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 발생 증가 예상

◇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이 전체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어 농업인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철저

 농작업 후 2~3주 이내 발열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의료진에게 농작업력 등을 알려야 함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야외 농작업이 활발해지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후(잠복기)에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 발열과 오한이 있고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피)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고,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 2019~2020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459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이 약 50%를 차지*하고, 7월부터 10월까지 환자가 집중 발생함에 따라 농업인에 대한 예방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459명 중 농작업 196명(42.7%), 농작업과 야외활동 32명(7.0%)



<연도별/월별 SFTS 환자 발생현황(2017년~2021년 8월 기준) 그림 붙임 참조>



□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 중에는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것이 있기 때문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가을철 야외에서 농작업을 할 경우 밝은 색 긴 소매‧긴 바지를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 최대한 피부노출을 줄이고, 귀가 후 옷 세탁 및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 농작업 후 2~3주 이내에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하며 코로나19와 증상이 유사하므로 의료진에게 농작업력 등을 알려야 한다.


□ 한편,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2017년부터 농업인을 대상으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교육·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영농 현장점검 및 기술지원 등을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다.


 ○ 각 지역의 보건소와 시군 농업기술센터가 연계하여 예방교육·홍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는 주말농장, 텃밭 작업자, 귀농·귀촌인 등 대상자를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 연계교육·홍보실적 : (‘17) 2,457명 → (’18) 36,201명 → (‘19) 54,679 → (‘20) 60,636명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과 농촌진흥청 허태웅 청장은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은 가을철에 텃밭작업 등 농작업과 밤 줍기 등 임산물 채취 시 발생위험이 높으므로 농업인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증상 발생 초기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 후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9-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19 여름 산행 한낮 더위는 피해서 쉬엄쉬엄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8.06.07
2818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8.19
2817 여름 같은 봄 날씨,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2.05.11
2816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전 임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4.16
2815 여드름 관련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3.25
2814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2813 엠폭스 예방 접종 및 행동주의로 엠폭스 위험을 줄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7.03
2812 엘지전자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1.22
2811 엘레니어 윙스플러스 유모차,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70 2016.12.07
2810 엔픽스(유) 보행기 완구 부품, 곰팡이 발생 가능성 있어 교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23
2809 엔진경고등이 점등되는 스타리아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6.04
2808 엔젤케어베이비(Angelcare Baby) 유아용 목욕의자, 익사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5.21
2807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OLIOSEOTIL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2.04.29
2806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Indomie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3.07
2805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Flordis 의약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2.04.01
2804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Cartimax 반려동물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2.03.07
2803 에틸렌옥사이드가 함유된 발암성 있는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2.03.10
2802 에틸렌옥사이드가 초과 검출된 PATISDECOR 식품첨가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21.10.14
2801 에틸렌옥사이드가 초과 검출된 Lemonilo 볶음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4.05
2800 에틸렌옥사이드가 초과 검출된 BONCABE 파프리카맛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06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