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최근 10년간 7월에 질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며 지금 이 시기, 각별한 주의와 예방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근 10년간(‘11~’20년) 발생한 질식사고 195건을 조사한 결과, 계절로는 봄철(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7월로, 22건(11.3%)이 발생했다.

왜 7월에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할까?
미생물은 증식과정이나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를 소모하고 황화수소를 내뿜게 되는데 특히, 7월에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고, 장마 영향으로 다량의 유기물이 하수관거 등에 쏟아져 들어가는 등 최적의 미생물 생장 조건이 만들어짐으로써 산소결핍이나 고농도의 황화수소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7월에 발생한 질식사고는 산소결핍(10건)과 황화수소 중독(9건)이 대부분(86.4%)을 차지했는데 이러한 비율은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봄철보다도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 달과 비교할 때는 2배나 높은 수준이었다.

어디서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했나?
산소결핍, 황화수소 중독사고는 오폐수처리시설(7건), 맨홀(4건), 분뇨 처리시설(2건), 기타 각종 설비(6건) 등에서 발생했는데 따라서 이러한 장소에서 일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어떻게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까?
질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위험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밀폐공간에서는 한 번의 호흡만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근로자가 알게 해야 한다.
두 번째,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기 전 안전한 상태인지 확인해야 한다. 산소농도와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한 후 안전한 상태인지 확인하고 작업을 하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 근로자는 공기 상태가 확인되지 않았다면 절대 밀폐공간에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안전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작업하지 말아야”
권기섭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밀폐공간 내에서는 한 번의 호흡으로도 생명을 잃을 수 있다”라면서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맨홀, 오폐수처리시설 등에서의 질식 위험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 작업 전 반드시 산소농도,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해 안전한지 확인하고 작업을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고 특히, 질식사고가 발생했을 때 송기 마스크 등 보호장구 없이 구조하러 들어갔다가 사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보호장구가 없다면 절대 구조하러 들어가지 말고 119구조대를 기다리는 것이 또 다른 생명을 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안전보건공단을 통해 사업장이 전화로 신청만 하면 유해가스 농도측정, 재해예방교육, 유해가스 측정기.환기팬.송기 마스크 대여 등 질식사고 예방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미처 이러한 예방 장비를 준비하지 못한 사업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질식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경찰청 2021-07-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5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2.06.08
225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6.08
224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7)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2.06.08
224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8)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2.06.08
224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Mr Porky Original Scratchings 돼지껍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1.10.14
224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Mr Porky Prime Cut Scrachings 돼지껍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1.10.14
224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Nopalina 아마씨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0.04.13
224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Olde Thompson 고수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7.12
224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0.11.23
2242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Arrowroot ground 애로루트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1.28
224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Black Pepper Organic 후춧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1.28
224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alifornia Garlic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01.28
223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ilantro Organic 고수잎)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1.28
223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ilantro Organic 고수잎)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1.28
223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oriander 고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1.01.29
223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Dill Weed Organic 허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1.28
223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Fine Black Pepper 후춧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1.01.29
223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Freeze-Dried Chives 쪽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1.01.29
223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dagascar Cloves 정향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1.01.28
2232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labar Black Peppercorns 통후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1.29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