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물놀이 전 준비운동과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 반드시 지켜야

▷ 2016~2020년간 여름철 국립공원 전체 익사사고 5건 중 3건은 해안가 해루질이 원인인 사망사고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립공원 주요 해변과 계곡에서 물놀이를 할 때 안전 및 방역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특히 해안가 해루질*이 가장 위험하다고 밝혔다.

* 충청도 지역의 방언으로 물이 빠진 갯벌이나 해변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로 경상도에서는 '홰바리'라고도 일컬음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5년(2016년~2020년) 간 여름철(7월~8월) 휴가 기간 내에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익사 사고 5건을 분석한 결과, 해안가 해루질로 인한 익사가 3건(60%)으로 가장 많았고, 출입금지 계곡 지역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발생한 익사가 2건(40%)으로 뒤를 이었다.


해안가 해루질은 밤이나 안개가 자주 끼는 새벽에 주로 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특히 바닷물이 들이치는 만조일 때 갯고랑에 빠져 익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계곡 내 물놀이 사망사고는 출입이 금지된 지역에서 음주 후 수영을 하다 익사하거나 차가운 계곡물에 의해 심장마비가 발생한 사례다.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서는 금주는 물론 사전 준비운동과 기본적인 안전 및 방역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국립공원 내 계곡은 수온이 낮고 깊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일부 구간의 경우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놀이는 계곡 가장자리 수심이 얕은 곳에서 해야 한다.


해변(해수욕장)의 경우 조수웅덩이, 이안류, 갯고랑 등 위험요소와 밀물 썰물 시간에 대한 정보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산악지형 상 갑작스러운 폭우나 소나기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상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호우주의보 등의 기상특보가 발효되면 물놀이를 즉시 중단하고 통제에 적극 따라야 한다.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많은 탐방객이 몰리는 곳은 가급적 방문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 및 이용자 간 거리두기(2m 이상) 등 개인 방역수칙도 준수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은 7월 15일부터 8월 29일까지 국립공원 환경을 훼손하는 불법·무질서 행위에 대해 집중 순찰 등을 통해 엄격하게 단속할 계획이다.


주요 단속 대상은 국립공원 내 지정된 장소 외 지역에서 취사·야영, 주차, 계곡 내 물놀이·목욕·세탁 등으로, 위반 시 '자연공원법'에 따라 최대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공단 누리집(www.knps.or.kr)을 통해 불법행위 신고도 받고 있다. 신고대상은 '자연공원법'을 위반하는 모든 행위이며, 단체와 개인 모두 신고 대상에 포함된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에서 안전하고 즐거운 휴가를 보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해야 된다"라며, "음주 후 물놀이를 하지 말고 구명조끼와 같은 안전장비를 착용하는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1-07-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50 TOYO 방진마스크(No.1725), 안전기준 미달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7.10.31
2849 폭발·화재 및 화상 위험 있는 플라즈마 절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3.03.10
2848 오염물질 피롤리지딘알칼로이드 함유해 리콜된 LA GRANDE EPICERIE DE PARI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3.02.10
2847 알레르기 유발 성분[계란흰자] 미표기된 맨담 데오드란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2.03.14
2846 옐로우 스토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2.01.10
2845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시된 MB Nutrition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1.12.27
2844 청소년 여름철 당류 과다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1.07.14
2843 화재 위험과 가스 중독 위험 있는 Hewei 스팀 다리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11.23
2842 어린이 안전용기 미사용으로 중독사고 위험 있는 Plant Therapy 에센셜오일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08.24
2841 등교 수업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06.03
2840 외교부, 全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03.24
2839 알쏭달쏭 야생버섯 따지도 먹지도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9.19
2838 신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8.22
2837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9.02.27
2836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시, 즉시 119에 도움 요청, 신속한 응급실 이송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8.12.26
2835 3월 초등학교와 중학교 입학 예정 어린이, 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8.01.31
2834 단풍철 산에 갈 때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10.19
2833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한가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09.27
2832 앤카몰 / LED&CAR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3.03.22
2831 가연성 기준 위반 우려가 있는 Helly Hansen 남성용 상의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3.03.16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