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네일숍에서 사용 중인 일부 젤 네일 제품 안티몬허용기준 초과

- 화장품 명칭, 제조판매업자 상호 등 필수기재사항 표시 미흡 -

이 자료는 23()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22() 12]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네일숍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젤 네일* 40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 중금속 7**의 검출 여부를 시험·검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금지된 안티몬이 허용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젊은 여성들의 개성 표현 수단으로 인기를 끌고 있음. 일반 네일폴리시는 손톱에 바른 후 말리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반면, 젤 네일은 손톱에 젤을 바른 후 ‘UV 경화 코팅법(열과 바람을 이용하지 않고 UV(자외선)에 비추어 물질을 단단하게 만드는 것)’을 활용하여 전용 램프로 젤을 굳히는 방식을 사용함. 젤 네일은 일반 네일폴리시 보다 지속성, 내구성, 광택감 및 건조 편리성 등이 뛰어남.

** , 비소, 수은, 안티몬, 카드뮴, 6가 크롬, 니켈

 

조사대상 제품 모두 안티몬(Sb)*을 제외한 6종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아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17.5% 7개 제품(젤 네일 제품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확인되지 않음)에서 안티몬이 허용 기준(10/g 이하)을 초과하여 최소 1.6(16/g)에서 최대 15.4(154/g)까지 검출되었다.

* ‘안티몬피부 접촉 시 가려움증수포홍반 등을 동반한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고, 흡입 또는 섭취하게 되면 두통구토호흡기계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음(참고 :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정보시스템).

 

< 시험결과 종합표 >

단위 :

유해 중금속

안티몬

6가 크롬

비소

카드뮴

수은

니켈

검출 제품 수

7

-

-

‘-’ : 불검출, ‘’ : 기준 적합

 

한편, 화장품의 1차 또는 2차 포장에는 명칭, 제조판매업자의 상호 등 필수 기재사항을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데, 조사대상 40개 제품 중 화장품법에 따른 표시사항을 모두 준수한 제품은 21(52.5%)로 나타났다.

 

< 표시실태 종합표 >

단위 : , %

구분

명칭

제조

판매업자 상호

전화번호/홈페이지 주소

제조업자

상호·주소

용량/

중량

제조

번호

사용

기한

사용상 주의사항

10()이하

(24개 제품)

24

(100.0)

21

(87.5)

-

-

-

-

-

-

10()초과

50()이하

 

(16개 제품)

16

(100.0)

14

(87.5)

13

(81.2)

3(18.7)

16

(100.0)

11

(68.7)

8

(50.0)

1

(6.2)

 

8(50.0)*

‘*’ : 일부 표시, ‘-’ : 미적용 대상

젤 네일 제품 사용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손발톱이 부스러지거나 깨지고, 심한 경우 피부에서 떨어져나가는 조갑박리증을 비롯하여 접촉성 피부염’, ‘손톱 단백질 손상등의 사례가 국내외에서 확인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사용 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안티몬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된 제품들의 회수를 건의하여 조치 중에 있으며, 한 소비자 안전 확보 및 알권리 보장을 위해 젤 네일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감독 강화 화장품법상 필수기재사항 관리 강화 소용량 화장품 표시제도 개선 등도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2-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0 지방도시개발공사 임대주택의 장기 빈집 문제 해결로 재정손실을 줄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5 48
2119 지방보조금 집행 전 과정 실시간 온라인으로 확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3 94
2118 지방분권시대, 법령상 자치권 확대 통해 앞당긴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9 35
2117 지방살림 씀씀이, 주민의 눈으로 감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8 15
2116 지방세 고액·상습체납자 36,433명 명단 일제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79
2115 지방세 고지·납부, 스마트폰으로 한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9 12
2114 지방세 납부, 인터넷전문은행으로도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3 35
2113 지방세 체납, 통신 요금 연체 정보 활용해 위기가구 발굴·지원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3 16
2112 지방세 체납자 예금·급여 압류금지 기준액, 150만→185만원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4 11
2111 지방세, 2019년에 이렇게 달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02 35
2110 지방세, 인터넷·카드납부 늘고, 3시에 가장 많이 납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4 125
2109 지방세관계법 운영예규, 국민의 지방세 길라잡이로 거듭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30 45
2108 지방세외수입 고액·상습체납자 원천봉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1
2107 지방세외수입 체납액, 5조를 잡아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183
2106 지방에서도 발리, 자카르타, 울란바토르 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4
Board Pagination Prev 1 ...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