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7월 이후 부산 연제구 및 경기도 성남시 소재 음식점에서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 집단발생

◇ 표본감시 결과살모넬라균감염증의 전국적인 산발사례가 지속되고 있어 예방을 위해 닭오리 등 가금류 및 달걀의 조리 위생 준수 및 개인위생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올해 전국 표본감시 분석 결과, 예년보다 살모넬라균감염증 신고가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2021년 20주차(5.23.~5.29.)까지는 과거 5년 수준으로 신고 되었으나, 21주차부터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증가하였고, 26주차(6.27.~7.3.) 이후로는 부산지역에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 올해 8~9월 평균기온은 평년 대비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과거 5년 발생경향을 고려하였을 때 9월말까지 살모넬라균감염증의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상청 날씨누리 1개월 전망(21.8.16.~21.9.12.)



<전국, 서울, 경기, 부산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발생 그림 붙임 참조>



□ 신고된 살모넬라균감염증의 집단감염 사례를 조사한 결과, 주로 달걀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7월 19일부터 발생한 부산 연제구 소재 음식점에서, 인체검체 (환자) 및 환경검체(육전, 절임무, 양념장)에서 동일한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이 확인되었고


 ○ 7월 30일과 8월 2일에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소재 식당 집단발생에서는  인체검체(환자, 종사자), 환경검체(행주, 도마, 달걀물통)에서 동일한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tidis)이 확인되었다.


 ○ 위 집단발생과 연관된 균은 닭의 분변에 오염된 달걀에서 흔히 검출되는 살모넬라균*으로, 달걀의 취급 및 섭취 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homson 등


□ 살모넬라균감염증은 살모넬라균에 노출된 달걀, 우유, 육류와 이들 가공품이 주요 감염원이며, 이들 식품의 조리 시 장시간 상온 방치 혹은 교차오염이 위험요인이다.


   * 달걀 껍데기에 있는 오염물질이 껍질을 깨는 조리과정에서 달걀액을 오염시키거나, 달걀을 만진 손을 씻지 않고 다른 음식을 조리한 경우 교차오염 가능


 ○ 예방을 위해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하고, 냉장보관 해야 하며, 껍질을 깬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한다.


 ○ 달걀의 겉 표면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달걀을 만진 이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손과 칼, 도마, 행주 등에 의한 교차오염에 주의하여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살모넬라균감염증을 비롯한 장관감염증의 예방을 위해 위생수칙을 준수하여 조리된 안전한 음식을 섭취하며, 올바른 손 씻기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면서,


 ○ 아울러,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시 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8-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31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0.09.02
2330 여름철, 캠필로박터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0.07.23
2329 일부 비눗방울 장난감에서 유해 보존제 및 기준 초과 미생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10.01
2328 Medline 반창고, 곰팡이 발생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2.07
2327 해외 유입 홍역환자 증가에 따른 지속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9.01.21
2326 Bob’s Red Mill 곡물가루(Organic Amaranth),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21
2325 ECOIFFIER 테이블 완구(Table eveil maxi Abrick), 작은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20
2324 Radiant Colors 문신잉크(Trial Black), 발암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20
2323 선풍기 에어컨 사용 전 점검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6.14
2322 Ultra Glow 미백화장품(Fade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3.21
2321 설 연휴, 아프거나 다쳐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2.13
2320 전기장판 사용 시 화재·화상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7.11.30
2319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3.03.22
2318 종합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6.08
2317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14
2316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JK-A007 적외선 디지털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14
2315 자석 부품의 높은 자속 지수 및 작은 크기로 인해 질식의 위험 있는 Leehur 슬라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09
2314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Greenweez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12.22
2313 주식신용거래에 따른 투자위험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28
2312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14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