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말벌류는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져 산행, 성묘 등 야외활동 시 주의 필요

▷ 말벌뿐 아니라 독사, 알레르기 유발 식물 등도 조심해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본격적인 가을철을 앞두고 산행,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시 말벌, 독사 등 독성생물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사는 말벌은 약 30 여종 이상으로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가을철에 산행을 하거나 벌초(성묘) 작업을 할 때에는 주변에 말벌이 활동하고 있는지 예의 주시하고, 말벌집을 발견하면 재빨리 벗어나는 것이 좋다.


말벌은 밝은색 복장보다 어두운색 복장에 공격성이 더 높은 특성이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이 말벌류의 공격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어두운색 복장에 말벌의 공격성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행 시 복장과 모자는 밝은색으로 갖추는 것이 좋다.

* 2016∼2017년 동안 털보말벌, 등검은말벌, 장수말벌 등을 대상으로 공격성 실험


말벌류가 어두운 색깔에 공격성이 강한 이유는 곰, 오소리 등 천적의 색상이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털보말벌 및 등검은말벌은 사람의 머리부터 공격하며, 땅속에 집을 짓고 사는 장수말벌은 다리부터 공격하는 습성이 있다.


될 수 있으면 창이 넓고 큰 모자를 쓰고, 두꺼운 등산화나 각반(스패치)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말벌에 쏘일 경우, 쏘인 장소에서 20m 이상 신속히 이동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말벌은 여러 마리가 공격하는 경우가 대다수로, 해당 장소에서 신속히 벗어나야 말벌들이 따라오지 않는다. 


혼자 있는 경우, 해당 국립공원사무소나 119에 전화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청한 후 3~4시간 내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동하여 치료받아야 한다.


야외활동 시 말벌뿐 아니라 독사도 주의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 까치살모사, 쇠살모사, 유혈목이 등 4종이 있으며, 가을철에는 햇볕이 잘 드는 탐방로나 쉼터 주변에서 쉽게 관찰된다.


야외에서 뱀을 만나게 되면, 뱀을 건드리지 말고 피해야 하며 만일 뱀에 물리면 긴장을 풀고,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은 후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뱀에 물린 부위의 독을 빼기 위해 칼로 상처를 내서 독을 빼야 한다”라는 속설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물린 부위에 2차 감염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이 밖에도 잎이나 줄기를 만지거나 스치면 통증 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들을 조심해야 한다.


산림 내 습한 곳에 자라는 쐐기풀, 가는잎쐐기풀 등은 가시털(자모)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스치게 되면 강한 통증을 일으킨다. 

* 무색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액체로 개미산이라고 부름, 개미에 물렸을 때도 같은 성분인 포름산을 분비하여 통증을 유발함


개활지 등에서 자라는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은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   


최승운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가을철을 맞아 국립공원 산행 등 야외활동 시에는 독성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안전하다” 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1-09-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11 석면이 포함되어 폐암 위험 있는 BRS 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9.06
2210 석면을 함유한 부품이 포함되어 리콜된 Vevor 에센셜 오일 증류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7.12
2209 석면 함유된 JASIVI 규조토 욕실매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1.04.12
2208 석면 함유된 CARACO 규조토 발매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1 2021.02.26
2207 서울시, 어버이날 앞두고 알뜰폰 구매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7 2015.05.07
2206 서울시, 블랙프라이데이 고가패딩 온라인쇼핑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60 2016.11.28
2205 샴푸 제조·판매 사업자에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알레르기 유발물질) 사용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22.10.18
2204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확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8.02.27
2203 생활화학제품 사용 중 안전사고 지속적으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1 2017.04.14
2202 생활화학제품 사용 관련 소비자 주의사항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28 2016.06.09
2201 생활화학제품 구매 및 사용 요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7.02
2200 생활안정자금 융자를 가장한 전자금융사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1.12
2199 생활가전레저 전시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7.25
2198 생활가전 브랜드 VOAR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8.11
2197 생활 주변 사기범죄, 이런 사례는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9.09.25
2196 생활 속 유해물질 안전정보를 알려 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0.11.17
2195 생활 속 안전위험요인 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20.01.30
2194 생활 속 미세먼지 대처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3.06
2193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2
2192 생명보험회사의 저축성보험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10.06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