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말벌류는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져 산행, 성묘 등 야외활동 시 주의 필요

▷ 말벌뿐 아니라 독사, 알레르기 유발 식물 등도 조심해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본격적인 가을철을 앞두고 산행,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시 말벌, 독사 등 독성생물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사는 말벌은 약 30 여종 이상으로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가을철에 산행을 하거나 벌초(성묘) 작업을 할 때에는 주변에 말벌이 활동하고 있는지 예의 주시하고, 말벌집을 발견하면 재빨리 벗어나는 것이 좋다.


말벌은 밝은색 복장보다 어두운색 복장에 공격성이 더 높은 특성이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이 말벌류의 공격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어두운색 복장에 말벌의 공격성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행 시 복장과 모자는 밝은색으로 갖추는 것이 좋다.

* 2016∼2017년 동안 털보말벌, 등검은말벌, 장수말벌 등을 대상으로 공격성 실험


말벌류가 어두운 색깔에 공격성이 강한 이유는 곰, 오소리 등 천적의 색상이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털보말벌 및 등검은말벌은 사람의 머리부터 공격하며, 땅속에 집을 짓고 사는 장수말벌은 다리부터 공격하는 습성이 있다.


될 수 있으면 창이 넓고 큰 모자를 쓰고, 두꺼운 등산화나 각반(스패치)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말벌에 쏘일 경우, 쏘인 장소에서 20m 이상 신속히 이동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말벌은 여러 마리가 공격하는 경우가 대다수로, 해당 장소에서 신속히 벗어나야 말벌들이 따라오지 않는다. 


혼자 있는 경우, 해당 국립공원사무소나 119에 전화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청한 후 3~4시간 내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동하여 치료받아야 한다.


야외활동 시 말벌뿐 아니라 독사도 주의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 까치살모사, 쇠살모사, 유혈목이 등 4종이 있으며, 가을철에는 햇볕이 잘 드는 탐방로나 쉼터 주변에서 쉽게 관찰된다.


야외에서 뱀을 만나게 되면, 뱀을 건드리지 말고 피해야 하며 만일 뱀에 물리면 긴장을 풀고,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은 후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뱀에 물린 부위의 독을 빼기 위해 칼로 상처를 내서 독을 빼야 한다”라는 속설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물린 부위에 2차 감염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이 밖에도 잎이나 줄기를 만지거나 스치면 통증 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들을 조심해야 한다.


산림 내 습한 곳에 자라는 쐐기풀, 가는잎쐐기풀 등은 가시털(자모)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스치게 되면 강한 통증을 일으킨다. 

* 무색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액체로 개미산이라고 부름, 개미에 물렸을 때도 같은 성분인 포름산을 분비하여 통증을 유발함


개활지 등에서 자라는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은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   


최승운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가을철을 맞아 국립공원 산행 등 야외활동 시에는 독성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안전하다” 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1-09-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33 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Garnier 샴푸 및 컨디셔너(바나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3.17
2432 식품위생법 위반한 벚꽃 소금절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2431 식품용 살균제, 인체에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0.09.16
2430 식품에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7.09.29
2429 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원료가 함유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2
2428 식품소분업 영업신고 없이 판매된 벌꿀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07.26
2427 식품·장난감 모양의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12.27
2426 식품.의약품.의료기기 등 온라인 중고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2.03
2425 식품 중 '신종 패류독소' 오염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2.02.23
2424 식품 중 '스테리그마토시스틴' 오염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1.04.02
2423 식품 원료로 사용 불가한 성분이 함유된 구매대행 식품(GI Relief)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07
2422 식품 원료 오(誤) 표기된 견과류 가공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09.26
2421 식품 안전섭취가이드 대국민 서비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10.31
2420 식품 사용 안 되는 복어알을 첨가한 식품 제조.판매, 복어환.추출액에 항암효과 허위 광고 등 4개 업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7.01
2419 식품 모방 화장품 섭취.삼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06.04
2418 식품 등에 '불면증 치료.완화 등' 불법 광고행위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01.19
2417 식중독의 계절, 안전하고 건강하게 여름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9.06.05
2416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된“즉석섭취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10.25
2415 식중독균 검출 수입 성장기용조제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18.12.10
2414 식중독균 검출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4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