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친환경차 지속 증가 … 18년 46만대 → 21년 7월 100만대
- 전기차 18만대, 금년내 22만대 돌파 예상 (월평균 7천여대 등록)
- 수소차 1.5만대 돌파(15,765대), 18년(893대) 대비 18배 증가
- 수입차 누적 점유율 11.5%(285만대), 18년 9.4%(217만대) 대비 2.1% 증가

국토교통부(장관노형욱)는 ‘21년 7월 자동차 등록대수(누적)가 2,470만 대를 기록하여 전월대비 61천대(0.25%) 증가하였으며, ’20년 말(24,366천대) 대비는 34만대(1.4%)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전년동기(‘20.1∼7월) 대비(42만대, 1.8%증가)는 증가폭이 감소(8만대, 0.4%p↓)


7월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159천대로 전월비 7,859대(4.7%)가 감소하였으며, 전남(△13%), 부산(△8.5%), 서울(△7.7%) 순으로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과 개별소비세 인하율 조정(70%→30%) 등에 따라 국산차 신규등록 수*는 전년 동월대비 두 자리 수 감소세를 보였다.

* 전년동월비 국산차 신규등록 증감율: 5월 18.7%↓, 6월 23.1%↓, 7월 12.9%↓


7월 신규등록 차량 159천대 중 국산차가 133천대(83.5%)를 차지하였고, 수입차가 26천대(16.5%)로 수입차의 누적점유율은 ‘18년 9.4%에서 ’19년도에 10%대를 돌파하고 ‘21.7월 현재 11.5%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입차 점유율 : ’18년 9.4% → ‘19년 10.2% → ’20년 11.0% → ‘21년 7월 11.5%


사용 연료별로는 친환경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의 신규등록이 전월대비 3.1% 증가하여 누적등록 대수가 100만대를 돌파(1,004천대)한 반면, 휘발유차는 0.3% 증가, 경유·LPG차는 0.04% 감소하였다.

전기차는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확대 노력과 국민들의 높은 관심 속에서 ‘19년 말 9만 대에서, 1년 반 만에 누적대수 18.1만 대로 2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제주도에 전기차(84,407대)가 다수 등록(46.6%)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월대비 7월에는 전기차 지방보조금이 많은 충남이 가장 높은 10.9% 증가, 인천 8.4%, 충북 8.3%, 전북 7.1% 순으로 신규등록이 증가하였다.

* 누적등록: 경기 31,820대(17.6%)〉서울 29,325대(16.2%)〉제주 23,262대(12.9%), 그 외 96,559대(53.4%)


제작사별로는 현대차(44.6%), 기아(20.3%), 테슬라(14.8%) 순으로 누적등록 점유율을 보이며, 차량반도체 수급 등으로 인한 국내 생산차질(4~5월)과 테슬라의 상반기 집중 수입 등으로 수입 전기차의 점유율이 높다가 6월 이후 국산 전기차 신규등록이 다시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 국산:수입신규등록비율⇒(3월) 63%:37%, (5월) 47:53, (6월) 57:43, (7월) 92:8


전기차 구매자의 연령은 40·50대가 57%로 가장 많고 60대, 30대 순으로 개인명의 전기차(70%)를 구입하였으며, 30%는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40대 29.2%, 50대 27.5%, 60대 19.4%, 30대 16.6%, 그 외 7.3% (개인 70%, 법인 30%)


또한 ‘21년 1~7월까지 신규등록 전기차(47,508대) 모델을 살펴보면 포터Ⅱ(화물, 9,793대), 아이오닉5(8,628대), 테슬라 모델3(6,291대), 봉고Ⅲ(화물, 6,047대) 순으로 등록대수를 나타내었다.

국토교통부 김정희 자동차정책관은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증대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등에 따라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 증가가 본격화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시장의 흐름과 변화에 맞춰 체계적인 자동차 통계관리와 맞춤형 통계 제공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월별 자동차등록통계는 국토교통부 통계누리(www.stat.molt.go.kr)에서 확인 가능



[ 국토교통부 2021-08-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38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내구 닦임 성능(수명) 대부분 양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4 155
10537 자동차 엔진오일, 기본유 및 함량 표시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31
10536 자동차 에어컨 필터 비교정보 생산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5 412
10535 자동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휴대용 취급설명서 제공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4
10534 자동차 안전도 평가 결과 즉시 공개·확인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3 57
10533 자동차 안전도 5개 차종 평가 결과 모두 1등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1 76
10532 자동차 안전기준 부적합과 연비과장 으로 5개 차종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99
10531 자동차 수리 시 친환경 부품 사용률 매우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1 21
10530 자동차 수리 시 이젠 인증대체부품을 간편하게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6 85
10529 자동차 세차 시 차량 손상 주의 하세요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6 96
10528 자동차 서비스센터 소비자만족도 ‘시설 이용 편리성’ 높고, ‘사이트·앱 정보 유용성’은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07 34
10527 자동차 부품업체 등의 자동차 대물배상 보험금 편취 혐의 대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44
10526 자동차 부실검사 150건 적발, 111개 업체 행정처분 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9 97
10525 자동차 봉인제 폐지, 음주측정 불응자에게는 사고부담금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10
10524 자동차 보험사기 피해자에게 지난 1년간 부당하게 할증된 자동차보험료 9.6억원을 환급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5 6
Board Pagination Prev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