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15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승인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승인건수는 99건으로 ‘14년(63건) 보다 57.1%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임상시험 승인 건수 : ‘11년(43건) → ‘12년(76건) → ‘13년(77건) → ‘14년(63건) → ‘15년(99건)
○ 이는 국내에서 의료기기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제품화를 위해 필요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는 임상시험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의료기기 임상시험은 확증 임상시험, 탐색 임상시험, 연구자 임상시험으로 구분되고, 허가에 필요한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를 입증하는 시험은 확증 임상시험이다.
- 또한 탐색 임상시험은 확증 임상시험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며, 연구자 임상시험은 의뢰자 없이 연구 목적으로 진행되는 시험이다.

□ 지난해 승인된 의료기기 임상시험은 ▲국산 의료기기 초기 개발단계 임상시험 증가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류 및 인체조직 또는 기능대치품 증가 ▲임상시험의 수도권 집중 지속 등이다.

〈 국산 의료기기 초기 개발단계 임상시험 증가 〉
○ 지난해 승인된 의료기기 임상시험 승인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개발 제품 임상시험은 80건, 수입 제품은 19건이다.
- 국내개발 제품은 확증 임상시험 49건, 탐색 임상시험 12건으로 확증 및 탐색 임상시험은 각 각 63%, 140% 증가하였으며, 연구자임상 19건으로 연구자임상은 ‘14년도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 이는 국내에서 허가받기 위한 확증 임상시험이 활발해지고, 확증 임상시험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탐색 임상시험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수입제품 임상시험은 체외진단의료기기의 수입 증가로 확증 임상시험이 ‘14년 2건에서 12건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연구자 임상시험 6건, 탐색 임상시험 1건 순이다.

〈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및 ‘인체조직 또는 기능대치품’ 집중〉
○ 의료기기 유형별로는 레이저 진료기 등 ‘기구·기계류’ 43건, 혈액 진단용 시약 등 ‘체외진단용의료기기류’ 39건, 봉합사 및 결찰사 등 ‘의료용품류’ 16건, 치주조직재생유도재 등 ‘치과재료류’ 1건 순이다.
- 이 중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류’는 `14년(8건)에 비해 급증하였는데,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허가 시에는 민족적 차이를 고려한 임상시험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안전관리가 강화된 것에 따른 것이다.
○ 품목별로는 ‘분자유전 검사용 시약‘ 및 ’면역·화학 검사용 시약‘이 ‘14년 각 각 4건에서 18건으로 급증하였으며, 인체조직 및 기능 대치품, 정형용품 등도 ‘14년 대비 늘었다.
- 특히 ‘인체조직 또는 기능 대치품’으로는 주름개선용 필러, 인공유방, 합성뼈이식재료 등이 있으며, 최근 미용성형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의료기기 등급별로는 4등급 23건, 3등급 53건, 2등급 23건이었으며, 그 중 4등급은 `14년(12건) 보다 91%, 3등급도 `14년(28건) 대비 89% 늘었다.

〈 임상시험의 수도권 집중 지속〉
○ 지역별 임상시험 승인현황을 살펴보면 서울(63건)과 경기·인천지역(16건)에 위치한 임상시험 기관이 전체 임상의 80%를 차지하였으며, 충청 5건, 경상, 광주 각 4건 순으로 여전히 임상시험의 수도권 편중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임상시험기관별 임상시험 승인건수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12건), 서울대학교병원(10건), 고려대학교병원(8건), 서울아산병원(7건), 중앙대학교병원(6건) 등의 순서였고, 이들 5개 병원의 점유율은 전체의 43%나 되었다.

□ 식약처는 국내 업체 등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임상시험을 통해 의료기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임상시험의 품질과 임상참여자의 안전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1-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63 원윳값 인하에 따른 우유가격 인하 촉구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74
11062 가전제품, 차량용 에어컨 필터 유해성분 검출과 소비자 피해 보상 촉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92
11061 자동차 안전기준 부적합과 연비과장 으로 5개 차종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99
11060 감염방지를 위한 입원실·중환자실 시설기준 대폭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192
11059 뎅기열 해외유입 증가 예상, 해외여행 시 모기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81
11058 국가건강검진, 스마트하게 바뀐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87
11057 외식업 경기 3분기 이후 다소 회복세 전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72
11056 TV홈쇼핑으로 농산물 수급안정 도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90
11055 위험천만 해상펜션, 안전사각지대 놓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132
11054 2016년6월 및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136
11053 레지오넬라증 증가에 따라 다중이용시설 냉각수 관리 철저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74
11052 2016년 7월 29일, 환자안전법 시행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74
11051 도로명주소 더 쉽고 정확히 검색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86
11050 금속성이물 기준 초과 검출된 모링가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115
11049 카드뮴 기준초과 검출 수입 ‘냉동갯가재살’ 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119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