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물놀이 전 준비운동과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 반드시 지켜야

▷ 2016~2020년간 여름철 국립공원 전체 익사사고 5건 중 3건은 해안가 해루질이 원인인 사망사고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립공원 주요 해변과 계곡에서 물놀이를 할 때 안전 및 방역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특히 해안가 해루질*이 가장 위험하다고 밝혔다.

* 충청도 지역의 방언으로 물이 빠진 갯벌이나 해변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로 경상도에서는 '홰바리'라고도 일컬음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5년(2016년~2020년) 간 여름철(7월~8월) 휴가 기간 내에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익사 사고 5건을 분석한 결과, 해안가 해루질로 인한 익사가 3건(60%)으로 가장 많았고, 출입금지 계곡 지역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발생한 익사가 2건(40%)으로 뒤를 이었다.


해안가 해루질은 밤이나 안개가 자주 끼는 새벽에 주로 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특히 바닷물이 들이치는 만조일 때 갯고랑에 빠져 익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계곡 내 물놀이 사망사고는 출입이 금지된 지역에서 음주 후 수영을 하다 익사하거나 차가운 계곡물에 의해 심장마비가 발생한 사례다.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서는 금주는 물론 사전 준비운동과 기본적인 안전 및 방역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국립공원 내 계곡은 수온이 낮고 깊이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일부 구간의 경우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놀이는 계곡 가장자리 수심이 얕은 곳에서 해야 한다.


해변(해수욕장)의 경우 조수웅덩이, 이안류, 갯고랑 등 위험요소와 밀물 썰물 시간에 대한 정보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산악지형 상 갑작스러운 폭우나 소나기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상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호우주의보 등의 기상특보가 발효되면 물놀이를 즉시 중단하고 통제에 적극 따라야 한다.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많은 탐방객이 몰리는 곳은 가급적 방문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 및 이용자 간 거리두기(2m 이상) 등 개인 방역수칙도 준수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은 7월 15일부터 8월 29일까지 국립공원 환경을 훼손하는 불법·무질서 행위에 대해 집중 순찰 등을 통해 엄격하게 단속할 계획이다.


주요 단속 대상은 국립공원 내 지정된 장소 외 지역에서 취사·야영, 주차, 계곡 내 물놀이·목욕·세탁 등으로, 위반 시 '자연공원법'에 따라 최대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공단 누리집(www.knps.or.kr)을 통해 불법행위 신고도 받고 있다. 신고대상은 '자연공원법'을 위반하는 모든 행위이며, 단체와 개인 모두 신고 대상에 포함된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에서 안전하고 즐거운 휴가를 보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를 해야 된다"라며, "음주 후 물놀이를 하지 말고 구명조끼와 같은 안전장비를 착용하는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1-07-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53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라이너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1.14
2252 성분 오표기된 CAC 블러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2251 성분 규격 위반의 우려가 있는 Victory Water 생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5.20
2250 성기능표방 해외직구 제품에서 비아그라 성분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0.11.12
2249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01.31
2248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16
2247 설명자료(한국일보 『미국산 계란 유통기한 30일? 45일? 60일?』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2 2017.01.24
2246 설명자료 (연합뉴스『인기 다이어트 제품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간손상 위험』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25 2016.09.07
2245 설레는 봄 축제! 안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4.03
2244 설레는 봄 산행,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4.04
2243 설계 사양과 다른 회로 혼입된 YAZAWA LED 스탠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7.28
2242 설 연휴, 아프거나 다쳐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2.13
2241 설 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9.04.01
2240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0.01.14
2239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2.13
2238 설 연휴 국내외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19.01.29
2237 설 선물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1.31
2236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1.26
2235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3.01.17
2234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0.01.23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