 독감이 유행하는 매년 11월~다음해 4월 이전인 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 5년간(’15~’19년) ‘독감’ 진료환자수의 경우 겨울 71.9%, 봄 23.8%, 여름 3.7%, 가을 0.6% 순으로 많음(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 민원은 ▴무료접종 대상 여부, 코로나19 백신과 접종 간격 문의 ▴백신 부족으로 인한 접종 어려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이용 등 접종 시 경험한 불편사항 ▴출장접종 가능 여부 확인 요청 등이다.

< ‘독감 예방접종’ 관련 주요 민원사례 >
[ 무료접종 대상 여부, 코로나19 백신과 접종 간격 문의 ]
# 아들이 2001년 9월생인데,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습니다. 독감 무료예방접종 대상에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20. 9.)
# 회사 직원들이 코로나 백신을 접종 중에 있는데 독감백신 접종기간과 겹칩니다. ① 2차까지 접종 후 독감접종을 하는 것이 좋은지, ② 1차와 2차 사이에 접종하여도 되는지 ③ 독감접종을 먼저 맞는 것이 좋은지 ④ 두 백신 간 접종 후 권장기간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2021. 9.)
[ 백신 부족으로 인한 접종 어려움 호소 ]
# 백신 제조사들이 물량 부족을 이유로 병의원에 물량을 적게 공급하여 백신 가격은 인상되나 백신을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치 요청 드립니다. (2021. 9.)
# 지정병원 열 곳 정도를 다니고 전화해 알아봤지만 예방접종을 할 수 없다는 얘기만 들었습니다. 백신을 구할 수 없어 맞지 못하는 상황이 이해가 안 됩니다. (2020. 10.)
[ 누리집 이용 등 예방접종 시 경험한 불편 제기 ]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예약을 하였습니다. 예진표도 미리 제출하였으나, 병원은 인터넷 신청이 된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승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줄을 서서 대기 순번을 받고 예진표를 다시 작성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2020. 9.)
# 보건소에 2번 방문하였으나 독감 예방접종을 못했습니다. 처음에는 접종시간을 이유로, 다음에는 주민등록등본을 이유로 접종을 못했습니다. 제가 받은 안내 메시지에는 시간이나 필요 서류 내용은 없었는데, 개선 요청 드립니다. (2020. 11.)
[ 출장접종서비스 제공 요건 확인 요청 등 기타 요청사항 ]
# 의료원에서 혹시 모를 노출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고자 관내 요양기관 및 시설에 담당 의료진이 방문하여 독감 접종을 하고자 합니다. 의료법 제33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의료진이 방문하여 접종이 가능한지 문의하고자 합니다. (2020. 9.)
 
□ 국민권익위는 민원 예보 발령과 함께 지난 한 달 동안 민원분석시스템*에서 수집한 민원 동향도 공개했다.
    * 국민신문고 및 지자체 민원창구 등을 통해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기 위해 국민권익위가 운영하는 범정부 민원분석시스템
   지난달 민원 발생량은 총 1,487,791건으로 전월 1,228,390건 대비 21.1%가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1,204,176건 대비 23.6%가 증가했다.

   9월 주요 민원키워드는 9월 6일부터 국민신문고를 통해 신청이 시작된 ‘국민지원금 이의신청’이 상위를 차지했으며, 불법주정차, 교통 대책, 광역교통대책 수립, 도심 접근성 등‘교통 환경 개선’과 관련된 키워드가 상당수를 차지했다.
기관 유형별로는 전월과 비교해 중앙행정기관(0.8%), 지방자치단체(28.7%), 교육청(282.3%)이 증가했고 공공기관등(17.8%)은 감소했다.
   중앙행정기관 중에서는 기획재정부가 “서울경전철 목동선 건설사업 착공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요청(1,487건)” 등과 관련해 총 2,445건의 민원으로 전월 대비 246.8%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소득기준, 가족구성 변경 관련 등 국민지원금 이의신청(2,524건)” 등 총 6,130건이 발생한 세종특별자치시가 전월 대비 84.3% 증가했다. 교육청 중에서는 경기도교육청이 “매교초 설립 촉구(60,395건)” 등과 관련해 총 67,894건의 민원으로 전월 대비 가장 많이 증가(486.4%)했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ㅇㅇ프로그램 송출 중단 요청(492건)” 등 총 760건의 민원으로 전월 대비 144.4% 증가했다.
□ 국민권익위 양종삼 권익개선정책국장은 “독감 예방접종이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함께 진행되어 다른 때보다 관련 문의나 불편사항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예방접종 및 백신 접종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선제적 안내와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1-10-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18 국민권익위, “공익사업을 위해 수용하고 남은 토지가 원래 목적대로 사용이 어렵다면 지자체가 매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6 30
4417 국민권익위, “공익사업으로 끊긴 통행로, 사업 시행자가 개설해 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43
4416 국민권익위, “공익사업 편입 토지, 실제 이용현황에 맞게 보상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31
4415 국민권익위, “공무원 적극행정 신청하고 소극행정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8
4414 국민권익위, “공동주택 등 사유지내 주차갈등, 이대로 좋은가?”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8 38
4413 국민권익위, “공동주택 등 사유지 주차갈등 해법, 국민의견으로 결정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8 46
4412 국민권익위, “공단·공사 등 공공기관 대상 공익신고도 보상금 받을 수 있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33
4411 국민권익위, “공공장소 수유실, 기저귀교환대 위생ㆍ안전 관리 강화”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34
4410 국민권익위, “공공기관이 부과하는 연체료 30배 차이 괜찮은가?”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9 15
4409 국민권익위, “공공기관의 무분별한 상품권 제공, 부정사용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0 31
4408 국민권익위, “공공기관 직원 채용 신체검사 비용, 고용주가 부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2
4407 국민권익위, “공공기관 부과 연체금 최고 연 17%→6% 이내로 내려야” 제도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54
4406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센터” 공식 출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7
4405 국민권익위, “경작하던 농지가 공익사업에 편입되어 필요없게 된 농기구, 보상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6 15
4404 국민권익위, “경비원 명부에 기재하는 과다한 개인정보 최소화”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0 15
Board Pagination Prev 1 ...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