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완구 · 교구, 안전기준 부적합한 제품 많아

- 불법 · 불량 승용완구 등 18개 제품 리콜 -

이 자료는 127()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26() 11]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과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제대식)은 정부 3.0의 일환으로 어린이 완구 등에 대해 공동으로 안전성 조사를 실시(‘15.10.’15.12)한 결과,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총 18개 제품에 대하여 리콜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의 위해사례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어린이 완구 관련 위해사례는 총 2,582건으로 매년 다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 연도별 건수 : ‘11512’12445‘13537’14589‘1510499

  위해 원인으로는 완구의 작은 부품을 삼켜서 발생한 사고가 853(33.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작동 완구 또는 발사체 완구 등에 맞아서 다친 사고가 671(26.0%), 완구의 날카로운 끝에 베이거나 찔려 다친 사고가 442(17.1%) 등이었다.

  제품 안전성 조사는 한국소비자원이 교구, 국가기술표준원은 완구로 나누어 분야별로 실시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집에 공급되는 교구 46개 제품에 대하여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13개 제품이 완구의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리콜을 권고하였으며, 사업자들이 이를 받아들여 해당 제품들을 자진 수거하기로 하였다.

   * 교구 : 교재와 함께 제공되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제작·설계된 완구를 말하며, 완구 안전기준의 적용을 받음.

  부적합 13개 제품 중 5개 제품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허용기준(함유량 0.1% 이하)을 최대 452배 초과하여 검출되었고, 1개 제품에서는 중추신경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납이 허용기준(300mg/kg 이하)9.7배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5개 제품은 작은 부품이 쉽게 떨어져 어린이들이 삼킬 우려가 있었으며, 2개 제품은 떨어뜨리거나 잡아 당겼을 때 날카로운 끝이 발생하여 찔리거나 베일 우려가 있었고, 1개 제품은 표면에서 페인트가 묻어나와 물리적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1개 제품이 부적합사례 중복(프탈레이트 및 작은부품 발생)되어 사례수로는 14건이나 제품수는 13개임.

  추가로 어린이집 교구의 표시실태 조사결과, 46개 제품 중 45개 제품이 의무표시사항인 KC 인증기호 및 번호, 모델명, 제조(수입)자명, 작은부품 경고문구 등을 누락하여 이의 개선을 권고하였다.

  한편, 국가기술표준원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 완구 308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 5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허용기준을 최소 7배에서 최대 161배를 초과하여 검출되었고, 1개 제품에서 납이 허용기준을 1.2, 1개 제품에서는 신장, 호흡기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카드뮴이 허용기준(75mg/kg 이하)3.08배 초과 검출되어 이들 제품에 대해 리콜명령을 내렸다.

      * 2개 제품이 부적합사례 중복(프탈레이트 및 중금속 중복 검출)되어 제품수로는 5개임.

  또한, 리콜제품 정보를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 공개하고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 바코드를 등록하여 전국 대형유통매장에서 해당 제품의 판매를 즉시 차단하였다.

   * 리콜명령 받은 제품은 ①「제품안전정보센터접속→왼쪽 위리콜클릭→③「리콜정보검색」에서 확인

  금번 리콜명령 받은 기업들은 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 등에 따라 유통매장에서 해당 제품을 즉시 수거하고, 이미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에게 수리나 교환 등을 해주어야 한다.

  이번 공동조사는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이 위해공산품의 신속한 시장 퇴출을 위하여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실시되었으며, 앞으로도 양 기관은 협업을 강화하여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부 3.0을 구현해 나가기로 하였다.

 

[한국소비자원 2016-01-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3 해외입국자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검역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6 10
2062 오메가-3 건강기능식품, 제품별로 지방산 함량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6 14
2061 고향가는 길,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2060 [금융꿀팁 200선] 금리상승기에 대출연장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6
2059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의원, 약국 여기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1
2058 안전하고 건강하게 추석연휴 보내는 방법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2057 소비자 건강 관심 반영해 내년부터 주류 열량 표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3
2056 추석 명절에도 아이돌봄 등 민생서비스 정상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9
2055 추석 연휴엔 「공유누리」에서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정보' 이용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7
2054 추석맞아 국립공원 야생화 꽃길 21곳 추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0
2053 국민권익위 국민콜110, 추석 연휴에도 24시간 정상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8 14
2052 국민권익위, 가을철 등산객 ‘등산 사고’ 관련 민원 예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8 22
2051 「공중위생관리법」시행령 및 시행규칙일부 개정령안 입법예고(9.8.~10.18.)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8 17
2050 장거리 운전 시 콧물.비염약 먹지 말아야... 졸음 유발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8 17
2049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준수하여 건강한 추석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8 15
Board Pagination Prev 1 ...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