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철에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 발생 증가 예상

◇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이 전체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어 농업인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철저

 농작업 후 2~3주 이내 발열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의료진에게 농작업력 등을 알려야 함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야외 농작업이 활발해지는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후(잠복기)에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 발열과 오한이 있고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피)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고,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 2019~2020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459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이 약 50%를 차지*하고, 7월부터 10월까지 환자가 집중 발생함에 따라 농업인에 대한 예방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459명 중 농작업 196명(42.7%), 농작업과 야외활동 32명(7.0%)



<연도별/월별 SFTS 환자 발생현황(2017년~2021년 8월 기준) 그림 붙임 참조>



□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 중에는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것이 있기 때문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가을철 야외에서 농작업을 할 경우 밝은 색 긴 소매‧긴 바지를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 최대한 피부노출을 줄이고, 귀가 후 옷 세탁 및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 농작업 후 2~3주 이내에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하며 코로나19와 증상이 유사하므로 의료진에게 농작업력 등을 알려야 한다.


□ 한편,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2017년부터 농업인을 대상으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교육·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영농 현장점검 및 기술지원 등을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다.


 ○ 각 지역의 보건소와 시군 농업기술센터가 연계하여 예방교육·홍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는 주말농장, 텃밭 작업자, 귀농·귀촌인 등 대상자를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 연계교육·홍보실적 : (‘17) 2,457명 → (’18) 36,201명 → (‘19) 54,679 → (‘20) 60,636명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과 농촌진흥청 허태웅 청장은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은 가을철에 텃밭작업 등 농작업과 밤 줍기 등 임산물 채취 시 발생위험이 높으므로 농업인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증상 발생 초기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 후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9-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29 무선이어폰과 스피커, 화재 위험 있으니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04.07
2828 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등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주의(소비자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0.04.08
2827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0.04.09
2826 비스페놀류 등 체내 노출 낮은 수준, 위해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20.04.09
2825 농기계사고 경운기가 절반, 60세 이상 67%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0.04.10
2824 ㈜신우전자 주방자동소화장치 관련 3개 건설사 자발적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13
2823 유해물질 검출된 SCARPA 암벽화 리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0.04.13
2822 감전 위험 있는 Comnail 왁스 히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0.04.13
2821 공기 역류방지 밸브가 없어 익사의 위험 있는 튜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20.04.13
2820 균열이 쉽게 생겨 낙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Fischer 스키부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0.04.13
2819 배출구 모서리 날카로워 찰과상 위험 있는 쑤보얼(SUPOR)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4.13
281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Nopalina 아마씨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0.04.13
2817 성분 첨가 오류로 인해 맛 차이 발생한 Caruso’s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20.04.13
2816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Daggett & Ramsdell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0.04.13
2815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Fair&lovely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4.13
2814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Fair&White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4.13
2813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New face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0.04.13
2812 스팽글 장식 삼킴 사고 우려 있는 타이(TY)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0.04.13
2811 영유아 질식 우려 있는 그라코(Graco) 유아용 바운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0.04.13
2810 유해물질 기준 초과 검출된 Intenz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04.13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