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비수도권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 시행
- 위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 146병상, 중등증환자 전담치료병상 1,017병상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 시행(9.1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김부겸 본부장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 18개 시도 경찰청과 함께 ▲초·중·고등학교 등교 확대에 따른 방역조치 상황* ▲비수도권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 교육부 별도 브리핑 실시 (9.9)

1. 비수도권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 방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 장관 권덕철, 이하 중수본)로부터‘비수도권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최근 4차 유행 지속으로 인한 확진자 증가* 전파력이 강한 델타변이바이러스의 확산** 등으로 일부 비수도권 지역도 병상가동률***이 증가하고 있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 (7월1주) 668명 → (8월1주) 1,495명 → (9월1주) 1,671명

** (델타변이 검출률) 73.1%(8월1주) → 89.6%(8월 3주) → 97.0%(9월 1주)

*** (병상가동률(9.9.)) 위중증(危重症) 울산 75.0%, 중등증(中等症) 대전 79.3%, 충남 74.8%

아울러, 추석 연휴(9.18~22)로 인한 인구이동량 증가 및 초‧중‧고 등교 확대 등으로 추가 확산에 대한 위험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추가적인 대규모 집단감염 및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감당할 수 있도록 수도권에 이어 비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 수도권 전담병상 확보 행정명령 (8.13)

① 위중증(危重症)환자 전담치료병상은 기존 병상을 확대(93병상)하고, 신규 대상병원을 추가(53병상)하여, 총 146병상을 추가 확보한다.

- 비수도권 소재의 상급종합병원·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기존의 1% 병상확보를 1.5%로 확대하여 93병상을 추가로 확보한다.

- 허가병상 700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에 대해 허가병상 중 1%를 위중증(危重症)환자 전담병상으로 신규 확보하도록 하여 53병상을 추가로 확보한다.

② 중등증(中等症)환자 전담치료병상은 비수도권 내 300~700병상 종합병원 중 코로나19 치료병상*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46개 병원을 대상으로 허가병상의 5%인 총 1,017병을 추가로 확보한다.

* 위중증(危重症)환자 전담치료병상, 거점전담병원, 감염병전담병원[중등증(中等症) 전담치료병상]

다만, 시설 여건 등에 따라 시설공사 계획 수립 시 실제 확보 가능한 병상은 변동될 수 있다.

비수도권내 지자체 및 의료기관 등과의 논의를 통해 행정명령은 9월 10일(금)에 시행된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은 향후 3주 이내에 시설 공사 및 전담병상 확보를 완료하여야 하며, 중대본은 시·도 협의를 거쳐 지역·병원 여건을 반영하여 실제 운영 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다.

- 아울러, 중대본은 원활한 병상확보를 위해 지자체에 관할 의료기관별 병상확보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 상황을 점검하도록 하는 한편,  ‘중증도(重症度)에 따른 배정 원칙’이 준수될 수 있도록 당부하였다.

정부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전담병상을 지원하고 환자치료에 전념하고 있는 의료기관과 의료진에 감사를 표하고, 행정명령을 통하여 코로나19 환자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의 부담이 최소화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9월 10일(금) 0시 기준으로 지난 1주일(9.4.~9.10.) 동안의 국내 발생 환자는 12,037명이며, 1일 평균 환자 수는 1,719.6명이다.

수도권 환자는 1,218.3명으로 전주(1,148.3명, 8.28.~9.3.)에 비해 70.0명 증가하였고, 비수도권은 501.3명으로 전주(517.4명, 8.28.~9.3.)에 비해 16.1명 감소하였다.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9.4.~9.10.) >

 수도권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강원제주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1,218.3명162.4명73.3명76.9명147.9명30.0명10.9명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4.7명2.9명1.4명1.5명1.9명1.9명1.6명
즉시 가용 중환자실(9.9. 17시기준)243개32개33개27개40개16개4개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어제도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4만 6185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9만 6639건의 검사가 이루어졌다.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213개소*를 운영 중이며, 그간(12.14.~9.10) 총 1343만 6917건을 검사하였다.

* 수도권 : 142개소(서울 57개소, 경기 74개소, 인천 11개소)

비수도권 : 71개소(충남 19, 전남 12, 울산 9, 부산 6, 경남 6, 대전 4, 전북 4, 대구 3, 강원 3, 경북 2, 광주 1, 세종 1, 충북 1)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641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 어제는 하루 동안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513명의 환자를 찾아냈다.

코로나19 환자의 증가에 따라 치료 병상을 지속 확충하고 있다.

