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코레일, 에스알 등 철도운영사,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생산성본부 등과 함께 ‘철도 이용객 서비스 개선을 위한 협의회’를 8월 20일(금) 오후 3시 서울역 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다자녀 등 할인 대상 확대, 열차 지연배상금과 소멸 예정 마일리지의 자동보상, 대중교통 연계강화, 수어영상 제공 등 다양한 공익적 서비스 개선방안 등을 중점 논의하였고, 아울러, 철도이용자들의 모바일·비대면 선호추세에 따라 승차권 자동발매기 확대, 온라인예매 플랫폼 다양화, AI기반 모바일 상담 등의 시행 및 확대 방안도 공유하였다.

개선 추진사항은 ① 철도이용 편의제고, ② 교통약자 접근성 강화, ③ 이용객 권익보호이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➊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철도서비스의 편의성 제고 사례 ]


서울에 사는 김철수씨는 밀양에 거주하시는 부모님이 KTX를 이용하여 상경하실 때마다, 밀양 교외에 위치한 댁에서부터 밀양역까지 이동하시는 것이 항상 걱정되었다. 하지만, 코레일톡(앱)을 통해 공공형 택시를 연계하여 이용하면 부모님이 댁 바로 앞에서 택시를 타시고 밀양역에 편안하게 도착하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해당 서비스를 많이 이용할 계획이다. (철도-공공택시 교통 연계)


코레일은 코레일톡에서 공공형 택시·버스 이용신청이 가능토록 하여 교통수단간 연계를 확대(‘21.9~)하고, ‘모바일 승차권 전달’은 전용 앱이 없어도, SMS 등으로도 가능토록 개선(‘21.9~)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127개 역사에 승차권 자동발매기를 확대 설치하고, 네이버·카카오 앱과 철도승차권 구매시스템을 연동(‘21.2~)한데 이어 위챗페이·알리 등 해외 결제플랫폼 연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에스알은 AI기반의 모바일 상담(SRT 챗봇)을 통해 승차권 예약·환불, 열차 이용안내 등을 시행(‘20.12~)하고 있으며, 수서역 승차권 자동발매기에 비접촉 스크린을 설치하는 등 비대면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➋ 교통약자 지원, 공공할인 확대 등 포용적 가치를 실현합니다.


[ 교통약자 접근성 강화 사례 ]


청각 장애가 있는 홍길동씨는 SRT를 자주 이용한다. 그간 열차운행 정보는 음성 방송위주로 안내되어 궁금한 사항이 많았는데, 수어영상 서비스를 통해 운행정보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정보도 파악 할 수 있게 되어 열차 이용이 한결 더 만족스럽다. (수어영상서비스)


에스알은 다자녀 할인기준을 기존 3명에서 2명이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의무 복무장병도 할인혜택의 대상으로 포함한다.

코레일은 코레일톡을 통한 휠체어 승하차 도우미 서비스 이용을 지속 독려할 계획이며, 역사 내 전동 휠체어 급속 충전시설 확충, 역사 내 노후화 점자안내 표지판 교체 및 유아동반 이용객을 위한 수유실도 확대할 계획이다.

➌ 철도 고객의 권익을 증진합니다.

KTX 소멸 예정 마일리지는 할인 쿠폰으로 전환하여 제공하고 사용 용도도 다양화하여 혜택의 폭을 넓힐 예정(‘21.12~)이다.

또한, 지금까지는 열차지연 배상금을 받기 위해서는 이용객이 역 창구를 직접 찾아가거나 전용앱에서 별도로 신청해야했지만, 금년 8월부터는 자동으로 지연배상금을 받을 수 있다.

국토교통부 강희업 철도국장은 “철도교통이 코로나-19 등 전염병에 상시 위기대응 능력을 갖추되, 이로 인해 철도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거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세심한 신경을 써야할 때”라며, 협의회에서 공유된 우수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한 발 앞서, 국민들에게 보다 편리한 철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연한 사고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철도서비스를 발굴·개선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국토교통부 2021-08-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50 단위면적당 건물에너지사용량 꾸준히 감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31 52
5749 단순처리식품 생산업체 위생관리 실태조사 및 지도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70
5748 단백질 보충 일반식품, 제품별 단백질 함량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8 19
5747 단백질 건강기능식품, 선택의 폭이 넓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82
5746 단기사증 효력정지·사증면제협정 및 무사증입국 잠정 정지 조치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0 20
5745 단기 투자수요 억제 및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청약제도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0 33
5744 단기 임대주택, 장기 임대주택으로 전환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2 53
5743 다회용컵 사용 확산…플라스틱 빨대 등 1회용품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5 25
5742 다회용 키친타월, 흡수성·내구성 등 주요 품질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3 23
5741 다카타社 에어백 리콜 독려와 아우디, 폭스바겐 총 2,617대(3개 차종)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26
5740 다차로 하이패스로 편하게 지나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7 10
5739 다진고기로 만든 분쇄가공육 제조업체 일제 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0 40
5738 다중이용업소 비상구 막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0 44
5737 다제내성결핵, 이제 보다 간결하게 치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1 28
5736 다제내성결핵 치료, 알기 쉽게 설명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9 2
Board Pagination Prev 1 ...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