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네일숍에서 사용 중인 일부 젤 네일 제품 안티몬허용기준 초과

- 화장품 명칭, 제조판매업자 상호 등 필수기재사항 표시 미흡 -

이 자료는 23()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22() 12]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네일숍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젤 네일* 40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 중금속 7**의 검출 여부를 시험·검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금지된 안티몬이 허용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젊은 여성들의 개성 표현 수단으로 인기를 끌고 있음. 일반 네일폴리시는 손톱에 바른 후 말리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반면, 젤 네일은 손톱에 젤을 바른 후 ‘UV 경화 코팅법(열과 바람을 이용하지 않고 UV(자외선)에 비추어 물질을 단단하게 만드는 것)’을 활용하여 전용 램프로 젤을 굳히는 방식을 사용함. 젤 네일은 일반 네일폴리시 보다 지속성, 내구성, 광택감 및 건조 편리성 등이 뛰어남.

** , 비소, 수은, 안티몬, 카드뮴, 6가 크롬, 니켈

 

조사대상 제품 모두 안티몬(Sb)*을 제외한 6종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아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17.5% 7개 제품(젤 네일 제품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확인되지 않음)에서 안티몬이 허용 기준(10/g 이하)을 초과하여 최소 1.6(16/g)에서 최대 15.4(154/g)까지 검출되었다.

* ‘안티몬피부 접촉 시 가려움증수포홍반 등을 동반한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고, 흡입 또는 섭취하게 되면 두통구토호흡기계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음(참고 :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정보시스템).

 

< 시험결과 종합표 >

단위 :

유해 중금속

안티몬

6가 크롬

비소

카드뮴

수은

니켈

검출 제품 수

7

-

-

‘-’ : 불검출, ‘’ : 기준 적합

 

한편, 화장품의 1차 또는 2차 포장에는 명칭, 제조판매업자의 상호 등 필수 기재사항을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데, 조사대상 40개 제품 중 화장품법에 따른 표시사항을 모두 준수한 제품은 21(52.5%)로 나타났다.

 

< 표시실태 종합표 >

단위 : , %

구분

명칭

제조

판매업자 상호

전화번호/홈페이지 주소

제조업자

상호·주소

용량/

중량

제조

번호

사용

기한

사용상 주의사항

10()이하

(24개 제품)

24

(100.0)

21

(87.5)

-

-

-

-

-

-

10()초과

50()이하

 

(16개 제품)

16

(100.0)

14

(87.5)

13

(81.2)

3(18.7)

16

(100.0)

11

(68.7)

8

(50.0)

1

(6.2)

 

8(50.0)*

‘*’ : 일부 표시, ‘-’ : 미적용 대상

젤 네일 제품 사용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손발톱이 부스러지거나 깨지고, 심한 경우 피부에서 떨어져나가는 조갑박리증을 비롯하여 접촉성 피부염’, ‘손톱 단백질 손상등의 사례가 국내외에서 확인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사용 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안티몬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된 제품들의 회수를 건의하여 조치 중에 있으며, 한 소비자 안전 확보 및 알권리 보장을 위해 젤 네일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감독 강화 화장품법상 필수기재사항 관리 강화 소용량 화장품 표시제도 개선 등도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2-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19 식약처,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 중심으로 식품원료 관리체계 전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6
5518 식약처, ‘온라인 자율관리’, 소비자 보호 초석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6 11
5517 식약처,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 확대로 안심 쇼핑환경 조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63
5516 식약처, ‘제모제’ 올바른 사용 방법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0 4
5515 식약처, 美 밀과 밀가루 수입시 미승인 유전자변형 밀 혼입 여부 검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1 94
5514 식약처, 가로수용 은행 등 중금속 조사결과 모두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89
5513 식약처, 건강한 설 명절을 위한 식.의약품 안전정보 제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15
5512 식약처, 고혈압약(발사르탄) 관련 중간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6 27
5511 식약처, 고혈압약(발사르탄) 관련 중간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7 24
5510 식약처, 관리 사각지대 제품 의료기기로 관리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60
5509 식약처, 국가필수의약품 8종 신규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30 35
5508 식약처, 국내 개발 최초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주’ 허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2 125
5507 식약처, 국내 기술로 개발된‘성인용 Td 백신’첫 허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3 110
5506 식약처, 국내 원료의약품 일본 수출 지원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3 78
5505 식약처, 국내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선제적 안전조치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9 77
Board Pagination Prev 1 ...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