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도자료

보도일시

배포 즉시

배포일자

2021. 8.17.()

담당과장

수입식품정책과

김 솔 (043-719-2170)

담당자

권혁승 사무관

 (043-719-2162)

 

 

 

 

무신고 수입식품 영업자 특별관리 대상으로 추가

-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수입식품 등을 신고하지 않고 입해 법을 위반한 영업자를 특별관리영업자* 지정대상으로 추가하는 내용 등을 담은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8 17 입법예고합니다.

    * 「수입식품법」 제26(영업자의 구분 관리)에 따라 허위 수입신고 등 중대한 법 위반행위를 한 경우 특별관리영업자로 지정하여 정밀검사 강화 등 영업자 구분관리

  이번 개정은 건전한 영업환경을 조성해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업무처리 방식을 합리적으로 개선해 효율적으로 업무 수행하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시행령에서 ▲해외제조업소 등록 업무를 식품안전정보원에 위탁하고, 시행규칙에서는 ▲영업등록사항 변경 신청 기한 명시 ▲특별관리영업자 지정대상 확대 ▲계획수입 신속통관 요건완화 ▲수산물 전자 위생증명서 인정 등입니다.

 < 제도 정비(시행령) >

  해외제조업소 등록*업무 식품안전 정보관리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식품안전정보원에 위탁 업무효율성을 제고합니다.  

    * 수입식품 등을 국내로 수입하려는 자 등은 해당 해외제조업소 명칭, 소재지 등을 수입신고 전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등록해야 함

 

< 안전관리 강화(시행규칙) >

영업등록사항 변경 변경사항 신청기한 명시하고 있지 않았으나 변경 사유 발생 30 이내 명확히 하여 영업등록 정보 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그간 특별관리 영업자는 허위 수입신고, 부적합 사후조치(반송, 폐기 ) 위반, 금품‧향응제공 중대한 위반행위를 경우에 지정해 정밀검사가 강화되는 구분 관리 대상이었으나, 앞으로는 수입식품 등을 신고하지 않고 수입한 영업자 특별관리영업자 대상으로 추가하여 검사를 강화합니다.         

< 규제 개선 분야(시행규칙) >       

  우수수입업소 제도 활성화를 위해 우수수입업소 대상으로 적용되는 계획수입 신속통관* 신청대상 최근 3년간 5 이상 수입신고한 품목에서 최근 3년간 연평균 5 이상 수입신고한 품목으로 확대합니다.

    * 연간 해외제조업소에 대한 현장점검 등을 하는 우수수입업소에서 수입한 식품 등이 최근 3년간 부적합 이력 없이 지속적인 수입실적 있는 경우, 수입검사 없이 자동으로 신고수리 가능토록 함으로서 자율관리를 유도하려는 제도     

    * 기대효과 : 신속통관 대상품목 40% 증가

  수산물 위생약정 체결국* 수출국 위생증명서( 수입시 제출) 전자 위생증명서로도 제출 가능토록하여 제출의 용이성을 높이고 위변조 가능성을 줄였습니다.

    *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러시아, 에콰도르, 칠레, 노르웨이 등 8개국

식약처는 앞으로도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 국민들이 수입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합리적인 규제 개선으로 안전한 수입식품이 유통될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참고로 이번 개정안 세부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법령‧자료 입법/행정예고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붙임> 「수입식품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주요 내용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8-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54 소비자 대상 직접(DTC) 유전자검사를 받을 때 주의사항과 활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7
5953 소비자 드론 시장 활성화, 안전관리 강화 필요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62
5952 소비자 만족도, KEB하나은행이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7 58
5951 소비자 방송통신 결합상품에 대체로 만족, 결합상품에 대한 정부규제 소비자 중심에서 고려되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3 68
5950 소비자 보호를 위한 민간자격 표시의무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2 65
5949 소비자 보호의 실효성은 높이고, 보험모집의 비효율은 낮출 수 있도록「비대면,디지털 모집 규제」를 개선하겠습니다.[보험업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등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7 38
5948 소비자 신고 등 다빈도 발생 품목 제조업체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6 35
5947 소비자 안내를 강화하고 공시를 개선하는 등금리인하요구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9 12
5946 소비자 입장에서의 문신용 염료 안전관리 방안 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9 22
5945 소비자 종합 이슈, '금융소비자의 소리'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77
5944 소비자 중심 금융개혁 우선 추진 과제 및 추진체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5 35
5943 소비자 중심의 공감형 해외직구 사이트 개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3 32
5942 소비자 체감 서비스시장 수준 평가, '일반병원진료' 시장이 1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9
5941 소비자 피해 구제, 연말부터 손끝으로 한 곳에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1 73
5940 소비자 피해 많은 해외 인터넷 쇼핑몰 조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9 287
Board Pagination Prev 1 ...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