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안전나라, 반응형 개편으로 편리하게 식품정보 확인

- 단말기(컴퓨터, 스마트 폰‧태블릿 ) 상관없이 최적화된 화면 제공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식품안전나라* 누리집의 식품안전정보를 스마트기기 종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이용 있도록 반응형 웹’으로 새롭게 개편했습니다.

   *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식품안전지식부터 위해정보 등 전문지식까지 30개 관계 행정기관이 보유한 식품안전정보를 한 곳에 모은 대국민 포털로 1일 평균 7만여명, 연간 2,527만명 방문(20년 기준)

 

 반응형 웹 : PC‧스마트폰‧태블릿 등 다양한 단말기에서 웹의 해상도, 레이아웃 등이 스크린 환경에 따라 변환해 최적화된 콘텐츠 화면을 보여주는 기능

  이번 개편은 식품안전나라 누리집에 비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 제공되는 정보나 서비스가 적어 사용자가 정보 활용 제한 있고 이용 불편하다는 국민의 의견* 반영됐습니다.

   * 식품안전나라 대국민 수요조사 결과(21): 모바일 식품안전나라 이용이 불편하고 정보가 부족함(22%)

주요 개편 내용은 ▲‘식품안전나라’와 ‘공공데이터(데이터활용서비스) 반응형 적용 인체 부위별 건강기능식품 기능별 정보 제공  ▲식품안전나라 메뉴 안내봇, 회수식품 알림서비스 제공입니다.  

 (반응형 ) 단말기나 웹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식품안전나라 화면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반응형 웹을 도입하여 PC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사용기기에 상관없이 모든 정보를 동일하게 이용 있습니다.

 

  - 아울러 식품안전나라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데이터활용서비스)에도 반응형 웹을 적용 모바일에서 데이터 이용 시에도 PC환경과 동일하게 활용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별 정보) 그동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정보를 원료명 또는 제품명으로 각각 찾아야 했으나 인체 부위별 기능성 정보(: 건강) 클릭하면 관련 기능성 원료와 제품을 바로 확인 있습니다.

   * () ‘장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제품을 알고 싶을 때 ʹ장ʹ 클릭 후 안내된 ‘기능성원료ʹ를 조회하면 제품 정보, 제품의 섭취량․유통기한 등 상세한 정보 확인 가능

  (메뉴 안내봇‧알림서비스 제공) 식품안전나라에서 식품안전정보의 메뉴 위치를 찾기 어려울 궁금한 내용의 단어나 질문을 입력하면 해당 메뉴로 직접 안내 주는 ‘식품안전나라 메뉴 안내봇(누리집 초기 화면 우측 상단 위치) 시범서비스 제공합니다.

  - 식품안전나라 회수ˑ판매중지 제품 정보 화면에서 ‘회수식품 알림서비스’ 신청하면 문자(SMS) 회수식품 등을 안내받을 있습니다.

식약처는 ‘식품안전나라’ 반응형 개편에 따른 불편사항 있는 경우, 언제든지 의견을 제출* 주시면 적극 반영하여 필요한 식품안전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용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의견 제출 방법: ①알림ˑ교육 > 이용안내 > 정보오류신고 ② 통합망 고객지원센터 1899-5590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9-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79 Tommee Tippee 고무젖꼭지(Closer Nature), 질식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7.12.06
978 9월 한낮엔 여름,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9.09.04
977 Gia Russa 빵가루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9.09.20
976 칠레 전역에 여행경보 2단계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9.10.23
975 명품월마트 / mpmark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01
974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22
97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23
972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2.03.10
971 무더운 여름철,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7.06.16
970 Le Toy Van 완구 3종, 질식위험으로 교환 · 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7.10.31
969 Lay's 과자, 우유성분 함유 미표기로 알레르기 유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07.22
968 착향제 구성 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식약처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12.02
967 유아용 물놀이 기구(Inflatable airplane swim ring),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12.27
966 피부 감염 및 자극 위험 있는 Ecostore 영유아용 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0.07.01
965 비올 때 에스컬레이터 주의해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7.08.24
964 McRae Industrial 안전화 2종, 골절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7.10.23
963 헤나 염모 · 문신 전, 반드시 패치테스트 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8.12.12
962 살구씨 식품 섭취 시 시안화중독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9.06.04
961 인어꼬리 모양의 슬라임 완구, 붕소 과다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9.11.04
960 캠핑장 안전사고의 30.8%가 화상·중독사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20.02.20
Board Pagination Prev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