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종시 거주 40대 여성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로 확진 -

◇ 8월부터 10월까지 모기활동 활발모기물림 주의하세요!

 야외활동시 밝은 색 긴 옷 착용노출부위엔 모기기피제 사용하세요!

 생후 12개월만 12세 자녀는 일정에 맞춰 꼭 예방접종하세요!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8월 30일 올해 첫 국내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세종시 거주 40대 여성, 난소낭종 외 기저질환은 없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 없음

    ** 감염장소는 환자의 거주지와 다를 수 있으며 현재 역학조사 진행 중임


  ○ 이 환자는 2021년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월 22일(월)) 및 경보 발령(8월 5일(목)) 이후 첫 환자이며, 작년(10월 8일)보다는 한 달 이상 일찍 첫 환자가 발생하였다.

  ○ 지난 8월 17일부터 발열, 근육통, 구토 증상 등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는 8월 20일 의료기관에서 일본뇌염 의심환자로 신고되었고, 세종시 보건환경연구원 및 질병관리청에서 두 차례 실험을 거쳐 8월 30일 최종 확진되었다.


□ 일본뇌염은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250명 중 1명 정도에서 임상증상 발생, 일부는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되고 20~30%는 사망, 생존자의 30~50%는 신경학적, 인지적 또는 행동적 후유증을 갖게 된다.

 ○ 따라서,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undefined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총 5회 접종

‧ 13(생후 1235개월)

- 1223개월 730일 간격 2회 접종, 2차 접종 12개월 뒤 3차 접종

‧ 4(만 6), 5(만 12)

약독화 생백신

총 2회 접종

‧ 12(생후 1235개월)

- 1223개월 1회 접종, 1차 접종 12개월 뒤 2차 접종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nip.kdca.go.kr) 또는 이동통신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 특히, 최근 10년간 발생한 일본뇌염 환자 중 90% 이상이  40세 이상으로, 이 연령층에서 모기물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및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유행국가: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괌,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사이판,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베트남, 동티모르 등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 또한, 8월부터 11월 사이에 전체 환자의 97% 이상이 발생하므로,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undefined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

○ 첫째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둘째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넷째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물 웅덩이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붙임 3]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올해 일본뇌염 환자가 처음 확인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방역소독과 축사 및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에 대한 추가적인 집중 방역소독을 전국 시·도 지자체에 요청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 2021-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89 사용 중 파손될 수 있는 Liberty Hardware 가구 손잡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1.11.29
1988 앞바퀴 베어링 고장으로 낙상사고 위험있는 Joovy 유모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11.29
1987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유니콘 스퀴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11.29
1986 질식, 상해, 목 조임 위험 있는 전화기 모형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11.29
1985 낙상, 질식 등의 위험 있는 PHONENIX 어린이용 킥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11.29
1984 작은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인어공주 목욕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1.11.29
1983 작은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타워퍼즐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11.29
1982 배터리 단자함 뚜껑이 분리돼 쉽게 배터리에 접근 가능한 목욕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11.29
1981 하이드로퀴논 함유량이 허용치를 초과한 Caro 피부미백오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11.29
1980 하이드로퀴논 함유량이 허용치를 초과한 Clear Essence 피부미백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21.11.29
1979 성분 표시가 정확하지 않은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1.30
1978 벤젠 검출된 Tinactin 스프레이형 무좀약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11.30
1977 벤젠 검출된 Tinactin 스프레이형 무좀약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11.30
1976 벤젠 검출된 Tinactin 스프레이형 무좀약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11.30
1975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동해농산 고추냉이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1.11.30
1974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하나마루키 된장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1.11.30
1973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동해농산 와사비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1.11.30
1972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마루미야 김 와사비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11.30
1971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다나카식품 와사비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1.11.30
1970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MAM 차즈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11.30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