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동기간 전년 대비 2.6배 증가,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18명으로 최근 3년 중 최다 -


undefined

◇ 올해 온열질환자 1,212(추정사망자 18신고, 2011년 이후 7월 발생 역대 2

◇ 2021년 신고된 온열질환자의 위험요인

    ① 낮 시간대(1417② ·길가 등 실외 및 냉방 안 된 실내 ③ 5060대 남성

◇ 폭염 대비 3대 수칙(그늘휴식준수

   ① 자주 물 마시기 ② 시원하게 지내기 ③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연일 33도 안팎의 폭염이 지속되어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자가 증가됨에 따라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


 ○ 올해「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5.20~8.7) 온열질환자는 총 1,212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6배(753명) 증가하였고, 이 중 추정 사망자는 총 18명으로 ’11년 감시체계 운영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


   -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의 연령대는 5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논밭(5명), 길가(4명), 집(4명), 실외작업장(2명) 산(1명), 공원(1명), 차안(1명) 순으로 발생하였다.


 ○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지역적으로 비가 올 수 있으나, 폭염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당분간 온열질환 발생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온열질환 취약계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undefined

 

< 2021년 온열질환자 발생 위험요인 

 

 

 

※ (주의본 자료는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통해 수집된 것으로응급실에서 환자 진료 시 파악한 정보를 기초로 하며차후 부검이나 경찰 조사 등을 통해 확인되는 내용과 다를 수 있음

① 발생 시간 더운 낮 시간대 14~17(33.5%) > 10~14(33.1%)

 

② 발생 장소 (79.6%) > 화기를 사용하거나 냉방이 적절치 않은 실내(20.4%)

* [실외건설현장제조설비현장 등 실외작업장(40.3%) > 길가(10.6%) > (10.3%) > 공원운동장(4.0%)

* [실내(8.3%) > 식당제조설비물류 등 실내작업장(6.8%) > 기타(2.5%) 

 

③ 환자 특성 남자(75.6%), 50~60(41.0%), 단순노무종사자(24.2%)


□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고혈압‧저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의 3분의 2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다.


 ○ 음주는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음(과용)을 피한다.


□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무더위 속에서 실외에서 일하시는 분, 어르신,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취약하므로 예방을 위해 폭염 시 낮 시간대 작업과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물‧그늘‧휴식 3대 수칙을 준수하여 주실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undefined

 

< 폭염대비 건강수칙 3가지 

 

 

 

① 물 자주 마시기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이온음료 마시기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② 시원하게 지내기

물로 가볍게 샤워하기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 입기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모자)

 

③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가장 더운 시간대(낮 12~17)에는 휴식 취하기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 보건복지부 2021-08-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40 유해물질 기준 초과 검출된 Intenz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04.13
2339 겨울의 초입 11월, 화재 산불 대설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11.02
2338 완연한 봄, 4월에는 산불과 등산사고‧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3.25
2337 신학기용품, 유 아용품 의류 등 53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4.09
233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2335 아미그달린 과다 함유된 Our father’s farm 건살구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2334 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주의사항 표시 미흡한 MY.San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25
2333 제품 포장지에서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Musfunny 악기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10.08
2332 올 겨울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331 안전한 사회, 교통 안전수칙 지키기부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330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의 보관온도를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3.15
2329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4.11
2328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7.16
2327 미키하우스 유아용 샌들,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9.06
2326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5.21
2325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Bob Smith Industries 순간 접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7.01
2324 곰팡이 오염 위험 있는 Beautycounter 마스카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11.23
2323 유리 주전자,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3.29
2322 주의사항 표시되지 않은 Starplay 하마모양 이동형 풀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4.12
2321 다른 제품 혼입돼 아몬드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Hershey’s 초콜릿 시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6.24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