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 발생 증가 예상

◇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이 전체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어 농업인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철저

 농작업 후 2~3주 이내 발열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의료진에게 농작업력 등을 알려야 함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야외 농작업이 활발해지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후(잠복기)에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 발열과 오한이 있고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피)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고,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 2019~2020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459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이 약 50%를 차지*하고, 7월부터 10월까지 환자가 집중 발생함에 따라 농업인에 대한 예방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459명 중 농작업 196명(42.7%), 농작업과 야외활동 32명(7.0%)



<연도별/월별 SFTS 환자 발생현황(2017년~2021년 8월 기준) 그림 붙임 참조>



□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 중에는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것이 있기 때문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가을철 야외에서 농작업을 할 경우 밝은 색 긴 소매‧긴 바지를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 최대한 피부노출을 줄이고, 귀가 후 옷 세탁 및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 농작업 후 2~3주 이내에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하며 코로나19와 증상이 유사하므로 의료진에게 농작업력 등을 알려야 한다.


□ 한편,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2017년부터 농업인을 대상으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교육·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영농 현장점검 및 기술지원 등을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다.


 ○ 각 지역의 보건소와 시군 농업기술센터가 연계하여 예방교육·홍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는 주말농장, 텃밭 작업자, 귀농·귀촌인 등 대상자를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 연계교육·홍보실적 : (‘17) 2,457명 → (’18) 36,201명 → (‘19) 54,679 → (‘20) 60,636명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과 농촌진흥청 허태웅 청장은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은 가을철에 텃밭작업 등 농작업과 밤 줍기 등 임산물 채취 시 발생위험이 높으므로 농업인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증상 발생 초기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 후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9-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33 식용불가 '나비완두콩 꽃' 사용 음료 섭취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2.02.23
2432 식용란 선별포장 적용 대상 및 허가 요건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0 2019.10.24
2431 식용곤충식품 위해사고 경험 10명 중 1명꼴로 나타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7.12.08
2430 식약처, 황사.미세먼지 대비‘보건용마스크’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3.16
2429 식약처, 톳환 등 가공식품 무기비소 기준 신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1 2017.12.29
2428 식약처, 저출력심장충격기 및 모유착유기 안전관리 실태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9.10.31
2427 식약처, 이엽우피소.백수오 안전성 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17.08.22
2426 식약처, 유럽산 햄 소시지 반드시 익혀 먹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17.08.25
2425 식약처,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서방형 제제에 대한 안전성 강화 조치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4.06
2424 식약처, 식품 사용 액체질소 안전관리 대책 보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8 2017.08.09
2423 식약처,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1.08.09
2422 식약처, 사용 금지 살균보존제 함유 세척제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9.04.17
2421 식약처, 비가열 햄.소시지 등 수거.검사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7.09.05
2420 식약처, 발사르탄(고혈압약 원료) 복용환자 영향평가 결과 및 추가 조사현황 등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8.12.20
2419 식약처, 바레니클린 금연치료보조제 사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7.09
2418 식약처, 밀수입된 무허가 생리대 판매금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09.26
2417 식약처, 미세먼지 대비 보건용 마스크 구입 및 사용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94 2015.12.24
2416 식약처, 냉이·쑥 등 봄나물 안심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3.12
2415 식약처, 끓인 음식도 식중독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4.03.29
2414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5.29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