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유아 감염성 설사 주의 당부
- 겨울철 로타바이러스 집단 감염 예방 철저 -

□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로타바이러스 집단 발생이 영유아 단체 시설에서 보고되어 로타바이러스 집단 발생이 우려되는바, 손씻기 등 개인 위생을 준수하는 등 로타바이러스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로타바이러스*는 분변-구강 경로가 주된 전파경로로 접촉감염 및 호흡기 감염도 가능하며 주로 발열과 구토에 이어 설사를 동반하는 것이 특징으로,
    - 특히, 영유아에게서 설사를 동반한 위장관염 증상 발생시 병의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입원 소아 환자 중 로타바이러스 감염 2.5%, 5세까지 95% 소아가 한번 이상 감염
              ** 겨울철과 초봄에 주로 발생하는 계절적 양상을 보임

 □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영유아가 입원하고 있는 병원 및 산후 조리원 등 단체시설에서 로타바이러스 집단감염이 주로 발생하므로 철저한 감염 예방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 산후조리원 등 단체시설에서는 기저귀 처리 및 주변 환경 소독이 중요하고 철저한 손씻기로 로타바이러스 예방이 가능하다.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및 어린이집 등의 바이러스 장염*에 대한 예방 수칙>
  * 바이러스 장염 :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으로 주로 설사 증상 발현

1. 공통

① 신생아 혹은 어린이를 돌보는 사람들의 손 위생에 대한 교육 강화
  * 손씻기 : 화장실 출입후, 조리전이나 음식을 다루기 전, 식사전․후 등
② 음식을 관리하기 위한 위생시설 구비
③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종사자 등 근무 중단
④ 환경관리 : 토사물 및 배변이 오염된 곳은 바이러스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염소계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
⑤ 의심 증상 발생시 관할 보건소 신고

2. 신생아실 및 산후조리원

① 보건의료인을 포함한 종사자에 대한 기저귀 관리에 대한 위생 준수
  ⅰ) 배변 처리 후, 모유 수유 전․후, 기저귀나 토사물로 더렵혀진 침구류 등을      갈고 난 이후 반드시 손씻기 수행
  ⅱ) 음식을 조리하거나 식사 테이블에서는 기저귀 갈지 않기 등  
② 방문 제한 및 면회인에 대한 손씻기 후 면회 허용
③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일단 격리를 하여 원인이 감염성 질환이 아닌지, 탈수가 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의료진 진료
  ⅰ) 고열과 처짐, 보챔, 지속적인 울음, 2시간 이상 지속되는 수양성 설사 등의 증상발현
  ⅱ) 24시간 이내에 2회 이상 구토 발생시

3.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① 원생과 교사 등 화장실 사용 후(대소변 후) 외출후 귀가후는 반드시 손씻기 실시
② 토사물이 묻은 표면이나(장난감 포함) 의류는 더운물과 세제로 철저히 닦고   세탁 후 건조
③ 어린이집 등 환아 발생시 환아가 접촉한 장난감, 침구류, 벽 등 70%에탄올 혹은   기타 소독제로 소독
④ 설사 증상이 있었던 어린이들은 증상 소멸 후 24시간 이후 어린이집 등 등원 권고
  * 완전히 회복 후 적어도 2주일 이후에 수영 혹은 물놀이 등 할 수 있도록 권고

< 붙임 > 1. 로타바이러스 개요
          2. 로타바이러스 Q & A
         3. 로타바이러스 주별 발생 현황

 

[보건복지부 2016-01-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95 모든 의학적 비급여(미용·성형 등 제외), 건강보험이 보장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44
4494 감염병 전문콜센터 1339 “칭찬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50
4493 행정안전부, 8월 가뭄 예·경보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36
4492 혼다, 재규어, BMW 리콜 실시(총 4개 차종 8,902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54
4491 인천대교 통행료 700원 인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38
4490 하늘과 초원이 맞닿은 목장, 양떼와 함께 걸어볼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38
4489 17년 상반기중 금감원「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운영실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34
4488 2017년도 2/4분기 다단계 판매업자의 휴 폐업 등 주요정보 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38
4487 당신의 간(肝)은 안녕하십니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36
4486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전년 상반기 대비 46.4%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55
4485 시세 30% 수준 ‘청년매입임대주택’ 1,500호 연내 공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48
4484 화장실·발코니에서의 흡연에 따른 ‘담배연기 갈등’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72
4483 열차 내 음주소동 처벌 강화… 철도안전법 개정안 공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50
4482 개인운영 공동생활가정에도 공공임대주택 입주자격 부여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40
4481 공공앱, 양적 확대에서 고품질로 서비스질 확 높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8 39
Board Pagination Prev 1 ...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