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약처, 식품 온라인 중고거래 점검 결과

-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의 식품 부당광고 138 적발·조치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주요 중고거래 플랫폼 4개사* 식품, 건강기능식품 광고‧판매 게시글 284건을 대상으로 부당광고 여부를 집중 점검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률」을 위반한 138건을 적발 접속차단 조치했습니다.

    * 주요 플랫폼 업체: 중고나라, 번개장터, 헬로마켓, 당근마켓 등

  이번 점검은 최근 온라인상 개인간 거래 활성화로 중고거래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2월부터 7월까지 실시했습니다.

    * 국내 중고거래 시장 4조원(08)→ 약 20조원(20), 출처:하나금융경영연구소

주요 위반내용은 ▲질병 치료‧예방에 대한 효능·효과 광고 59(42.8%) ▲건강기능식품 오인·혼동 광고 65(47.1%) ▲거짓·과장 광고 8(5.8%) ▲소비자 기만 광고 6(4.3%)이며 세부 위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 콜라겐을 함유한 일반식품에 ‘관절연골 염증 완화’, 수입 건강기능식품에 ‘치매’에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광고

  (건강기능식품 오인·혼동) 마카함유 일반식품 등에 ‘피로회복, 역력 증강’, 콜라겐 제품에 ‘피부건강, 다이어트’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광고

 

  (거짓·과장) 고형차, 액상차 일반 식품을 ‘디톡스, 붓기차’ 등으로 신체조직의 기능·작용·효과·효능에 관하여 표현하는 부당 광고

  (소비자 기만) ‘노니는 면역력 강화’, ‘석류가 체중조절, 항산화용’ 등과 같이 사용한 원재료나 성분의 효능·효과를 해당 식품 등의 효능·효과로 오인 또는 혼동시켜 소비자를 기만하는 광고

참고로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해 식품 등의 중고거래를 때에는 오프라인 거래 마찬가지로 관련법령에서 금지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식품) 식품위생법」에 따라 제조·가공 등록된 제품만 판매 가능*하며, 구매자는 영업을 등록한 곳에서 만든 제품인지 확인**하고 가공식품의 경우 유통기한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무신고 식품 제조·판매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 확인방법 : 식품안전나라 누리집(홈페이지) > 전문정보 > 업체/제품 검색

   -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라 판매업을 고한 업자* 판매가 가능하며, 식약처에서 인정한 건강기능식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건강기능식품판매업을 하려는 자는 영업 시설을 갖추고 소재지 관할 지자체장에게 신고하여야 함(「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6)

   ** 확인방법 : 식품안전나라 누리집(홈페이지) > 전문정보 > 업체/제품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 주의사항

 

 

√ 정식으로 영업등록·신고한 곳에서 만들거나 정식 수입한 식품이 맞는지 확인

  하고 판매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가정에서 만든 식품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

  * 식품안전나라(https://www.foodsafetykorea.go.kr)→ 전문정보 → 업체/제품 검색

√ 유통기한 경과되거나, 변질된 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개봉되거나, 표시사항 훼손 제품 등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

해외직구(구매대행) 제품은 ‘안전성’과 ‘기능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자가소비용

  으로 통관된 제품이므로 판매가 불가합니다.

√ 건강기능식품은 개인이 판매할 수 없고, ‘건강기능식품 일반판매업’ 등 영업자만 판매 가능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이뤄지는 식품 등의 부당광고 행위 지속적으로 점검 온라인상에서 국민들이 안심하고 식품 등을 구매할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도 식품 등을 구매할 경우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위반사항을 발견할 때에는 불량식품 신고전화(1399) 신고해 것을 당부했습니다.

 

<붙임> 1. 점검 개요‧결과

       2. 부당한 광고 주요사례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9-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50 봄밤, 창덕궁에서의 특별한 달빛산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7 29
8449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지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29
8448 주택 임대차 신고제, 계도기간 1년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8 29
8447 기아·현대·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29
8446 ‘집단고충조사팀’ 신설 1년… 3만 4천여 명 숙원 해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9 29
8445 차량 등 옥외광고물 규제 완화, 자영업자 부담은 낮추고 기회는 높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9 29
8444 사회보장급여 부정수급, 복지로에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3 29
8443 경매차익을 활용해 전세사기 피해자의 보증금 피해를 최대한 회복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29
8442 10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9 30
8441 “더 따뜻한 민간임대주택 공급”을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6 30
8440 농식품 원산지표시 상습위반자 최고 5배 과징금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30
8439 일반고 3학년 재학생의 사회진출을 돕기 위한 직업훈련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30
8438 어린이 해설사와 함께하는 대한제국 시간 여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4 30
8437 ‘정부24’에서 어르신 일자리, 건강, 연금까지 한 번에 확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8 30
8436 1월 부가가치세 신고, 맞춤형 안내로 납세편의 최대한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9 30
Board Pagination Prev 1 ...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