생활치료센터는 총 88개소 19,905병상을 확보(9.10.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54.3%로 9,088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이 중 수도권 지역은 13,058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64.5%로 4,634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9,693병상을 확보(9.9.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1.9%로 3,697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069병상의 여력이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50병상을 확보(9.9.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59.8%로 18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90병상이 남아 있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949병상을 확보(9.9.기준)하고 있으며, 전국 464병상, 수도권 285병상이 남아 있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 >

구분경증(輕症)중등증(中等症)준중증(準-重症)위중증(危重症)
생활치료센터감염병 전담병원준-중환자병상중환자 전담치료병상
보유가용보유가용보유가용보유가용
전국19,9059,0889,6933,697450181949464
수도권13,0584,6344,4611,06927690630285
 중수본3,0881,392 --  --  - -
서울5,1341,8802,1494748143326141
경기3,8771,1191,81640417243225102
인천9592434961912347942
비수도권6,0034,1135,2322,62817491319179
 중수본844341 - - - - - -
강원326200388222532819
충청권1,1026771,28945046236538
호남권7003519205621045139
경북권1,2068741,14959528106631
경남권2,3171,7161,212558804610147
제주3522952742415585

이러한 병상 확보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 선별검사소, 예방접종센터 등에 의사, 간호사 등 2,897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하여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어제 수도권 신규 확진자 중 자가치료(9.10.기준) 환자는 60명(서울 15명, 경기 44명, 인천 1명)으로 전일 대비 16명 증가하였다.

* 12세 이하 소아 14명, 소아의 보호자 18명, 성인 1인 가구 12명, 기저질환 3명, 자가치료요청(단독가구) 13명

3.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을 점검하였다.

백신 접종 완료자를 포함한 모임 인원이 확대되면서(9.6.~), 식당·까페 등에서 접종 완료자 여부 확인 방법 등에 대한 현장 요령을 공유하고, 해당 요령을 적극 확산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우선, 식당·카페에서 이용자의 백신 접종 완료 여부를 확인한 후, 백신접종 완료 안내판을 해당 이용자의 테이블에 배치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백신 접종 완료 여부의 현장 확인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공유하였다.

- 휴대전화의 ①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전자예방접종증명서 앱(COOV), ②네이버·카카오·PASS 등과 QR코드 연동 활용 등 가능하며,

- 휴대전화 활용이 어려운 경우 ③종이 증명서 발급*, ④접종 완료 스티커 배부(행정복지센터) 등을 통해 접종 완료 여부 확인 가능하다.

*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정부24(www.gov.kr),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nip.kdca.go.kr) 등

< 백신 접종 완료자 구분 안내판 도입 사례 > <그림 붙임 참조>

< 서울시 노원구 >

< 경기 시흥시 >

< 서울시 중구 >

< 전북 익산시 >

< 서울시 광진구 >

< COOV 앱 >

< 전자출입명부 QR코드 연동 >

< 종이 증명서 >

< 접종 완료 스티커(신분증 뒷면 부착) >

9월 9일(목)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11만 2377명으로,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만 4577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8만 7800명이다.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222명 감소하였다.

9월 9일(목)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14,588개소), 이‧미용업(1,026개소) 등 23종 시설 총 24,502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20건에 대해 현장 지도하였다.

한편,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1,933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128개 반, 513명)으로 심야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 보건복지부 2021-09-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63 희귀.난치질환 치료에 필요한 의료기기, 식약처가 공급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73
13762 희귀.난치병 환자 치료기회 확대, 식품접객영업자 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3 82
13761 희귀 항암제 '루타테라주' 환자지원 프로그램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74
13760 흡연실을 운영하는 실내 공중이용시설에서 간접흡연 가능성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58
13759 휴면계정 정리, 이제 정부와 기업이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0 87
13758 휴대폰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0 170
13757 휴대폰, 처음에는 싸고 시간이 지나면 비싸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1 91
13756 휴대폰 할부계약의 청약철회 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143
13755 휴대폰 보험료 합리성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7 132
13754 휴대폰 국내·외 가격 비교 기준, 방법 등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0 117
13753 휴대전화요금 월 20% 할인제, 홍보 부족으로 혜택 못 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4 192
13752 휴대전화로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원서접수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121
13751 휴대전화로 민원답변 공문 받아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1 18
13750 휴대전화로 무인민원발급기 위치와 발급정보를 알기 쉽게 쏙쏙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109
13749 휴대전화 충전기 폭발·화재 등 소비자 안전사고 빈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3 1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