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신증후군출혈열 등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환자 증가

◇ 추석명절 전후 야외활동 가급적 자제불가피할 경우 예방수칙 준수 철저

◇ 야외활동 후 발열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가을철에 환자 발생이 급증하는 진드기ㆍ설치류 (쥐)에 의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설치류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 :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잠복기) 이내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피(검은 딱지) 형성이 특징적이다.


   - 전체 환자의 80% 이상이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 (9월~11월)에 발생하며, 올해는 털진드기 주간 감시 37주차에 처음으로 전남에서 확인되었고 일반적으로 10월 초(41주차)부터 털진드기 출현이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붙임5 참고>.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고 다른 감염병에 비해 치명률이 약 20%로 높은 편이다.


   - 올해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매개체인 참진드기 밀도와 환자가 전년 동기간 대비 각각 17.5%, 42.5%로 감소하였으나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므로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 2021.1.1.~9.15 92명 발생(14명 사망), 2020.1.1.~9.15 160명 발생(21명 사망)


□ 또한,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발열성 질환인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태풍으로 인한 수해복구 작업 등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을 통해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며,


   - 특히, 전년 동기간 대비 환자 수가 107.5% 증가함에 따라 가을철에 고위험군은 안전한 옷 입기 등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 신증후군출혈열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배설물, 분변, 타액 등으로 인해 배출된 바이러스가 건조되어 사람의 호흡기나 상처 난 피부를 통해 감염되며 주로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 군인, 농부 등에서 발생한다.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환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조>



□ 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최선의 방법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며,


 ○ 추석 명절 전‧후 벌초, 성묘,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에는 바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야외활동 후 2~3주 이내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적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설치류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여 있는 물 등 오염이 의심되는 곳에서 수해복구, 벼 세우기 등의 작업을 할 경우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고, 쥐의 배설물 등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야외활동이 많은 군인, 농부 등의 고위험군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 받을 것을 권장하며,


     * 접종시기 : 총 3회(1개월 간격으로 2회 기본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추가접종 실시)


 ○ 작업 후 2~3주 이내 발열, 근육통, 두통,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진드기 및 쥐로 인한 감염병 이렇게 예방하세요!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의 증상이 유사하므로 “유증상자는 아프면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야외활동력 등을 알리고 적기에 치료받을 것과,


 ○ 의료인은 적극적인 감별진단을 통해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 또한, 추석 명절 전‧후 벌초와 성묘 등 야외활동은 가급적 자제를 권고하며, 불가피한 경우 “야외활동 전‧중‧후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발열성 감염병의 매개체인 진드기와 설치류(쥐)와의 접촉을 피할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9-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59 사용 중 단락 및 화재 위험이 있는 융설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4.05.10
2358 사용 중 멈춤 현상으로 상해 및 사망 우려 있는 Onewhee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1.04
2357 사용 중 손잡이가 파손될 수 있는 Morfboard 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6.24
2356 사용 중 안장 파손 우려 있는 URB-E 전기스쿠터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46 2016.10.05
2355 사용 중 이물감 느껴지는 천식 환자용 흡입기 주의사항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98 2016.06.09
2354 사용 중 칼날이 떨어져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Cuisinart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2.15
2353 사용 중 파손 위험 있는 Thule 차량용 루프탑 텐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0.28
2352 사용 중 파손되어 낙상 위험이 있는 Bontrager 자전거 핸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0.17
2351 사용 중 파손되어 익사 위험있는 BLU3 다이빙 장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3.02.14
2350 사용 중 파손될 수 있는 Liberty Hardware 가구 손잡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1.11.29
2349 사용 중 파손위험 있는 골프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4.03.18
2348 사용 중 파손위험 있는 골프 가방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4.03.18
2347 사용 중 패드가 분리되는 SwissStop 자전거 브레이크 패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4
2346 사용 중 폭발한 미인증 쉐이빙폼 4개사 일괄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7 2017.02.09
2345 사용 중 호스 분리 위험 있는 WORX 압력세척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29
2344 사용 중 화재 위험 있는 Vevor 자동차 온풍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4.24
2343 사용금지 성분(HICC) 함유한 Rasasi 향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1.12
2342 사용기한 내에 성분 함량이 미달 되는 나보린 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1.09.14
2341 사용이 금지된 시클라민산 나트륨이 검출된 Bamboe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4.01.08
2340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Tendon 등산용 로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5.12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