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동기간 전년 대비 2.6배 증가,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18명으로 최근 3년 중 최다 -


undefined

◇ 올해 온열질환자 1,212(추정사망자 18신고, 2011년 이후 7월 발생 역대 2

◇ 2021년 신고된 온열질환자의 위험요인

    ① 낮 시간대(1417② ·길가 등 실외 및 냉방 안 된 실내 ③ 5060대 남성

◇ 폭염 대비 3대 수칙(그늘휴식준수

   ① 자주 물 마시기 ② 시원하게 지내기 ③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연일 33도 안팎의 폭염이 지속되어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자가 증가됨에 따라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


 ○ 올해「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5.20~8.7) 온열질환자는 총 1,212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6배(753명) 증가하였고, 이 중 추정 사망자는 총 18명으로 ’11년 감시체계 운영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


   -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의 연령대는 5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논밭(5명), 길가(4명), 집(4명), 실외작업장(2명) 산(1명), 공원(1명), 차안(1명) 순으로 발생하였다.


 ○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지역적으로 비가 올 수 있으나, 폭염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당분간 온열질환 발생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온열질환 취약계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undefined

 

< 2021년 온열질환자 발생 위험요인 

 

 

 

※ (주의본 자료는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응급실에서 환자 진료 시 파악한 정보를 기초로 하며차후 부검이나 경찰 조사 등을 통해 확인되는 내용과 다를 수 있음

① 발생 시간 더운 낮 시간대 14~17(33.5%) > 10~14(33.1%)

 

② 발생 장소 (79.6%) > 화기를 사용하거나 냉방이 적절치 않은 실내(20.4%)

* [실외건설현장제조설비현장 등 실외작업장(40.3%) > 길가(10.6%) > (10.3%) > 공원운동장(4.0%)

* [실내(8.3%) > 식당제조설비물류 등 실내작업장(6.8%) > 기타(2.5%) 

 

③ 환자 특성 남자(75.6%), 50~60(41.0%), 단순노무종사자(24.2%)


□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고혈압‧저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의 3분의 2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다.


 ○ 음주는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음(과용)을 피한다.


□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무더위 속에서 실외에서 일하시는 분, 어르신,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취약하므로 예방을 위해 폭염 시 낮 시간대 작업과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물‧그늘‧휴식 3대 수칙을 준수하여 주실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undefined

 

< 폭염대비 건강수칙 3가지 

 

 

 

① 물 자주 마시기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이온음료 마시기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② 시원하게 지내기

물로 가볍게 샤워하기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 입기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모자)

 

③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가장 더운 시간대(낮 12~17)에는 휴식 취하기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 보건복지부 2021-08-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79 유해물질 검출된 HoldPeak 디지털 전압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0.05.21
2578 초미세먼지 전국적 ‘나쁨’, 기저질환자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2.10
2577 일부 프로야구장 응원용 막대풍선, 어린이에게 유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0.18
2576 즐거운 여름휴가 안전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07.11
2575 Wowmax 봉제인형,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05.16
2574 「해외안전지킴센터」, 24시간·365일 가동 해외체류 국민 안전 책임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8.05.31
2573 2018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8.05.30
2572 Stagg 통조림(Classic Chili Con Carne),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7.12.06
2571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2.02.09
2570 TBHQ 성분 함유된 몬델리즈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1.09.13
2569 벤젠 검출된 NEUTROGENA 자외선 차단 바디 미스트(Ultra sheer SPF70)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1.09.10
2568 본격적인 휴가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7.24
2567 전자담배 배터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2.27
2566 “해외여행 전에 여행경보를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04
2565 MUJI 디저트, 곰팡이 발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02.07
2564 해외 유입 홍역환자 증가에 따른 지속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01.21
2563 Evanhealy 화장품,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6.21
2562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2.28
2561 생리대.팬티라이너 74종 VOCs 인체 위해 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7.12.28
2560 가전제품 판매 올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3.03.27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