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말벌류는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져 산행, 성묘 등 야외활동 시 주의 필요

▷ 말벌뿐 아니라 독사, 알레르기 유발 식물 등도 조심해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본격적인 가을철을 앞두고 산행,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시 말벌, 독사 등 독성생물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사는 말벌은 약 30 여종 이상으로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가을철에 산행을 하거나 벌초(성묘) 작업을 할 때에는 주변에 말벌이 활동하고 있는지 예의 주시하고, 말벌집을 발견하면 재빨리 벗어나는 것이 좋다.


말벌은 밝은색 복장보다 어두운색 복장에 공격성이 더 높은 특성이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이 말벌류의 공격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어두운색 복장에 말벌의 공격성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행 시 복장과 모자는 밝은색으로 갖추는 것이 좋다.

* 2016∼2017년 동안 털보말벌, 등검은말벌, 장수말벌 등을 대상으로 공격성 실험


말벌류가 어두운 색깔에 공격성이 강한 이유는 곰, 오소리 등 천적의 색상이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털보말벌 및 등검은말벌은 사람의 머리부터 공격하며, 땅속에 집을 짓고 사는 장수말벌은 다리부터 공격하는 습성이 있다.


될 수 있으면 창이 넓고 큰 모자를 쓰고, 두꺼운 등산화나 각반(스패치)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말벌에 쏘일 경우, 쏘인 장소에서 20m 이상 신속히 이동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말벌은 여러 마리가 공격하는 경우가 대다수로, 해당 장소에서 신속히 벗어나야 말벌들이 따라오지 않는다. 


혼자 있는 경우, 해당 국립공원사무소나 119에 전화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청한 후 3~4시간 내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동하여 치료받아야 한다.


야외활동 시 말벌뿐 아니라 독사도 주의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 까치살모사, 쇠살모사, 유혈목이 등 4종이 있으며, 가을철에는 햇볕이 잘 드는 탐방로나 쉼터 주변에서 쉽게 관찰된다.


야외에서 뱀을 만나게 되면, 뱀을 건드리지 말고 피해야 하며 만일 뱀에 물리면 긴장을 풀고,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은 후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뱀에 물린 부위의 독을 빼기 위해 칼로 상처를 내서 독을 빼야 한다”라는 속설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물린 부위에 2차 감염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이 밖에도 잎이나 줄기를 만지거나 스치면 통증 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들을 조심해야 한다.


산림 내 습한 곳에 자라는 쐐기풀, 가는잎쐐기풀 등은 가시털(자모)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스치게 되면 강한 통증을 일으킨다. 

* 무색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액체로 개미산이라고 부름, 개미에 물렸을 때도 같은 성분인 포름산을 분비하여 통증을 유발함


개활지 등에서 자라는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은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   


최승운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가을철을 맞아 국립공원 산행 등 야외활동 시에는 독성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안전하다” 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1-09-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71 지퍼에 별도 보호 장치가 없어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빈백의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08.24
3670 지퍼가 탈락되어 해외에서 리콜된 시마노(SHIMANO) 낚시 조끼 무상수리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04
3669 지진, 이제는 쉽게 배울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4.26
3668 지진 행동요령, 미리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18.09.06
3667 지지 기능이 미흡해 낙상 위험 있는 Sunveno 아기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10
3666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피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2.18
3665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 등 주의, 소비자경보 "경고"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4.24
3664 지역축제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4.04
3663 지속되는 한파, 저체온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12.21
3662 지속되는 폭염,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18.08.02
3661 증발잔류물이 초과 검출된 Fab Arbors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28
3660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09
3659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4.04.24
3658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4.28
3657 즐거운 여름휴가 안전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07.11
3656 즐거운 여름 휴가,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9.07.26
3655 즐거운 설 연휴, 이런 질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2.13
3654 쥬니버토키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3 2017.09.01
3653 중모토이 플러스 '놀이터 그네세트', 전복위험으로 환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7 2017.10.23
3652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