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의 A형간염 환자 발생

◇ 조개류는 익혀먹고, A형간염 예방접종을 받는 등 A형간염 예방수칙 준수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올해는 A형간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21년 11주(3.7-3.13) 이후 주당 100명 이상의 환자가 지속적으로 신고되면서 ’20년 동기간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환자가 신고되었고, 특히 30주(7.18-7.24.) 이후부터는 2019년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환자가 보고되고 있다.



<주별 A형간염 환자 신고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올해 상반기에 경기, 서울, 인천 등 수도권의 발생이 많았던 반면, 최근엔 충남, 충북 등 충청지역에서 환자 발생이 증가하였고*,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는 충남, 경기, 인천, 제주, 충북, 서울 순이다.**


   * ’21년 시·도별 신고건수 : 경기 1,868명, 서울 1,044명, 인천 416명, 충남 326명, 충북 175명


   **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 : 충남 15.3명, 경기 14.2명, 인천 14.1명, 제주 13.5명, 충북 10.9명, 서울 10.7명


 ○ 신고된 환자는 30~49세가 많은데*, 이는 ’70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위생상태 개선으로 어린 시절 A형간염 바이러스 노출 기회가 적었고, 예방접종도 받지 않아 A형간염에 대한 면역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21년 신고 환자 연령 : 40대 1,834명(39.1%), 30대 1,375명(29.3%), 50대 670명(14.3%), 20대 457명(9.7%), 기타 연령 354명(7.5%)


□ A형간염은 오염된 물이나 식품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고, 위생적인 조리과정을 준수하며, 채소, 과일은 깨끗이 씻거나 껍질을 벗겨먹는 등 위생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질병관리청은 익히지 않은 조개류의 섭취는 A형간염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니, A형간염 예방을 위해 조개류는 반드시 90℃ 이상에서 4분 이상 충분히 익혀 섭취할 것을 권고하였다.


   ※ 바지락과 같은 껍데기가 두개인 조개류(이매패류(二枚貝類))의 소화기관 (중장선(中腸腺))에는 A형간염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음


 ○ 또한, A형간염은 백신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특히 항체보유율이 낮은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연령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그림 붙임 참조>, 출처: 국내 A형 간염 항체 양성률 연구 조사, 질병관리청, 2020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올해 A형간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조개류는 반드시 익혀먹고,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는 등 A형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A형간염 예방수칙 >


undefined

1. 조개류 익혀먹기

2. 안전한 물 마시기

3. 요리 전식사 전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4.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5. 20-40대는 예방접종 받기

6.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예방접종 받기



[ 질병관리청 2021-09-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0 세이펜, 고속충전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6.12.13
27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2.2.∼2016.1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3 2016.12.12
278 전자파 차단제품 차단효과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2 2016.12.09
277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2.08
276 엘레니어 윙스플러스 유모차,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70 2016.12.07
275 대장균 검출된 Rabbit Creek 제빵용 믹스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229 2016.12.07
274 폐렴간균 검출된 Honeywell 눈 세정제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9 2016.12.07
27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25~2016.1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9 2016.12.05
272 르노삼성자동차(주) New SM3 차량 윈도우 작동 시 소음 발생 무상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20 2016.12.02
271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38 2016.12.01
270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7 2016.12.01
269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01~ 2016.08.0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1 2016.11.30
268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25~ 2016.07.3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1.30
267 결함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부력조절기(BCD)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676 2016.11.30
266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11.30
265 외용기 코팅이 화장품에 혼입되어 부작용 발생하는 화장품 교환·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11.30
264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2 2016.11.28
263 기아자동차(주) 니로 차량 경고등 점등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6 2016.11.28
26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18~2016.11.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0 2016.11.28
261 서울시, 블랙프라이데이 고가패딩 온라인쇼핑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79 2016.11.28
Board Pagination Prev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