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중교통비용 절감을 위해 시행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올해 상반기 이용자들은 월 평균 14,816원을 아껴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23.6%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중교통 이용 시 보행·자전거 이동거리에 비례, 마일리지를 지급(20%, 공공재원)하고 카드사가 추가 할인(약 10%) 제공하여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


또한,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0.12월 16.4만명에서 ’21.6월 23.6만명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8월말 현재 26만명을 넘어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백승근)는 이와 같은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21년도 상반기 이용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20년 처음 시작되어 올해 2년차를 맞이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20년의 경우, 대중교통비 월 평균 12,862원, 20.2%를 절감하였던 데 비해, ’21년에는 월 평균 14,816원, 23.6%로 대중교통비 절감률이 더 높아진 것이다.

저소득층 이용자*의 경우에는 월 평균 15,939원, 대중교통비의 28.9%를 절감*한 것으로 분석되어 대중교통비 부담을 대폭 경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저소득층(기준중위소득 50%) : 일반인 대비 약 42% 추가 마일리지 지급


이는 얼리버드* 제도 도입(4.1) 및 저소득층 범위 확대(4.1, 청년층 → 전 연령층) 등 올해 도입된 추가 마일리지 혜택을 받은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얼리버드) 06:30 이전 대중교통 이용 시 기본 마일리지의 50% 추가지급


이용자들의 연령별 분포는 20대이하(49.2%)·30대(28.3%)가 전체의 77.5%를 차지하여 소득이 낮은 청년계층에서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해 적극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50대(8.1%)·60대이상(3.0%)은 11.1%로 전년(9.3%) 대비 1.8%p 상승하여 장년층 이상의 이용자 비율도 점차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0대 이상 이용자 비율) (‘20.6) 6.2% → (’20.12) 9.3% → (‘21.6) 11.1%


알뜰교통카드 이용회수도 월 평균 39회로 ‘20년(37.9회) 대비 1.1회 증가했고, 지역별로는 서울(40.7), 부산(39.7), 인천(39.3), 경기지역(38.7) 순으로 많았으며, 마일리지 할인을 많이 받은 곳은 대중교통비 부담이 큰 경기(10,386원), 인천(9,719원), 서울(9,604원) 순으로 나타났다.

알뜰교통카드로 가장 큰 혜택(금액기준)을 본 이용자는 의정부시에 거주하는 20대 직장인 A씨로 의정부시와 서울 서초구를 주로 통행하여 6개월간 총 155,990원(월 25,998원)의 교통비를 절약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지역도 올해부터 전남·제주·강원도*가 새로 참여함에 따라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 (전남) 순천·무안·신안(1.1), (제주) 제주·서귀포(1.1), (강원도) 춘천(6.1)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박정호 광역교통요금과장은 “알뜰교통카드의 교통비 절감효과가 증가하고 있고, 이용자 수, 대중교통 이용회수 또한 모두 증가하는 등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사업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앞으로 보다 많은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 맞춤형 알뜰교통카드* 등 다양한 개선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알뜰교통카드(30%절감)와 부천시 스마트시티패스(20%절감, 공유PM·자전거·자동차 등)를 연계하여 대중교통비용을 최대 50%까지 절감(‘21.7∼)



[ 국토교통부 2021-09-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30 포드, 미쓰비시 리콜 실시 (총 2개 차종 1,016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4 53
5329 3월 항공여객 851만 명…전년 동월 대비 8.9%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0 53
5328 금융꿀팁 200선 - (45) 보험계약대출 100% 활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327 2015년 건강보험 보장률 63.4%으로 전년보다 0.2%p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326 농관원, 로컬푸드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325 3개 숙박앱 사업자의 전상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3
5324 식품 중 중금속(납, 카드뮴)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3
5323 국표원, 유아동복·LED 등기구 등 83개 제품 리콜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3
5322 연말연시 대출을 권유하는 전화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53
5321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53
5320 투자사기-불법 사금융 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4 53
5319 ’17년 2월~ ’17년 4월 전국 아파트 79,068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53
5318 식품안전정보포털이 ‘식품안전나라’로 새로워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3
5317 설 연휴기간중 금감원「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5316 ’16년 주택인·허가 72.6만호, 분양승인은 46.9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3
Board Pagination Prev 1 ...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