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약처, 식품 온라인 중고거래 점검 결과

-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의 식품 부당광고 138 적발·조치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주요 중고거래 플랫폼 4개사* 식품, 건강기능식품 광고‧판매 게시글 284건을 대상으로 부당광고 여부를 집중 점검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률」을 위반한 138건을 적발 접속차단 조치했습니다.

    * 주요 플랫폼 업체: 중고나라, 번개장터, 헬로마켓, 당근마켓 등

  이번 점검은 최근 온라인상 개인간 거래 활성화로 중고거래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2월부터 7월까지 실시했습니다.

    * 국내 중고거래 시장 4조원(08)→ 약 20조원(20), 출처:하나금융경영연구소

주요 위반내용은 ▲질병 치료‧예방에 대한 효능·효과 광고 59(42.8%) ▲건강기능식품 오인·혼동 광고 65(47.1%) ▲거짓·과장 광고 8(5.8%) ▲소비자 기만 광고 6(4.3%)이며 세부 위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 콜라겐을 함유한 일반식품에 ‘관절연골 염증 완화’, 수입 건강기능식품에 ‘치매’에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광고

  (건강기능식품 오인·혼동) 마카함유 일반식품 등에 ‘피로회복, 역력 증강’, 콜라겐 제품에 ‘피부건강, 다이어트’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광고

 

  (거짓·과장) 고형차, 액상차 일반 식품을 ‘디톡스, 붓기차’ 등으로 신체조직의 기능·작용·효과·효능에 관하여 표현하는 부당 광고

  (소비자 기만) ‘노니는 면역력 강화’, ‘석류가 체중조절, 항산화용’ 등과 같이 사용한 원재료나 성분의 효능·효과를 해당 식품 등의 효능·효과로 오인 또는 혼동시켜 소비자를 기만하는 광고

참고로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해 식품 등의 중고거래를 때에는 오프라인 거래 마찬가지로 관련법령에서 금지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식품) 식품위생법」에 따라 제조·가공 등록된 제품만 판매 가능*하며, 구매자는 영업을 등록한 곳에서 만든 제품인지 확인**하고 가공식품의 경우 유통기한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무신고 식품 제조·판매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 확인방법 : 식품안전나라 누리집(홈페이지) > 전문정보 > 업체/제품 검색

   -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라 판매업을 고한 업자* 판매가 가능하며, 식약처에서 인정한 건강기능식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건강기능식품판매업을 하려는 자는 영업 시설을 갖추고 소재지 관할 지자체장에게 신고하여야 함(「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6)

   ** 확인방법 : 식품안전나라 누리집(홈페이지) > 전문정보 > 업체/제품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 주의사항

 

 

√ 정식으로 영업등록·신고한 곳에서 만들거나 정식 수입한 식품이 맞는지 확인

  하고 판매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가정에서 만든 식품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

  * 식품안전나라(https://www.foodsafetykorea.go.kr)→ 전문정보 → 업체/제품 검색

√ 유통기한 경과되거나, 변질된 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개봉되거나, 표시사항 훼손 제품 등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

해외직구(구매대행) 제품은 ‘안전성’과 ‘기능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자가소비용

  으로 통관된 제품이므로 판매가 불가합니다.

√ 건강기능식품은 개인이 판매할 수 없고, ‘건강기능식품 일반판매업’ 등 영업자만 판매 가능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이뤄지는 식품 등의 부당광고 행위 지속적으로 점검 온라인상에서 국민들이 안심하고 식품 등을 구매할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도 식품 등을 구매할 경우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위반사항을 발견할 때에는 불량식품 신고전화(1399) 신고해 것을 당부했습니다.

 

<붙임> 1. 점검 개요‧결과

       2. 부당한 광고 주요사례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9-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60 암 질환 적정성평가, 수술에서 진료 전반으로 평가 영역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1
10759 문체부, 소비할인권 7종 지원 다시 시작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29
10758 기준을 초과한 납이 검출된 '세이지폴 애니핏 원목 베이비룸', 판매 중지 및 자발적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1
10757 국민권익위, “공공기관 직원 채용 신체검사 비용, 고용주가 부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2
10756 공공 누리집에서 네이버, 신한은행 간편인증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5 30
10755 가정에서 된장 안전하게 담그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5 36
10754 3분기 지가 1.07% 상승, 거래량 12.3%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5 30
10753 11월부터 지방공항 국제 하늘길 열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5 32
10752 국민권익위, “공익사업이 변경돼 편입 토지가 필요 없어졌다면, 원 토지 소유자에게 알려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5 29
10751 백내장 수술에 사용하는 인공수정체 바로 알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43
10750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 및 내성’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42
10749 누리소통망 체험기 이용 부당광고 행위 389건 적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52
10748 [보도참고] 식약처, 혁신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시판 후 안전관리 체계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36
10747 국민권익위, “단순 과실 교통사고 치료, 국민건강보험 적용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33
10746 국민권익위, “공익사업 편입 토지, 실제 이용현황에 맞게 보상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2 31
Board Pagination Prev 1 ...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