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종시 거주 40대 여성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로 확진 -

◇ 8월부터 10월까지 모기활동 활발모기물림 주의하세요!

 야외활동시 밝은 색 긴 옷 착용노출부위엔 모기기피제 사용하세요!

 생후 12개월만 12세 자녀는 일정에 맞춰 꼭 예방접종하세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8월 30일 올해 첫 국내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세종시 거주 40대 여성, 난소낭종 외 기저질환은 없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 없음

    ** 감염장소는 환자의 거주지와 다를 수 있으며 현재 역학조사 진행 중임


  ○ 이 환자는 2021년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월 22일(월)) 및 경보 발령(8월 5일(목)) 이후 첫 환자이며, 작년(10월 8일)보다는 한 달 이상 일찍 첫 환자가 발생하였다.

  ○ 지난 8월 17일부터 발열, 근육통, 구토 증상 등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는 8월 20일 의료기관에서 일본뇌염 의심환자로 신고되었고, 세종시 보건환경연구원 및 질병관리청에서 두 차례 실험을 거쳐 8월 30일 최종 확진되었다.


□ 일본뇌염은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250명 중 1명 정도에서 임상증상 발생, 일부는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되고 20~30%는 사망, 생존자의 30~50%는 신경학적, 인지적 또는 행동적 후유증을 갖게 된다.

 ○ 따라서,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undefined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총 5회 접종

‧ 13(생후 1235개월)

- 1223개월 730일 간격 2회 접종, 2차 접종 12개월 뒤 3차 접종

‧ 4(만 6), 5(만 12)

약독화 생백신

총 2회 접종

‧ 12(생후 1235개월)

- 1223개월 1회 접종, 1차 접종 12개월 뒤 2차 접종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nip.kdca.go.kr) 또는 이동통신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 특히, 최근 10년간 발생한 일본뇌염 환자 중 90% 이상이  40세 이상으로, 이 연령층에서 모기물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및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유행국가: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괌,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사이판,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베트남, 동티모르 등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 또한, 8월부터 11월 사이에 전체 환자의 97% 이상이 발생하므로,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undefined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

○ 첫째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둘째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넷째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물 웅덩이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붙임 3]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올해 일본뇌염 환자가 처음 확인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방역소독과 축사 및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에 대한 추가적인 집중 방역소독을 전국 시·도 지자체에 요청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 2021-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80 유해물질 함유한 Babylonia Bola 임산부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1.05.24
2279 미생물 오염으로 감염이나 염증 유발 위험 있는 Ere Perez 화장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21.05.24
2278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하여 중독위험 있는 doTERRA 에센셜 오일(Deep Blue)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1.05.24
2277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하여 중독위험 있는 doTERRA 에센셜 오일(PastTense)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1.05.24
2276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하여 중독위험 있는 doTERRA 에센셜 오일(Deep Blue Touch)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1.05.24
2275 2021년 1분기, ‘사다리’, ‘굴’, ‘조리식품’ 관련 위해사례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1.05.25
2274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시된 APS 영양보충제(somorph Cinnamon Graham Cracker)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1.05.25
2273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시된 APS 영양보충제(Isomorph Banana Cream Pie)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25
2272 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주의사항 표시 미흡한 MY.San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25
2271 쇠줄 혼입 가능성이 있는 fibre well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5.25
2270 뚜껑 필름 접착 강도가 약한 아이리스 푸드 즉석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1.05.25
2269 감전 위험 있는 Thermos 믹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05.26
2268 유리 이물질 혼입으로 질식 위험 있는 VITAM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05.26
2267 살모넬라균 검출된 Davert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05.26
2266 제품명을 잘못 표시하여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enerBio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5.26
2265 수입 염장바지락살 섭취로 인한 A형간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1.05.27
2264 유명 패션 브랜드 ‘아미(ami)’ 사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05.27
2263 무독성·친환경으로 표시한 일부 그림물감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6.01
2262 플릭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6.02
2261 삼성전자(주) 갤럭시 Z 플립, 액정보호필름 부착 서비스 제공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1.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