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말벌류는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져 산행, 성묘 등 야외활동 시 주의 필요

▷ 말벌뿐 아니라 독사, 알레르기 유발 식물 등도 조심해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본격적인 가을철을 앞두고 산행,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 시 말벌, 독사 등 독성생물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사는 말벌은 약 30 여종 이상으로 가을철 추석을 전후로 활동량이 가장 커지며, 공격성도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가을철에 산행을 하거나 벌초(성묘) 작업을 할 때에는 주변에 말벌이 활동하고 있는지 예의 주시하고, 말벌집을 발견하면 재빨리 벗어나는 것이 좋다.


말벌은 밝은색 복장보다 어두운색 복장에 공격성이 더 높은 특성이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이 말벌류의 공격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어두운색 복장에 말벌의 공격성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행 시 복장과 모자는 밝은색으로 갖추는 것이 좋다.

* 2016∼2017년 동안 털보말벌, 등검은말벌, 장수말벌 등을 대상으로 공격성 실험


말벌류가 어두운 색깔에 공격성이 강한 이유는 곰, 오소리 등 천적의 색상이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털보말벌 및 등검은말벌은 사람의 머리부터 공격하며, 땅속에 집을 짓고 사는 장수말벌은 다리부터 공격하는 습성이 있다.


될 수 있으면 창이 넓고 큰 모자를 쓰고, 두꺼운 등산화나 각반(스패치)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말벌에 쏘일 경우, 쏘인 장소에서 20m 이상 신속히 이동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말벌은 여러 마리가 공격하는 경우가 대다수로, 해당 장소에서 신속히 벗어나야 말벌들이 따라오지 않는다. 


혼자 있는 경우, 해당 국립공원사무소나 119에 전화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청한 후 3~4시간 내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동하여 치료받아야 한다.


야외활동 시 말벌뿐 아니라 독사도 주의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 까치살모사, 쇠살모사, 유혈목이 등 4종이 있으며, 가을철에는 햇볕이 잘 드는 탐방로나 쉼터 주변에서 쉽게 관찰된다.


야외에서 뱀을 만나게 되면, 뱀을 건드리지 말고 피해야 하며 만일 뱀에 물리면 긴장을 풀고,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은 후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뱀에 물린 부위의 독을 빼기 위해 칼로 상처를 내서 독을 빼야 한다”라는 속설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물린 부위에 2차 감염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이 밖에도 잎이나 줄기를 만지거나 스치면 통증 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들을 조심해야 한다.


산림 내 습한 곳에 자라는 쐐기풀, 가는잎쐐기풀 등은 가시털(자모)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스치게 되면 강한 통증을 일으킨다. 

* 무색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액체로 개미산이라고 부름, 개미에 물렸을 때도 같은 성분인 포름산을 분비하여 통증을 유발함


개활지 등에서 자라는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은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   


최승운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가을철을 맞아 국립공원 산행 등 야외활동 시에는 독성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안전하다” 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1-09-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80 벤젠 검출된 Coppertone 유아용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12.21
2379 표시사항 기준을 위반한 Weaver Livestock 애완동물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10.27
2378 TC Electronic 기타조율기(Polytune Clip, Polytune Clip Black, Unitune Clip) 단추형 전지관련 주의 경고 표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8.21
2377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5.03
2376 겨울철 전기장판 사용 시 저온화상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2.14
2375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임신 20주 이후 사용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19
2374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08
2373 단추 탈락으로 영유아 삼킴·질식 위험 있는 유아용 겉싸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08.24
2372 여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07.28
2371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1.29
2370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8.19
2369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여름휴가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7.18
2368 봄철 수산물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3.05
2367 설 명절 교통사고 화재 등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2.08
2366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Brooklyn Bean 캡슐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4.06
2365 ‘어린이 키성장’ 등 불법·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3.16
2364 감전 위험이 있고 전기 설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Algam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1.17
2363 해외서버 이용 국내 사기사이트 급증, 입금자명에 할인코드 입력 요구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6.23
2362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6.13
2361 부정 물질(실데나필, 타다라필) 검출된 Positive-Health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