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15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승인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승인건수는 99건으로 ‘14년(63건) 보다 57.1%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임상시험 승인 건수 : ‘11년(43건) → ‘12년(76건) → ‘13년(77건) → ‘14년(63건) → ‘15년(99건)
○ 이는 국내에서 의료기기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제품화를 위해 필요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는 임상시험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의료기기 임상시험은 확증 임상시험, 탐색 임상시험, 연구자 임상시험으로 구분되고, 허가에 필요한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를 입증하는 시험은 확증 임상시험이다.
- 또한 탐색 임상시험은 확증 임상시험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며, 연구자 임상시험은 의뢰자 없이 연구 목적으로 진행되는 시험이다.

□ 지난해 승인된 의료기기 임상시험은 ▲국산 의료기기 초기 개발단계 임상시험 증가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류 및 인체조직 또는 기능대치품 증가 ▲임상시험의 수도권 집중 지속 등이다.

〈 국산 의료기기 초기 개발단계 임상시험 증가 〉
○ 지난해 승인된 의료기기 임상시험 승인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개발 제품 임상시험은 80건, 수입 제품은 19건이다.
- 국내개발 제품은 확증 임상시험 49건, 탐색 임상시험 12건으로 확증 및 탐색 임상시험은 각 각 63%, 140% 증가하였으며, 연구자임상 19건으로 연구자임상은 ‘14년도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 이는 국내에서 허가받기 위한 확증 임상시험이 활발해지고, 확증 임상시험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탐색 임상시험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수입제품 임상시험은 체외진단의료기기의 수입 증가로 확증 임상시험이 ‘14년 2건에서 12건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연구자 임상시험 6건, 탐색 임상시험 1건 순이다.

〈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및 ‘인체조직 또는 기능대치품’ 집중〉
○ 의료기기 유형별로는 레이저 진료기 등 ‘기구·기계류’ 43건, 혈액 진단용 시약 등 ‘체외진단용의료기기류’ 39건, 봉합사 및 결찰사 등 ‘의료용품류’ 16건, 치주조직재생유도재 등 ‘치과재료류’ 1건 순이다.
- 이 중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류’는 `14년(8건)에 비해 급증하였는데,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허가 시에는 민족적 차이를 고려한 임상시험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안전관리가 강화된 것에 따른 것이다.
○ 품목별로는 ‘분자유전 검사용 시약‘ 및 ’면역·화학 검사용 시약‘이 ‘14년 각 각 4건에서 18건으로 급증하였으며, 인체조직 및 기능 대치품, 정형용품 등도 ‘14년 대비 늘었다.
- 특히 ‘인체조직 또는 기능 대치품’으로는 주름개선용 필러, 인공유방, 합성뼈이식재료 등이 있으며, 최근 미용성형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의료기기 등급별로는 4등급 23건, 3등급 53건, 2등급 23건이었으며, 그 중 4등급은 `14년(12건) 보다 91%, 3등급도 `14년(28건) 대비 89% 늘었다.

〈 임상시험의 수도권 집중 지속〉
○ 지역별 임상시험 승인현황을 살펴보면 서울(63건)과 경기·인천지역(16건)에 위치한 임상시험 기관이 전체 임상의 80%를 차지하였으며, 충청 5건, 경상, 광주 각 4건 순으로 여전히 임상시험의 수도권 편중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임상시험기관별 임상시험 승인건수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12건), 서울대학교병원(10건), 고려대학교병원(8건), 서울아산병원(7건), 중앙대학교병원(6건) 등의 순서였고, 이들 5개 병원의 점유율은 전체의 43%나 되었다.

□ 식약처는 국내 업체 등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임상시험을 통해 의료기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임상시험의 품질과 임상참여자의 안전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1-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30 “이제 마트에서 곤충식품을 만나보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93
11029 의료기관·학교·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결핵·잠복결핵 검진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102
11028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된 두부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82
11027 치매보험 중 경증치매 보장 상품은 4.9%에 불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100
11026 단체상해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93
11025 원격의료 확대로 의료사각지대 해소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89
11024 8.6일부터 의료기관 외부 장소에서도 전자의무기록 관리,보존이 가능해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96
11023 산업부·한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13
11022 해외식품제조업소 등록 의무 본격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14
11021 식약처, 치주 질환에 사용하는 의약품의 효능.효과 변경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08
11020 수도권 3개 자치단체장, 노후경유차 운행제한 합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27
11019 틀니세정제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80
11018 주택, 토지를 실제 소유하고 있다면 등기 안 되어 있어도 이주대책대상자로 인정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81
11017 틀니세정제, 음식 얼룩 제거 및 단백질 분해 성능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79
11016 음주 영향 알코올 간질환자, 50대 이상 64.4% 차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8 142
Board Pagination Prev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