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폭염 시 낮 시간대 공사장논밭 등 실외 작업 자제, 기저질환자는 특히 주의

폭염 시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3대 수칙(그늘휴식) 준수

어린이노약자는 자동차나 집 안에 혼자 두지 말고, 만성질환자는 증상 악화 주의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7.20.(화) 이후 전국 내륙에 폭염이 예고됨에 따라 온열질환*에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


 ○ 질병관리청은 올해(5월 20일~7월 17일)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총 436명이며, 이 중 열사병 추정 사망이 6명(강원 3명, 경북‧경기‧서울 각 1명) 신고되었다고 밝혔다.


 ○ 특히, 폭염 재난 위기경보가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된 7월 12(월) 이후 일주일 동안 열사병 추정 사망자가 3명 신고되었고, 일평균 환자 신고도 “3.5명”에서 “36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상청(7월 16일자 중기예보)에 따르면 7.19(월) 전국에 비가 내린 뒤 전국 내륙을 중심으로 당분간 매우 무더운 날씨가 지속될 전망으로 온열질환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2021년 온열질환 추정 사망 주요 신고 사례 >

 

 

(80, 여성) 714(해당지역 폭염주의보) 혼자 밭일 하던 중에 쓰러진 상태로 14시경 이웃주민이 발견하여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

 

(60, 남성) 716(해당지역 폭염주의보) 실외작업장에서 일하던 중 16시경 의식저하를 보여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

 

(50, 여성) 717(해당지역 폭염경보) 바닥에 쓰러진 것을 11시경 행인이 발견하여 119에 신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


 

2021년 온열질환자 위험요인

 

 

 

발생 시간 더운 낮 시간대 14~17(37.2%) > 10~14(33.5%)

 

발생 장소 (85.8%) > 화기를 사용하거나 냉방이 적절치 않은 실내(14.2%)

* [실외] 건설현장, 제조설비현장 등 실외작업장(44.3%) > (13.1%) > 길가(10.8%) > 공원운동장(6.0%)

* [실내] 식당, 제조설비물류 등 실내작업장(4.6%) > (3.9%) > 기타(3.0%)

 

환자 특성 남자(78.0%), 40~50(44.0%), 기저질환자(39.2%)


 

폭염대비 건강수칙 3가지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 이온음료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시원하게 지내기

- 물로 가볍게 샤워하기

-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 모자)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 가장 더운 시간대(12~17)에는 휴식 취하기

*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3대 건강수칙(물‧그늘‧휴식)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폭염 시 이를 잘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일반 건강수칙 >


 ○ 폭염 시에는 기온이 높은 낮 시간대 작업을 줄이고 외출을 자제하며,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고,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활동을 멈추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경우 >


 ○ 어린이나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 안 등 창문이 닫힌 실내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이들을 남겨두고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고혈압‧저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의 2/3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다.


 ○ 술은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음(과용)을 피한다.


< 온열질환자 발생 시 대처 요령 >


 ○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온열질환 상세 수칙을 통해 올여름 코로나19와 폭염으로 인한 건강보호를 각별히 당부하였다.


< 고온 환경에서 작업 시에는 >


 ○ 공사장, 논·밭, 비닐하우스 등 고온의 환경에서 일하는 경우 △작업 전에 충분한 물을 챙기고, △가급적 2인 1조로 움직이며, △몸에 이상을 느끼면 즉시 그늘이 있는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 실내에서는 >


 ○ 폭염 시 △선풍기, 에어컨 등 냉방기구를 사용하고, △평소보다 물을 수시로 마셔 갈증을 피하고, △수건에 물을 적셔 몸을 자주 닦거나 가볍게 샤워를 하면 도움이 된다. 또한 △한낮에는 가스레인지나 오븐 사용도 되도록 피하도록 한다.


 ○ 에어컨 등 냉방 기구는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나, 실내공기가 재순환되고 바람으로 인해 침방울이 확산될 수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 에어컨을 사용할 때에는 실내에 침방울 입자가 농축·확산되지 않도록 창문이나 환풍기를 통해 최소 2시간마다 10분 이상 환기한다.


   - 에어컨 바람의 방향은 사람 몸에 직접 닿지 않게(천장 또는 벽으로) 조정하고, 바람세기를 약하게 설정한다. 


< 실외에서는 >


 ○ 마스크 착용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중요하나, 무더운 실외에서의 마스크 착용은 심박 수, 호흡수, 체온 상승 등 신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


   - 실외에서 사람 간 2m이상 충분한 거리두기가 가능한 경우 마스크는 착용하지 않을 수 있다.


   - 반면, 2m이상 사람 간 거리두기가 가능하지 않아 실외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사람 간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를 택하여 마스크를 벗고 휴식하는 것이 좋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이 진행 중이며, 전국적인 폭염이 예고된 만큼 코로나19와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긴장을 놓지 않고 건강수칙을 잘 실천해주실 것을 거듭 당부드린다”고 언급하면서,


 ○ “특히, 무더위 속에서 일하시는 분들과, 65세 이상 어르신과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과 코로나19에 모두 취약하므로 폭염 시 낮 시간대 작업과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물‧그늘‧휴식 3대 수칙을 준수하여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의 협력 응급실(‘21년 496개)을 통해 온열질환자의 응급실 진료 현황을 신고받고 있으며, 해당 신고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 정책정보 → 기후변화 → 폭염 → 감시체계신고현황/감시체계 상세신고결과



[ 질병관리청 2021-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20 알레르기 성분(땅콩) 미표기된 Natural Way 아몬드 버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6.24
2219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기된 BUBS Naturals MCT 오일 파우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6.24
2218 다른 제품 혼입돼 아몬드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Hershey’s 초콜릿 시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6.24
2217 리튬 이온 배터리 불량으로 발열 및 발연 우려 있는 파이오니아 블랙박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1.06.24
2216 사용 중 손잡이가 파손될 수 있는 Morfboard 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6.24
2215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multivite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1.06.24
2214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L’il Critters 유아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6.24
2213 "다양한 변비약! 전문가와 상의해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21.06.28
2212 무등록 제조 제품을 소분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1.06.29
2211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1.06.29
2210 캠핌용품 쇼핑몰 캠핑SM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6.30
2209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7.01
2208 식품 사용 안 되는 복어알을 첨가한 식품 제조.판매, 복어환.추출액에 항암효과 허위 광고 등 4개 업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07.01
2207 생활화학제품 구매 및 사용 요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7.02
2206 염모제 폭발 사고에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07.02
2205 정부지원 대출 빙자 불법광고 문자 주의!통신금융사기 피해예방 추진-이동통신3사 전가입자 대상 피해예방 문자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05
2204 삼계탕 조리 시 '캠필로박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7.05
2203 7월, 질식사고 발생 가능성 최고조로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08
2202 단백질바(프로틴바), 허위.과대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7.08
2201 식약처, 바레니클린 금연치료보조제 사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7.09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