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종시 거주 40대 여성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로 확진 -

◇ 8월부터 10월까지 모기활동 활발모기물림 주의하세요!

 야외활동시 밝은 색 긴 옷 착용노출부위엔 모기기피제 사용하세요!

 생후 12개월만 12세 자녀는 일정에 맞춰 꼭 예방접종하세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8월 30일 올해 첫 국내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세종시 거주 40대 여성, 난소낭종 외 기저질환은 없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 없음

    ** 감염장소는 환자의 거주지와 다를 수 있으며 현재 역학조사 진행 중임


  ○ 이 환자는 2021년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월 22일(월)) 및 경보 발령(8월 5일(목)) 이후 첫 환자이며, 작년(10월 8일)보다는 한 달 이상 일찍 첫 환자가 발생하였다.

  ○ 지난 8월 17일부터 발열, 근육통, 구토 증상 등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는 8월 20일 의료기관에서 일본뇌염 의심환자로 신고되었고, 세종시 보건환경연구원 및 질병관리청에서 두 차례 실험을 거쳐 8월 30일 최종 확진되었다.


□ 일본뇌염은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250명 중 1명 정도에서 임상증상 발생, 일부는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되고 20~30%는 사망, 생존자의 30~50%는 신경학적, 인지적 또는 행동적 후유증을 갖게 된다.

 ○ 따라서,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undefined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총 5회 접종

‧ 13(생후 1235개월)

- 1223개월 730일 간격 2회 접종, 2차 접종 12개월 뒤 3차 접종

‧ 4(만 6), 5(만 12)

약독화 생백신

총 2회 접종

‧ 12(생후 1235개월)

- 1223개월 1회 접종, 1차 접종 12개월 뒤 2차 접종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nip.kdca.go.kr) 또는 이동통신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 특히, 최근 10년간 발생한 일본뇌염 환자 중 90% 이상이  40세 이상으로, 이 연령층에서 모기물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및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유행국가: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괌,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사이판,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베트남, 동티모르 등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 또한, 8월부터 11월 사이에 전체 환자의 97% 이상이 발생하므로,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undefined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

○ 첫째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둘째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넷째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물 웅덩이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붙임 3]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올해 일본뇌염 환자가 처음 확인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방역소독과 축사 및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에 대한 추가적인 집중 방역소독을 전국 시·도 지자체에 요청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 2021-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59 즐거운 여름 휴가,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7.26
1958 가을철 야외활동 독버섯, 뱀 등 독성생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9.02
1957 라벨에 전성분 표시가 잘못된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07.01
1956 어린이 기호식품 영양성분 확인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0.19
1955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Earthborn Holistic 개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5.13
195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Olde Thompson 고수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7.12
1953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9.15
1952 가을철, 진드기 및 쥐와도 거리두기를 실천해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9.16
1951 사용 중 가스 누설 가능성 있는 SOTO 레큘레이터 스토브(ST-310MT)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2.09
1950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3.10
1949 벤젠 검출된 Aussie 드라이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3.14
194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6.08
1947 배터리 단자함 미고정으로 질식 위험 있는 피아노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3
1946 가열조리용 굴…꼭 익혀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4
1945 이산화황 성분이 초과 검출된 Autour du Riz 설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6
1944 12세 여학생 세 명 중 두 명이 받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방학 때 미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1.24
1943 노로바이러스 예방수칙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13
1942 Bob’s Red Mill 곡물가루(Organic Amaranth),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6.21
1941 미허용 성분(CMIT/MIT) 함유 수입 세척제 수거.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3.19
1940 전국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7.03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