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불법 의료광고 근절에 힘을 모은다.

- 보건복지부ㆍ서울특별시ㆍ서울지방경찰청ㆍ서울시 강남구보건소ㆍ의료단체(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ㆍ소비자시민모임, 공동 노력 -

 

□ 불법 의료광고 근절을 위해 민ㆍ관이 힘을 모은다.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 서울특별시, 서울지방경찰청, 서울특별시 강남구 보건소,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사)소비자시민모임이 건전한 의료광고 문화 조성·확산 등을 위하여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 각 협력기관은 올바른 의료광고 문화 조성을 위한 적극적인 실천을 다짐하는 협약식을 체결하고, 1월말부터 본격적인 의료광고 사후 모니터링 협력에 나선다.


(일시ㆍ장소) 2016. 1. 25.(월) 14시 /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

(참여기관) 보건복지부, 서울특별시, 서울지방경찰청, 대한의사협회,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사)소비자시민모임


 ○ 이번 협력 이후에는 3개 의료단체(의협, 치협, 한의협) 등과 함께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여 의료계 내부의 자정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그간 3개 의료단체는 의료광고 사전심의업무 이외에 사후 모니터링사업을 자체적으로 운영해 왔다.

□ 최근 헌법재판소의 의료광고 사전심의 관련 의료법 규정에 대한 위헌 결정 이후 불법 의료광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으로 인터넷 매체 등에서 의료광고를 할 때 사전심의 없이도 광고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거짓ㆍ과장광고를 사전에 거를 수 있는 법적 장치가 없어졌다.

 ○ 이로 인해 의료법상 금지된 의료광고가 증가하여 국민의 의료선택과 국민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이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주요내용

(위헌 조항) 사전심의를 받지 않은 의료광고를 금지하고(의료법 제56조제2항제9호), 위반자에 대한 형사벌*(법 제89조 관련부분)

     * 1년 이하 징역, 500만원 이하 벌금

(이유 요지) 실질적으로 행정기관에 의한 사전검열에 해당,헌법상 표현의 자유 침해

  - 법상 사전심의 주체가 복지부장관, 각 의료인단체*에 위탁하도록 규정, 장관이 위탁사무에 대한 지휘ㆍ감독권 보유

     *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 법상 장관이 의료인단체에 재정지원 가능, 심의기준ㆍ절차를대통령령으로 위임하는 등 행정권의 개입이 가능

(의미) 현행 의료법상 원칙 허용, 예외적 금지로 규정된 의료광고 자체에 대한 위헌 결정은 아님


□ 지난 1개월간 보건복지부와 서울특별시, 서울지방경찰청, 서울특별시 강남구 보건소,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사)소비자시민모임은 국민들에게 올바른 의료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하였다.

 ○ 단기적으로 1월말부터 의료광고 사후 모니터링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 의료광고가 많이 이루어지는 인터넷 매체, SNS, 지하철 등 교통수단의 의료광고를 모니터링하여,

   - 거짓ㆍ과장 광고, 심각한 부작용 미 표기 광고 등 의료법상 금지된 광고를 적발한다.

 ○ 이후 위반의 경중ㆍ고의성 등에 따라 계도(시정조치) 및 의료법ㆍ관계법령에서 정한 제재처분을 할 계획이다.

□ 현재 각 의료단체는 의료기관의 자율 신청을 받아 의료광고가 의료법상 금지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미리 확인해 주고 있다.

 ○ 의료기관은 자율적으로 사전심의를 받음으로서 의료광고의 법 위반소지를 미리 걸러낼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검증된 의료광고를 보는 효과가 있다.

□ 한편, 보건복지부는 (사)한국인터넷기업협회(회장 김상헌)와 인터넷 매체에서 이루어지는 불법 의료광고 근절을 위해 협력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또한, 보건복지부는 광고ㆍ법률 전문가, 의료단체, 소비자단체, 환자단체 등과 ‘의료광고 제도개선 전문가 TF’를 구성하여 의료광고 제도 개선에 나선다.
     * 1.28일 제1차 회의 개최 예정

 ○ 헌재 위헌 결정 취지를 반영하고 국민들에게 올바른 의료광고가 제공될 수 있는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끝/
 

[보건복지부 2016-0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83 입국 검역조사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37
6682 소비자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37
6681 엠폭스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37
6680 2023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37
6679 환경 관련 표시·광고에 관한 심사지침 및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37
6678 현대·기아·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37
6677 봄철 수두 및 유행성이하선염 증가, 학교생활 시 감염병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4 37
6676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7 37
6675 K-POP 팬의 52.7%는 굿즈 수집을 위해 음반 구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7 37
6674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37
6673 「안심상속」사망자 재산조회 서비스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7
6672 구직자라면 꼭 알아야 할 최신 채용 경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37
6671 전자레인지, 표시용량과 실제 사용 가능 용량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7 37
6670 일회용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연구 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4 37
6669 냉장고, 저장온도성능·에너지소비량·보습률 등 품질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8 37
Board Pagination Prev 1 ...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