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세요!

- 장애인 정보 접근성 개선을 위한 의약품 정보 간편 검색 서비스개시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장애인·어르신  정보 취약계층 모든 국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의약품 정보 확인 있도록 ‘의약품 정보 간편 검색 서비스* 9 30일부터 제공합니다.

    * 의약품안전나라 모바일 누리집(nedrug.mfds.go.kr)에 접속해 이용 가능

  이번 서비스는 2024 7부터 의약품의 포장용기 등에 시‧청각장애 위한 점자 또는 음성‧수어영상 변환용 코드 표시 무화*됨에 따라 이를 이행하기 위한 의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단계적 개선 작업** 일환으로 마련했습니다.

    * 「약사법」 개정(21.7.20., 시행: 24.7.21.)

    ** (21) 정보 관리 기반 마련, 서비스 개선 → (22년∼) 장애인 맞춤형 콘텐츠 기준 수립 및 DB 구축 → (23) 구축 콘텐츠를 공공데이터로 개방

 이번 서비스의 주요 내용은 ▲의약품 정보의 바코드(용기·포장) 또는 음성검색 기능 ▲스마트폰 자체 QR코드 검색 기능을 활용할 있는 품목별 QR코드 제공 ‘의약품 개요정보(e약은요)* 음성 안내 기능 신설 정보제공 대상 품목 확대입니다.

    * 유통 실적이 있는 일반의약품을 대상으로 품목허가 사항요약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개

  별도의 입력 없이 의약품의 포장 또는 용기 부착된 바코드 인식(스캔)하면 제조·수입회사, 사용·유효기간, 의약품 개요·상세정보, 회수·폐기 정보 등을 번에 확인 있습니다.

 

   - 아울러 음성검색 기능 이용해서도 의약품 정보 원활히 검색 있도록 하며 인공지능(AI) 기술 활용해 목소리 식률 높였습니다.

  품목별 QR코드 생성·제공 별도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접속 없이 스마트폰·태블릿 등에 기본으로 탑재 QR코드 인식(스캔) 기능으로 의약품 정보 확인 있게 됩니다.

   - 앞으로 의약품 제조·수입업체는 서비스가 제공하는 QR코드를 자사 제품의 용기·포장, 첨부문서, 홍보용 전단 다양한 곳에 부착해 의약품 정보의 접근성을 높일 있습니다.

  의약품 개요정보(e약은요) 내용 음성 자동 변환 기술 활용해 음성으로 출력 주고, 개요정보 공개 대상 품목 확대(기존 4,000 품목 + 400 품목)했으며, 본문 글씨 크기 조절 기능도 제공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시‧청각장애인, 어르신 모든 국민 의약품 정보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확인 있도록 관련 전문가 애인 단체 등의 의견 폭넓게 수렴하고 장애인 경우 맞춤형 정보제공 기준 마련 위한 연구용역 추진하는 적극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붙임> 의약품 정보 간편 검색 서비스 화면

 

붙임

 

 의약품 정보 간편 검색 서비스 화면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 모바일 누리집 화면

구분

화면

◦바코드 검색

 포장,용기바코드 스캔을 통해 제품명, 업체, 유통기한, 회수정보 등 주요 의약품정보를 ‘한번’에 확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a03f4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6pixel, 세로 655pixel

◦음성 검색

 - AI 기술을 활용하여 음성 인식율 향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a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5pixel, 세로 648pixel

QR코드 제공

 모바일앱 설치 모바일웹 접속 없이 모바일기기의 QR 코드 검색 기능을 통주요 의약품 정보를 ‘한번’에 확인 가능한 QR 코드 제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a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3pixel, 세로 650pixel

내용 읽어 주기
(음성자동변환)

 - AI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음성 전달

 음성 전달에 적합한 의약품개요정보(e약은요) 우선 적용 후 확대

 

글씨 크기 조정

내용 읽어 주기

글씨 크기 조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a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6pixel, 세로 78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a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4pixel, 세로 488pixe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15 더 낮은 혈압을 목표로 치료할 경우 노인고혈압 환자 사망률 32% 감소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9
5914 더 나은 공공자원 이용 서비스를 위한 설문에 참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3
5913 더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러분의 건강실천을 보여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4 21
5912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5 8
5911 대형유통업체의 반품행위 위법성 심사지침 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0 35
5910 대형유통업체 판매수수료율 등 유통거래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8 6
5909 대형생활폐기물 처리, 인공지능으로 더 편리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31 58
5908 대형병원, 중증환자 중심으로 확 바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4 16
5907 대형마트3사, 옥시제품 전매장에서 철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91
5906 대형마트, 소비자와 손잡고 비닐봉투·과대포장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7 34
5905 대형마트 안전사고 10건 중 3건은 쇼핑카트 사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123
5904 대형마트 안전사고 10건 중 3건은 쇼핑카트 사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1 141
5903 대형마트 상품경쟁력은 ‘코스트코’, 쇼핑편리성은 ‘이마트’가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1 149
5902 대형마트 등 PB 제품.인터넷을 통한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 제조.가공업체 기획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124
5901 대형마트 4개사의 부당한 표시광고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0 78
Board Pagination Prev 1 ...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