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한국형 만성콩팥병 특성 분석을 위한 장기추적조사 연구의 10년간 성과를 41회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9.2.9.5.)에서 발표

◇ 만성콩팥병 환자 관리는 비만 및 대사이상 조절금연절주저염식 등 생활습관 개선 중요

◇ 만성콩팥병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권고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제41회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형 만성콩팥병 특성 분석을 위한 장기추적 정책용역연구*의 10년 성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 ‘유형별 만성신장질환 생존 및 신기능 보존 장기 추적조사연구(KNOW-KIDNEY,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병원 오국환 교수)


 ○ 만성콩팥병*은 인구 고령화 심화로 비만, 당뇨병, 고혈압 등 위험요인이 증가하면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만성콩팥병 유병률(만30세 이상)은 11.4%**로 성인 10명 중 1명은 이 질환을 앓고 있다.


    * 만성콩팥병(만성신장질환) :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콩팥의 손상이 있거나 콩팥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각종 질환


   ** 2019 국민건강통계 (정의:사구체여과율이 60mL/min/1.73㎡이상이면서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이 30mg/g이상이 경우 또는 사구체여과율이 60mL/min/1.73㎡미만인 경우)
                 <연도별 만성콩팥병 진료 환자 수>


undefined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진료 환자수()

170,576

189,691

203,978

226,877

249,283

259,116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만성콩팥병이 악화되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해야 하며, 일부 환자들의 경우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기 전에 관상동맥질환이나 뇌졸중이 먼저 생겨 사망하는 경우도 있어 예방관리가 중요하다.


   * 말기신부전:  만성콩팥병이 악화되어 콩팥기능이 현저히 감소되어 투석 또는 이식과 같은 콩팥을 대치하는 요법을 받아야만 하는 상태


□ 만성콩팥병 장기추적조사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에 따른 만성콩팥병의 신기능 악화 정도 및 다양한 합병증 발병 위험인자를 규명하고 있다.


 ○ 이 연구 결과, 만성콩팥병 환자가 일반인보다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2.1배 증가되며, 외국 장기추적조사 연구와 비교하여  사망률*은 낮으나 신기능 악화**의 위험은 높았다.


    * 사망률 : 한국 7명/1000인년, 미국 43명/1000인년, 일본 10명/1000인년


    * 신기능 악화(사구체여과율 50%이상 감소 또는 투석ㆍ이식 진행) : 한국 77명/1000인년, 미국 61명/1000인년, 일본 46명/1000인년


 ○ 또한,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비만과 당뇨병 등 대사이상* 조절, 금연, 저염식 등을 실천하는 것이 질환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 대사이상 : 고혈압(수축기 혈압 > 13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 85 mmHg), 당뇨병(공복 혈당 ≥100 mg/dL), 복부 둘레(남자 ≥90 cm, 여자 ≥ 80 cm), 중성지방(≥ 150 mg/d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남자 < 40 mg/dL, 여자 < 50 mg/dL). 5가지 중 3가지 이상이 있을 경우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국민들이 콩팥 건강을 해치지 않는 ⸢만성콩팥병 예방ㆍ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undefined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 음식은 싱겁게 먹고 단백질 섭취는 가급적 줄입니다.

2. 칼륨이 많은 과일과 채소의 지나친 섭취를 피합니다.

3. 콩팥의 상태에 따라 수분을 적절히 섭취합니다.

4. 담배는 반드시 끊고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5.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6. 주 3일 이상 30분에서 1시간 정도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7. 고혈압과 당뇨병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8. 정기적으로 소변 단백뇨와 혈액 크레아티닌 검사를 합니다.

9. 꼭 필요한 약을 콩팥 기능에 맞게 복용합니다.


 ○ 아울러, 만성콩팥병 예방ㆍ관리를 위해 건강한 성인, 고혈압ㆍ당뇨병ㆍ콩팥병 환자, 소아청소년 등 대상별 맞춤형 교육 자료를 보급하고 있다.


 ○ 모든 교육ㆍ홍보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kdca.go.kr→ 알림ㆍ자료 → 홍보자료 → 교육자료)



[ 질병관리청 2021-09-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03 2016년 9월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66만명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7 92
10702 고령자용 지팡이 비교정보 생산 결과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123
10701 금융회사의 불합리한 연체관리 관행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62
10700 ’16. 9월 자동차 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65
10699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으로 겨울건강 미리 챙기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97
10698 9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66
10697 국민과 함께 만든 ‘여성이 알고 싶은 약 이야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87
10696 동남아 등 지카 발생국 방문 후 6개월간 피임 및 성전파 예방 권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85
10695 “식용곤충 안전 사육기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71
10694 식의약품 위해정보 공유로 불량 식의약품 신속 차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84
10693 유리조각 이물 혼입 혼합음료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62
10692 약과 음식도 궁합이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71
10691 [보도자료] 갤럭시 노트7 자발적 리콜, 85% 수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86
10690 견인 시 파손차량 피해구제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97
10689 출산장려금, ‘거주기간 부족’으로 못 받았다는 민원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104
Board Pagination Prev 1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