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중교통비용 절감을 위해 시행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올해 상반기 이용자들은 월 평균 14,816원을 아껴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23.6%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중교통 이용 시 보행·자전거 이동거리에 비례, 마일리지를 지급(20%, 공공재원)하고 카드사가 추가 할인(약 10%) 제공하여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


또한,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0.12월 16.4만명에서 ’21.6월 23.6만명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8월말 현재 26만명을 넘어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백승근)는 이와 같은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21년도 상반기 이용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20년 처음 시작되어 올해 2년차를 맞이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20년의 경우, 대중교통비 월 평균 12,862원, 20.2%를 절감하였던 데 비해, ’21년에는 월 평균 14,816원, 23.6%로 대중교통비 절감률이 더 높아진 것이다.

저소득층 이용자*의 경우에는 월 평균 15,939원, 대중교통비의 28.9%를 절감*한 것으로 분석되어 대중교통비 부담을 대폭 경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저소득층(기준중위소득 50%) : 일반인 대비 약 42% 추가 마일리지 지급


이는 얼리버드* 제도 도입(4.1) 및 저소득층 범위 확대(4.1, 청년층 → 전 연령층) 등 올해 도입된 추가 마일리지 혜택을 받은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얼리버드) 06:30 이전 대중교통 이용 시 기본 마일리지의 50% 추가지급


이용자들의 연령별 분포는 20대이하(49.2%)·30대(28.3%)가 전체의 77.5%를 차지하여 소득이 낮은 청년계층에서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해 적극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50대(8.1%)·60대이상(3.0%)은 11.1%로 전년(9.3%) 대비 1.8%p 상승하여 장년층 이상의 이용자 비율도 점차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0대 이상 이용자 비율) (‘20.6) 6.2% → (’20.12) 9.3% → (‘21.6) 11.1%


알뜰교통카드 이용회수도 월 평균 39회로 ‘20년(37.9회) 대비 1.1회 증가했고, 지역별로는 서울(40.7), 부산(39.7), 인천(39.3), 경기지역(38.7) 순으로 많았으며, 마일리지 할인을 많이 받은 곳은 대중교통비 부담이 큰 경기(10,386원), 인천(9,719원), 서울(9,604원) 순으로 나타났다.

알뜰교통카드로 가장 큰 혜택(금액기준)을 본 이용자는 의정부시에 거주하는 20대 직장인 A씨로 의정부시와 서울 서초구를 주로 통행하여 6개월간 총 155,990원(월 25,998원)의 교통비를 절약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지역도 올해부터 전남·제주·강원도*가 새로 참여함에 따라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 (전남) 순천·무안·신안(1.1), (제주) 제주·서귀포(1.1), (강원도) 춘천(6.1)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박정호 광역교통요금과장은 “알뜰교통카드의 교통비 절감효과가 증가하고 있고, 이용자 수, 대중교통 이용회수 또한 모두 증가하는 등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사업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앞으로 보다 많은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 맞춤형 알뜰교통카드* 등 다양한 개선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알뜰교통카드(30%절감)와 부천시 스마트시티패스(20%절감, 공유PM·자전거·자동차 등)를 연계하여 대중교통비용을 최대 50%까지 절감(‘21.7∼)



[ 국토교통부 2021-09-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66 도마뱀 사체 이물 발견 수입과자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61
3265 녹내장 치료제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90
3264 갑작스런 두통, 방향감각 상실, 몸의 한쪽이 마비일 경우 반드시 응급실 방문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154
326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항공권 취소수수료 일부 반환 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72
3262 개인사업자 대출금리 비교공시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88
3261 스마트폰으로 보이스피싱 목소리 및 전화번호를 신고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71
3260 시중 유통 컬러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1
3259 11월에 놓치지 말아야 할 정부서비스, ‘정부3.0 서비스 알리미’에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5
3258 유학갈 때, 국내 주소 미리 신고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8
3257 당구장, 스크린 골프장 금연구역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85
3256 조명기기, 텐트 등 15개 제품에 대해 수거·교환 등 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92
3255 시중유통 컬러 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7
3254 어르신들, 11월 안에 보건소에서 독감 예방접종 받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7 119
3253 선불카드 사용자의 권익 보호가 한층 강화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7 66
3252 식물 열매나 씨앗 섭취시 주의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70
Board Pagination Prev 1 ...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