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7월 이후 부산 연제구 및 경기도 성남시 소재 음식점에서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 집단발생

◇ 표본감시 결과살모넬라균감염증의 전국적인 산발사례가 지속되고 있어 예방을 위해 닭오리 등 가금류 및 달걀의 조리 위생 준수 및 개인위생 당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올해 전국 표본감시 분석 결과, 예년보다 살모넬라균감염증 신고가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2021년 20주차(5.23.~5.29.)까지는 과거 5년 수준으로 신고 되었으나, 21주차부터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증가하였고, 26주차(6.27.~7.3.) 이후로는 부산지역에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 올해 8~9월 평균기온은 평년 대비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과거 5년 발생경향을 고려하였을 때 9월말까지 살모넬라균감염증의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상청 날씨누리 1개월 전망(21.8.16.~21.9.12.)



<전국, 서울, 경기, 부산 살모넬라균감염증 환자발생 그림 붙임 참조>



□ 신고된 살모넬라균감염증의 집단감염 사례를 조사한 결과, 주로 달걀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7월 19일부터 발생한 부산 연제구 소재 음식점에서, 인체검체 (환자) 및 환경검체(육전, 절임무, 양념장)에서 동일한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이 확인되었고


 ○ 7월 30일과 8월 2일에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소재 식당 집단발생에서는  인체검체(환자, 종사자), 환경검체(행주, 도마, 달걀물통)에서 동일한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tidis)이 확인되었다.


 ○ 위 집단발생과 연관된 균은 닭의 분변에 오염된 달걀에서 흔히 검출되는 살모넬라균*으로, 달걀의 취급 및 섭취 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homson 등


□ 살모넬라균감염증은 살모넬라균에 노출된 달걀, 우유, 육류와 이들 가공품이 주요 감염원이며, 이들 식품의 조리 시 장시간 상온 방치 혹은 교차오염이 위험요인이다.


   * 달걀 껍데기에 있는 오염물질이 껍질을 깨는 조리과정에서 달걀액을 오염시키거나, 달걀을 만진 손을 씻지 않고 다른 음식을 조리한 경우 교차오염 가능


 ○ 예방을 위해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하고, 냉장보관 해야 하며, 껍질을 깬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한다.


 ○ 달걀의 겉 표면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달걀을 만진 이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손과 칼, 도마, 행주 등에 의한 교차오염에 주의하여야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살모넬라균감염증을 비롯한 장관감염증의 예방을 위해 위생수칙을 준수하여 조리된 안전한 음식을 섭취하며, 올바른 손 씻기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면서,


 ○ 아울러,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시 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1-08-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33 가열조리용 굴…꼭 익혀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3.14
1932 ‘어린이 키성장’ 등 불법·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3.16
1931 Benefit 눈썹 마스카라 눈 자극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2.07
1930 Evanhealy 화장품,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6.21
1929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1.16
1928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9.05.07
1927 부품이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키움하우스 브랜드B 치발기 국내 리콜(환급)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1.05.24
1926 벤젠 검출된 WATERL SS 드라이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3.14
1925 벤젠 검출된 Old Spice 드라이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3.14
1924 제조 불량으로 부품 손상 가능성 있는 ASUS 메인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4.04
1923 연료 탱크 외부 정전기 방전으로 화재 위험 있는 Polaris A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2.13
1922 비상등 오점등 및 방향 지시등 사용 불가한 CFMOTO ATVㆍUTV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3.13
1921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Brooklyn Bean 캡슐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4.06
1920 자궁경부암 예방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중1(2004년생) 여학생은 올해 내 ‘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7.12.18
1919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9.07
1918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12.04
1917 King Bio 천연치료제,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12.06
1916 Stacker2 식품보조제에 카페인 과다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5.16
1915 가을 산행은 무리하지 말고 안전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0.18
1914 어린이 기호식품 영양성분 확인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19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