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도자료

보도일시

배포 즉시

배포일자

2021. 8.17.()

담당과장

수입식품정책과

김 솔 (043-719-2170)

담당자

권혁승 사무관

 (043-719-2162)

 

 

 

 

무신고 수입식품 영업자 특별관리 대상으로 추가

-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수입식품 등을 신고하지 않고 입해 법을 위반한 영업자를 특별관리영업자* 지정대상으로 추가하는 내용 등을 담은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8 17 입법예고합니다.

    * 「수입식품법」 제26(영업자의 구분 관리)에 따라 허위 수입신고 등 중대한 법 위반행위를 한 경우 특별관리영업자로 지정하여 정밀검사 강화 등 영업자 구분관리

  이번 개정은 건전한 영업환경을 조성해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업무처리 방식을 합리적으로 개선해 효율적으로 업무 수행하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시행령에서 ▲해외제조업소 등록 업무를 식품안전정보원에 위탁하고, 시행규칙에서는 ▲영업등록사항 변경 신청 기한 명시 ▲특별관리영업자 지정대상 확대 ▲계획수입 신속통관 요건완화 ▲수산물 전자 위생증명서 인정 등입니다.

 < 제도 정비(시행령) >

  해외제조업소 등록*업무 식품안전 정보관리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식품안전정보원에 위탁 업무효율성을 제고합니다.  

    * 수입식품 등을 국내로 수입하려는 자 등은 해당 해외제조업소 명칭, 소재지 등을 수입신고 전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등록해야 함

 

< 안전관리 강화(시행규칙) >

영업등록사항 변경 변경사항 신청기한 명시하고 있지 않았으나 변경 사유 발생 30 이내 명확히 하여 영업등록 정보 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그간 특별관리 영업자는 허위 수입신고, 부적합 사후조치(반송, 폐기 ) 위반, 금품‧향응제공 중대한 위반행위를 경우에 지정해 정밀검사가 강화되는 구분 관리 대상이었으나, 앞으로는 수입식품 등을 신고하지 않고 수입한 영업자 특별관리영업자 대상으로 추가하여 검사를 강화합니다.         

< 규제 개선 분야(시행규칙) >       

  우수수입업소 제도 활성화를 위해 우수수입업소 대상으로 적용되는 계획수입 신속통관* 신청대상 최근 3년간 5 이상 수입신고한 품목에서 최근 3년간 연평균 5 이상 수입신고한 품목으로 확대합니다.

    * 연간 해외제조업소에 대한 현장점검 등을 하는 우수수입업소에서 수입한 식품 등이 최근 3년간 부적합 이력 없이 지속적인 수입실적 있는 경우, 수입검사 없이 자동으로 신고수리 가능토록 함으로서 자율관리를 유도하려는 제도     

    * 기대효과 : 신속통관 대상품목 40% 증가

  수산물 위생약정 체결국* 수출국 위생증명서( 수입시 제출) 전자 위생증명서로도 제출 가능토록하여 제출의 용이성을 높이고 위변조 가능성을 줄였습니다.

    *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러시아, 에콰도르, 칠레, 노르웨이 등 8개국

식약처는 앞으로도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 국민들이 수입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합리적인 규제 개선으로 안전한 수입식품이 유통될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참고로 이번 개정안 세부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법령‧자료 입법/행정예고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붙임> 「수입식품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주요 내용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8-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30 “폐의약품, 이렇게 처리합시다~” '국민생각함’ 청소년 정책아이디어 톡톡 튀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1 33
5929 식약처, 중국 화하이 제조‘발사르탄’사용 우려 관련 현장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0 33
5928 천재지변·질병·사고 등으로 응시 못하면 중·고등학교 입학전형료 돌려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3
5927 보다 편리해진 정보공개 이제 스마트폰 신청도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33
5926 노인학대 신고, 참견이 아니라 도움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4 33
5925 의류제품 소비자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4 33
5924 부실시공 주택건설 사업자·시공사 선분양 제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3
5923 고용노동부, 판매직 노동자 건강보호에 발 벗고 나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3
5922 골든타임 중요한 급성기뇌졸중...진료 잘하는 병원 미리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3
5921 장기요양 수급자의 지역사회 생활을 돕는 통합 서비스 제공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33
5920 7개 공기청정 제품 제조·판매사업자의 부당한 표시·광고행위 제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33
5919 내년부터 자율주행 버스·화물차 일반 도로에서 만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3
5918 중환자 생명권 보호를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 시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3
5917 미세먼지 해결방안에 대한 국민 아이디어 모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0 33
5916 출생부터 노후까지 내 삶에 필요한 복지, 한 권에 담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8 33
Board Pagination Prev 1 ...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