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최근 10년간 7월에 질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며 지금 이 시기, 각별한 주의와 예방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근 10년간(‘11~’20년) 발생한 질식사고 195건을 조사한 결과, 계절로는 봄철(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7월로, 22건(11.3%)이 발생했다.

왜 7월에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할까?
미생물은 증식과정이나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를 소모하고 황화수소를 내뿜게 되는데 특히, 7월에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고, 장마 영향으로 다량의 유기물이 하수관거 등에 쏟아져 들어가는 등 최적의 미생물 생장 조건이 만들어짐으로써 산소결핍이나 고농도의 황화수소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7월에 발생한 질식사고는 산소결핍(10건)과 황화수소 중독(9건)이 대부분(86.4%)을 차지했는데 이러한 비율은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봄철보다도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 달과 비교할 때는 2배나 높은 수준이었다.

어디서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했나?
산소결핍, 황화수소 중독사고는 오폐수처리시설(7건), 맨홀(4건), 분뇨 처리시설(2건), 기타 각종 설비(6건) 등에서 발생했는데 따라서 이러한 장소에서 일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어떻게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까?
질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위험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밀폐공간에서는 한 번의 호흡만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근로자가 알게 해야 한다.
두 번째,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기 전 안전한 상태인지 확인해야 한다. 산소농도와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한 후 안전한 상태인지 확인하고 작업을 하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 근로자는 공기 상태가 확인되지 않았다면 절대 밀폐공간에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안전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작업하지 말아야”
권기섭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밀폐공간 내에서는 한 번의 호흡으로도 생명을 잃을 수 있다”라면서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맨홀, 오폐수처리시설 등에서의 질식 위험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 작업 전 반드시 산소농도,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해 안전한지 확인하고 작업을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고 특히, 질식사고가 발생했을 때 송기 마스크 등 보호장구 없이 구조하러 들어갔다가 사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보호장구가 없다면 절대 구조하러 들어가지 말고 119구조대를 기다리는 것이 또 다른 생명을 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안전보건공단을 통해 사업장이 전화로 신청만 하면 유해가스 농도측정, 재해예방교육, 유해가스 측정기.환기팬.송기 마스크 대여 등 질식사고 예방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미처 이러한 예방 장비를 준비하지 못한 사업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질식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경찰청 2021-07-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73 발적과 염증 유발 위험 있는 Summer Fridays 마스크 팩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1.06.02
2272 하절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예방ㆍ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1.04.30
2271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및 질식 위험 있는 Wuleeup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1.04.28
2270 2019년 유사수신 신고,상담 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0.08.04
2269 청소년 울리는 고금리 사채, 대리입금 거래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0.07.09
2268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6.14
2267 네일서비스,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6.29
2266 Eternal Ink 문신잉크(Dark red), 발암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6.20
2265 SFTS 환자‧사망자 증가에 따른 감염주의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5.31
2264 Ultra Glow 미백화장품(Fade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3.21
2263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1.10
2262 어린이가 사용하는 핑거페인트,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7.10.17
2261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건목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3.02.24
2260 무시동 히터 사용 시 배출가스와 고온 화상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25
2259 전기 절연처리가 미흡해 감전 위험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8
2258 유해물질(포름알데히드 등) 검출 우려가 있는 Volkswagen Zubehor 멜라민 컵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7
2257 알레르기 유발 성분(겨자, 황산염ㆍ이산화황) 미표기된 OPies 호두 피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3.07
2256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2.01.26
2255 (주)위버스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11.10
2254 (주)세종통상 목욕동화책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검출관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10.27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